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중기부, 올해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 6000억 원 규모로 조성

30개 민간 출자자 참여…"딥테크 분야 오픈이노베이션 투자 기회 제공"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정부는 30개 민간 출자자가 참여하는 6000억 원 규모의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를 조성한다.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는 세계 시장에 도전하는 딥테크(선행기술) 스타트업 등에 중점 투자하기 위해 대기업, 중소·중견기업, 금융권과 정부가 함께 조성하는 펀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4일 호텔 나루 서울 엠갤러리에서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 참여 출자기관 등과 함께 '2025년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 출범식'을 개최했다.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는 정부가 우선손실충당, 동반성장평가 가점, 정부 포상 등 강화된 인센티브를 제공해 민간에서 더욱 과감하게 벤처투자에 나설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특징이다.

정부 재정의 출자 비중은 낮추면서 민간 자금의 비중은 높여 펀드의 민간 자금 유치 효과를 2배로 높였다.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 구조도 (자료=중소벤처기업부)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 구조도 (자료=중소벤처기업부)

펀드 출범 첫해인 지난해에는 19개 민간 출자자가 3260억 원, 정부 모태펀드가 2295억 원을 출자해 모두 8733억원 규모 벤처펀드를 조성했다.

이들 펀드는 결성된 지 수개월 만에 AI, 바이오, 로봇 분야 딥테크 기업 등 20개 사에 모두 275억 원을 투자했으며, 올해부터 본격적인 투자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올해는 30개 민간 출자자가 2500억 원 이상 출자에 나섰으며, 정부 재정 1700억 원 이상을 매칭해 4200억 원을 민·관 합동으로 출자하고, 6000억 원 규모 벤처펀드를 조성할 계획이다.

지난해 결성된 규모 8733억 원을 포함하면 2년 동안 모두 1조 5000억 원 규모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를 조성한다.

올해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의 주요 특징은 먼저, 민간의 과감한 출자를 이끌어내는 민·관 합동 벤처투자 플랫폼 역할을 확대한 것이다.

벤처투자조합 출자 경험이 없는 신규 출자자의 참여를 다수 이끌어냈으며, 기존에 벤처투자조합 출자 경험이 있는 기관들은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를 계기로 출자 규모를 대폭 확대했다.

이에 따라 코스맥스, 스푼랩스, 도쿄세경센터, 성균관대학교기술지주회사 등 10개 기업이 올해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를 통해 처음으로 벤처투자에 나섰다.

그중 스푼랩스는 벤처투자를 유치해 성장한 선배 기업이 후배 벤처·스타트업 투자에 나선 것이며, 재일 동포기업인 도쿄세경센터는 고국의 벤처·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해 참여했다는 점에서 더욱 의미가 있다.

과거 벤처투자조합 출자 경험이 있는 20개 기업도 올해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 참여를 계기로 전년 대비 출자 규모를 대폭 확대했다.

출자 경험이 있는 일반법인 15개 사는 지난해 210억 원에서 올해 1190억 원으로 5대 늘리고, 금융권 5개 사는 2989억 원에서 4030억 원으로 30% 확대했다.

올해부터 오픈이노베이션 분야를 신설해 벤처투자를 통한 대기업, 중소·중견기업과 벤처·스타트업 간의 전략적 협업을 촉진한다.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서울 중구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열린 'K-뷰티 펀드 출범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5.4.10.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서울 중구 웨스틴 조선호텔에서 열린 'K-뷰티 펀드 출범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25.4.10. (ⓒ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지난 10일 앞서 출범한 'K-뷰티 펀드'를 비롯해 바이오, 반도체 등 전략 분야 오픈이노베이션을 위한 펀드를 2000억 원 이상 규모로 조성할 예정이다.

또한, 지난 1월 발표한 제약바이오벤처 혁신생태계 조성방안의 후속으로 바이오 분야 전략적 협업을 촉진하는 펀드도 조성한다.

일본 최대 CRO(임상시험수탁) 기업인 CMIC이 국내 바이오 벤처·스타트업과의 협력과 일본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해 참여했으며,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15개 회원사와 함께 제약바이오산업 신성장 동력을 모색하기 위해 연합 컨소시엄을 구성해 벤처투자에 참여했다.

오영주 중기부 장관은 "스타트업 코리아 펀드가 딥테크 분야별 생태계 구성원 간 오픈이노베이션 기회를 제공하고, 더욱 많은 기업·금융기관의 벤처투자시장참여를 촉진하는 플랫폼 역할을 확대할 것"이라며 "글로벌 딥테크 강국으로의 도약을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창업벤처혁신실 벤처투자과(044-204-7716)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