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부는 오는 14일 오전 10시 40분 국립서울현충원 현충관에서 (사)조소앙선생기념사업회 주관으로 ‘독립운동가 조소앙 선생 서거 65주기 추모제’가 개최된다고 13일 밝혔다.
이날 추모제에는 윤종진 보훈부 차관을 비롯한 각계 인사와 기념사업회 회원, 시민 등 25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며 약력보고, 추모식사, 추모사, 다례식, 헌화·분향 등의 순으로 진행된다.
경기도 양주시 남면 조소앙 선생 기념관에 세워져 있는 조소앙 선생의 동상.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1887년 경기도 양주 출생의 조소앙 선생은 1913년 중국 상하이로 망명해 독립운동에 본격적으로 투신한 이후 박달학원, 신아동제사, 대동단을 결성해 활동했다.
1917년 대동단결선언과 1919년 대한독립선언서를 발표한 바 있다.
아울러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해 임시헌장과 임시의정원법을 기초하고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원 비서장, 임시의정원의장, 외교부장 등을 역임하며 미국·영국·중국 등 연합국을 상대로 활발한 외교활동을 펼쳤다.
1920년대 후반에는 “정치·교육·경제의 균등을 실현해야 한다”는 삼균주의를 창안해 독립운동의 대동단결 이념과 임시정부의 지도이념을 정립시켰다.
또한 1930년 상하이 한국독립당을 비롯해 재건 한국독립당, 중경 한국독립당의 창당위원장 및 부위원장을 맡아 임시정부를 후원하고 1941년 대한민국 건국강령을 기초하는 등 일생을 조국 독립을 위해 헌신했다.
정부는 조소앙 선생의 공적을 기려 1989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을 추서했다.
윤 차관은 “조소앙 선생께서는 조국 광복과 민족 화합을 위해 평생을 바치신 위대한 독립유공자”라며 “정부는 조소앙 선생을 비롯해 나라를 위해 헌신하신 모든 분께 국가가 끝까지 책임지는 일류보훈으로 보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문의 : 국가보훈부 보훈문화정책관실 기념사업과(044-202-55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