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금연과 흡연에 대한 오해와 진실

2010.12.13 하이닥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담배금연구역의 확대와 활발한 금연운동 캠페인으로 금연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는 점차 고조되고 있지만 쌓이기만 하는 스트레스와 이미 길들여진 잘못된 흡연습관으로 담배를 끊기란 말처럼 쉽지 않다. 특히 금연하기 힘든 이유 중 하나는 근거 없는 잘못된 상식들을 핑계로 하루 이틀 금연 계획을 미루는 것에 있다.

정말 담배는 나이가 들면 끊어도 크게 소용이 없으며 순한 담배는 일반 담배보다 인체에 덜 해로울까? 다음은 보건복지부에서 주관하는 금연콜센터의 ‘금연과 흡연에 대한 오해와 진실’이다.

흡연은 나쁜 습관이지만 질환은 아니다?

흡연은 건강을 해치는 나쁜 습관임과 동시에 담배 속 니코틴에 의해 중독을 일으키는 중독성 질환이다.

담배는 나중에 끊어도 된다?

흔히 흡연자들은 이성친구가 원할 때나 결혼 후 자녀가 생기면 금연 할 것이라고 미루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담배에 포함되어 있는 니코틴은 중독을 일으키는 물질로 흡연이 지속되면 니코틴의 효과가 점차 감소되어 더 많은 니코틴의 양을 요구하므로 나중에는 금연 시도 조차 어려울 수 있다.

흡연량이 적으면 문제되지 않는다?

흡연은 양에 상관없이 중독을 일으키는 중독성 질환으로 장기적으로 봤을 때 적은 흡연량으로도 각종 질병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

순한 담배는 일반 담배보다 덜 해롭다?

순한 담배란 타르나 니코틴의 함량이 낮은 담배를 말하는데 이 경우 더 깊게 담배 연기를 들이마시고 흡연량이 늘 수 있기 때문에 절대 덜 해롭지 않으며 다른 연구에 따르면 타르 농도에 따른 암사망률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늙으면 금연 해도 소용없다?

담배는 끊는 순간부터 몸에 이롭다. 금연 시기가 빠를수록 건강해지며 금연 후 10년만 지나도 폐암사망률은 흡연자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감소 한다.

TV에서 보면 어떤 할아버지는 흡연해도 장수 하시던데?

흡연자 5명 중 2명은 담배로 인해 일찍 사망한다. 물론 사람마다 차이는 있지만 자신의 목숨을 담보로 흡연을 결정하는 안일한 생각은 버려야 한다.

나는 의지가 약해서 절대 못 끊는다?

금연할 생각만 있다면 의지가 약한 사함도 충분히 금연에 성공 할 수 있다. 주변에 금연 지지자를 정해 도움을 얻거나 금연상담전화, 금연 클리닉 등의 전문 상담을 활용 해보자.

<자료="하이닥, ⓒ(주)엠서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