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50 탄소중립’이 뭔가요?

2050 탄소중립이란?

1. 산림의 탄소 흡수 능력 강화

2. 신규 산림탄소흡수원 확충

3. 목재와 산림바이오매스의 이용 활성화

4. 산림탄소흡수원 보전·복원

핵심과제 추진 강화를 위해 나아갈점은?

2050 탄소중립 산림부문의 추진체계는?

2050 탄소중립을 위한 깨끗한 걸음, 산림청과 함께 해주세요!

‘2050 탄소중립’이 뭔가요?
▷2050 탄소중립이란?
우리가 배출하는 탄소량과 흡수·제거하는 탄소량을 같게함으로써 2050년까지 실질적인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발생한 만큼 - 숲으로 없애면 = CO2 발생량 제로
[산림청의 목표] 30년간 30억 그루 나무심기로 2050년 탄소중립, 3,400만톤 기여
[‘2050 탄소중립’ 산림부문의 핵심 과제 4가지]
1. 산림의 탄소 흡수 능력 강화
-나무심기를 통해 산림 전체 연령을 낮춤(영급구조 개선)
-탄소흡수능력과 환경적응력이 우수한 수종의 도입 및 적용
-경제림 중심의 산림 경영 추진
2. 신규 산림탄소흡수원 확충
-도시숲 조성 확대 및 섬지역의 산림 관리 강화, 유휴토지 조림
-남북산림협력을 통한 탄소흡수원 확충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에 250만 ha이상 규모의 REDD+ 사업추진으로 해외 흡수원 확대
*REDD란? 산림 전용과 산림황폐화 방지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 사업
3. 목재와 산림바이오매스의 이용 활성화
-목재 수요·공급의 선순환 체계 구축
-산림바이오매스 산업 육성
4. 산림탄소흡수원 보전·복원
-산림보호지역 관리 선진화
-산림생태계복원 및 산지전용 감소
-산림재해 예방 및 피해 최소화
▷핵심과제 추진 강화를 위해 나아갈 점은?
-빅데이터 기반 MRV*통계 구축
-R&D 확충
-재원 및 홍보
-시장 육성 및 전문인력 양성
-국제협력 강화
*MRV란? 측정 및 정부보고 가능하며 객관적 검증이 가능한 수준
*R&D란? 연구 및 개발
▷2050 탄소중립 산림부문의 추진체계는?
·산림청 조직 운영 및 성과 관리를 탄소 중립 중심으로 전환
-기후위기 대응 관련 기구·인력 확충 및 산림청 관련부서·소소기관·지자체 평가지표를 탄소중립 이행에 맞춰 재설정
-정책 내실화를 위한 민간 참여형 자문위원단 구성·운영
·실행 주체(공공기관) 역할 조정 및 역량 강화
-산림청 → 한국협업진흥원(탄소중립 전략 실행의 중추 기관으로서 역할 강화), 목재문화진흥회(목재문화 확산을 위한 홍보·교육 기능 강화), 한국수목원관리원(생태복원 및 모니터링 강화)
2050 탄소중립을 위한 깨끗한 걸음, 산림청과 함께 해주세요!
‘2050 탄소중립’이 뭔가요?
▷2050 탄소중립이란?
우리가 배출하는 탄소량과 흡수·제거하는 탄소량을 같게함으로써 2050년까지 실질적인 탄소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발생한 만큼 - 숲으로 없애면 = CO2 발생량 제로
[산림청의 목표] 30년간 30억 그루 나무심기로 2050년 탄소중립, 3,400만톤 기여
[‘2050 탄소중립’ 산림부문의 핵심 과제 4가지]
1. 산림의 탄소 흡수 능력 강화
-나무심기를 통해 산림 전체 연령을 낮춤(영급구조 개선)
-탄소흡수능력과 환경적응력이 우수한 수종의 도입 및 적용
-경제림 중심의 산림 경영 추진
2. 신규 산림탄소흡수원 확충
-도시숲 조성 확대 및 섬지역의 산림 관리 강화, 유휴토지 조림
-남북산림협력을 통한 탄소흡수원 확충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 지역에 250만 ha이상 규모의 REDD+ 사업추진으로 해외 흡수원 확대
*REDD란? 산림 전용과 산림황폐화 방지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 사업
3. 목재와 산림바이오매스의 이용 활성화
-목재 수요·공급의 선순환 체계 구축
-산림바이오매스 산업 육성
4. 산림탄소흡수원 보전·복원
-산림보호지역 관리 선진화
-산림생태계복원 및 산지전용 감소
-산림재해 예방 및 피해 최소화
▷핵심과제 추진 강화를 위해 나아갈 점은?
-빅데이터 기반 MRV*통계 구축
-R&D 확충
-재원 및 홍보
-시장 육성 및 전문인력 양성
-국제협력 강화
*MRV란? 측정 및 정부보고 가능하며 객관적 검증이 가능한 수준
*R&D란? 연구 및 개발
▷2050 탄소중립 산림부문의 추진체계는?
·산림청 조직 운영 및 성과 관리를 탄소 중립 중심으로 전환
-기후위기 대응 관련 기구·인력 확충 및 산림청 관련부서·소소기관·지자체 평가지표를 탄소중립 이행에 맞춰 재설정
-정책 내실화를 위한 민간 참여형 자문위원단 구성·운영
·실행 주체(공공기관) 역할 조정 및 역량 강화
-산림청 → 한국협업진흥원(탄소중립 전략 실행의 중추 기관으로서 역할 강화), 목재문화진흥회(목재문화 확산을 위한 홍보·교육 기능 강화), 한국수목원관리원(생태복원 및 모니터링 강화)
2050 탄소중립을 위한 깨끗한 걸음, 산림청과 함께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