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해수부 "올해 수산식품 역대 최대 31억 5000만 달러 수출 목표"

1000만 달러 수출기업 70개 육성…우수수산물 1489억 원 지원

수출 규제 전담 대응센터 확대…비관세장벽 플랫폼 신규 구축 등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해양수산부는 올해 수산식품 수출 목표를 역대 최대치인 31억 5000만 달러로 잡고 '1000만 달러' 수출기업 70개를 육성할 계획이다. 

해수부는 18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 수산식품 수출전략'을 발표하고, 미국 신정부의 통상정책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글로벌 시장에서 우리나라 주요 수산식품의 고부가가치화를 공고히해 나갈 방침이다.

특히 이번 전략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예상되는 보편관세 부과 및 비관세장벽 강화 가능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고부가가치 수산식품 개발 및 대규모 인프라 조성 등을 통해 우리 수산식품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2일 서울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김을 둘러보고 있다.(ⓒ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2일 서울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김을 둘러보고 있다.(ⓒ뉴스1,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먼저 미국 등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수출시장을 다변화한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보호무역 기조가 강화되면서 우리나라의 주요 수산식품 수출 대상 국가인 미국과의 교역에 미칠 영향에 선제적으로 대비한다.

우수 수산물지원을 전년 대비 165억 원 늘린 1489억 원을 지원하는 등 수출기업 정책자금 융자 지원을 통한 기업 유동성 부담을 최소화하고 공동물류센터 지원한도를 해외 4000만 원(전년 대비 1000만 원↑), 국내 6000만 원(4000만 원↑)으로 확대해 물류비용 부담 완화를 추진한다.

또한 수출 규제 전담 비관세장벽 대응센터를 확대 운영하고 비관세장벽 플랫폼을 신규로 개설한다.

무엇보다 내년부터 시행 예정인 '해양포유류보호법(MMPA)'과 '식품안전현대화법(FSMA)'에 따른 수입 규제 강화 조치에 대비해 수출허가증명서 발급 등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수산식품 수출 이력 정보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아울러 수출 보험과 바우처 지원을 확대해 환율 변동과 무역 분쟁에 따른 중소 수출기업들의 무역 리스크 대응력을 강화한다.

이어서 해수부는 굴·전복 등 차세대 유망품목을 육성하고 고부가가치화할 방침이다.

수출 1위 전략품목인 김은 생산-가공-수출 전 주기 종합대책을 바탕으로 안정적 생산 지원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주도권을 더욱 공고히 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고수온에 강한 신품종 개발, 마른김 등급제 도입, 국제 김 거래소 설립 추진, K-GIM 브랜드 확산 등을 추진한다.

수출 2위 품목인 참치는 횟감용 필렛 및 프리미엄 가공 참치 개발, 국제인증 취득 지원 등 고부가가치화를 통해 시장 확대를 추진한다.

굴 등 차세대 유망품목으로 세계 시장을 적극 공략하기 위해 유럽·중동·아세안 등 신흥시장을 대상으로 훈제 굴, 굴 감바스 등 가공제품 개발에 주력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해수부는 스마트 가공단지·수출클러스터 등 대규모 인프라를 구축한다.

수산식품 수출 확대를 위한 기반 조성에도 박차를 가해 전남 해조류 특화 수출단지와 부산 R&D 특화 수출단지를 조성하고 스마트가공종합단지도 전북과 경북에 각각 구축해 권역별 산업 집적화를 도모한다.

스마트 가공공장 및 자동화 가공시설 지원을 통해 수출 물량의 안정적 확보에 힘쓸 계획이다.

특히 IoT·AI 기반 스마트 가공기술 도입을 통해 경쟁력을 갖춘 고품질 수산식품 생산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수산식품 수출기업의 브랜드 무단 선점·도용 등 지재권 피해 대응을 위해 관련 부처 및 전문기관 간 협업체계 구축도 추진한다.

강도형 해수부 장관은 "미국 신정부의 비관세장벽 강화 등 통상정책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수산식품 수출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올해 세계 김 시장의 70%를 담당하고 있는 'K-GIM'의 세계적 위상을 더욱 다지고 굴, 전복 등 유망한 수산식품은 고부가가치화와 수출시장 다변화를 통해 세계 무대에서 더욱 인정받을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문의: 해양수산부 수산정책관 수출가공진흥과(044-200-5481)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