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2025년 찾아가는 희귀질환 진단지원 사업

희귀질환 환자의 조기진단을 돕는 유전자 진단검사 지원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2025년 찾아가는 희귀질환 진단지원 사업

  • 2025년 찾아가는 희귀질환 진단지원 사업 하단내용 참조
  • 2025년 찾아가는 희귀질환 진단지원 사업 하단내용 참조
  • 2025년 찾아가는 희귀질환 진단지원 사업 하단내용 참조
  • 2025년 찾아가는 희귀질환 진단지원 사업 하단내용 참조
  • 2025년 찾아가는 희귀질환 진단지원 사업 하단내용 참조
  • 2025년 찾아가는 희귀질환 진단지원 사업 하단내용 참조

■ 희귀질환, 왜 진단이 어려운가요?
질환 자체가 드물고, 증상이 다양한 희귀질환은 진단이 어려워 여러 병원을 방문해야 하는 '진단 방랑'이 발생합니다. 

그래서 '유전자 진단지원 사업'이 필요합니다.

■ 진단지원 사업이란?
미진단된 희귀질환 의심 환자를 대상으로 유전자 진단검사(WGS*)를 시행합니다.

필요 시 가족(부모·형제 3인 이내)까지 검사 받을 수 있으며, 척수성근위축증(SMA) 검사는 별도 확진 검사를 지원합니다.

* 전장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WGS): 전체 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유전적 변이를 찾는 정밀한 검사방법.

■ 진단지원 사업, 이렇게 진행됩니다!
① 희귀질환 의심환자의 거주지 인근 참여 의료기관 방문.
② 검체 채취(혈액/조직 등) 및 동의서 작성.
③ 검체는 외부 진단기관이 의료기관 방문하여 수거.
④ 유전자 분석 진행.
⑤ 결과는 해당 의료기관 의료진을 통해 안내.

■ 작년 성과는?
"조기진단을 통한 적기 치료 연계와 진단방랑 해소로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습니다"

지원 환자 수: 410명
양성 확진자: 129명 (31.5%)
* 그 중 80.6%는 소아·청소년 환자.

2024년 진단지원사업 만족도조사 결과(환자 및 가족/의료진 대상)
의료진 만족도: 97%
환자 및 가족 만족도: 98%

■ 2025년 확대된 규모·대상·지역
지원 규모: 800명(+390)
대상 질환: 1314개(+66)
참여 의료기관: 34개(+11)

참여기관 목록 및 기타 안내는 질병관리청 희귀질환 헬프라인에서 확인하세요.

☞ 희귀질환 헬프라인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