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중앙 디성센터 확대 출범…상담창구 '☎1366'으로 일원화

전국 어디서나 365일 24시간 디지털성범죄 피해상담 가능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전국의 디지털성범죄 피해 지원기관이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로 전환·운영된다. 

특히 상담창구는 1366번으로 일원화되어 디지털성범죄 피해자에게 보다 신속한 지원이 가능해진다.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은 오는 17일부터 개정된 '성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 시행됨에 따라 중앙·지역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가 본격 출범한다고 밝혔다. 

서울 중구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직원의 뒷모습.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서울 중구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직원의 뒷모습.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는 2018년부터 운영을 시작해 피해 상담 및 삭제 등을 지원했다. 

그리고 앞으로 국내외 협력체계 구축, 교육·컨설팅, 지역 센터 지원 등 신규 업무를 추가해 중앙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이하 '디성센터')로 확대 출범한다.

이에 지역 특화상담소와 지역 지원기관은 지역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로 전환되어 전국 17개 시·도에서 운영한다. 

또한 중앙 및 지역 디성센터가 성폭력방지법에 근거한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보호·지원 기관임을 널리 알리기 위해 상징물을 제작·배포했다.

특히 전국의 디지털성범죄 피해자 지원기관의 상담 전화번호가 각기 달라 기억하기 어려웠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피해 상담 전화를 일원화해 언제든 국번 없이 1366번으로 전화하면 디성센터로 연결된다.

이는 지난해 11월 6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이미지 합성 기술(딥페이크) 성범죄 대응 강화 방안'의 후속조치의 일환으로 추진한 바, 그동안 시범운영을 거쳐 오는 17일부터 본격 운영한다.

중앙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기능 (자세한 내용은 본문에 설명 있음)
중앙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기능

신영숙 여가부 차관은 "이번 성폭력방지법 개정법 시행과 함께 출범하는 중앙·지역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와 365일 24시간 상담이 가능한 1366을 통해 피해영상물 확산 방지를 위한 최적 시간을 확보하고 신속히 피해자를 지원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중앙 및 지역 디성센터가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 보호·지원의 주관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신보라 한국여성인권진흥원 원장은 "지난 6년 동안 133만 건의 상담·삭제 등 피해 지원을 위해 최일선에서 노력해 온 중앙 디성센터가 이제 국가 차원의 디지털성범죄 대응 종합기관으로 도약하는 중요한 시점에 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중앙 디성센터는 전국 지역 디성센터와 견고한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피해자의 존엄과 일상 회복을 위한 맞춤형 통합지원체계를 강화하고, 선제 대응 방안 마련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한편 서울 중구에 있는 인권진흥원에서는 17일 중앙 디성센터 확대 출범을 알리는 현판식을 개최한다.

이날 현판식은 중앙 디성센터의 새로운 도약을 대내외에 널리 알리고 핵심가치를 나누는 자리로, 신영숙 여성가족부 차관과 이인선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위원장 등이 참석해 축하의 인사말을 전한다. 

2025년 전국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현황
2025년 전국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 현황

문의 : 여성가족부 권익증진국 디지털성범죄방지과(02-2100-6165), 한국여성인권진흥원 중앙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02-6363-9330)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