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욱 두텁고 촘촘한 약자복지
더욱 두텁고 촘촘한 약자복지
더욱 두텁고 촘촘한 약자복지
더욱 두텁고 촘촘한 약자복지
더욱 두텁고 촘촘한 약자복지
더욱 두텁고 촘촘한 약자복지
더욱 두텁고 촘촘한 약자복지
더욱 두텁고 촘촘한 약자복지
더욱 두텁고 촘촘한 약자복지
Ⅰ. 두터운 취약계층 보호
■ 저소득층 생계·의료비 지원 강화
① 기준중위소득 인상
- 2015년 이후 가장 큰 폭인 6.42% 인상
② 생계급여 지원 확대
- 월 11.8만 원 인상(4인 가구 기준)
- 선정 기준을 중위소득 32%→35%로 점진적 완화
※ 청년 수급자 보장 확대(예: 학대·우울 청년은 별도 1인 가구로 보호) 검토
③ 의료급여 지원 강화
- 부양비 부과비율 인하(15% 또는 30%→10%)를 통한 수급자 선정 기준 완화
- 정신과 폐쇄병동입원료는 일반 입원료에 12% 가산, 격리보호료 수가 신설
④ 긴급복지 지원 확대
- 소득·금융재산 기준 완화*
* 4인 가구 기준: (소득) 429→457만 원(6.4%↑), (금융) 1173→1210만 원(3.1%↑)
- 생계지원금 월 3.9만 원 인상(4인 가구)
- 생계지원금 재지원 기준이 의료지원 후 '1년 경과' → '바로 가능'으로 완화
■ 취약계층별 맞춤형 지원 확대
① 노인 지원 확대
- 약 110만 개 일자리 제공
- 사회서비스·민간형 일자리 비중 확대 ('25년 37%, '27년 40% 목표)
- 기초연금 최대 34.3만 원으로 인상
② 아동 보호 강화
- 국내외 입양 절차 전반을 국가 주도로 개편('25.7.)
- 아동학대 대응 기관 확대(98→107개소)
- 신생아 긴급보호비 신설(300명, 약 3개월 동안 月 100만 원 지원)
③ 장애인 지원 확대
- 공공일자리 2,000명 추가(3.35만 명) 및 맞춤형 직무 확대(45→47종)
- 장애인연금 최대 43.3만 원으로 인상
Ⅱ. 촘촘한 위기가구 발굴
■ 신속한 위기가구 발굴·지원 강화
① 위기가구 발굴 강화
- 47종 위기정보의 중요도·활용도 차이를 고려한 의심가구 선정기준 마련
※ ('24) 위기정보 3종 이상 → ('25) 단전·임대주택 임대료 체납 등 주요 위기정보 2종 이상 포함 3종 이상 위기정보 보유자(2개월마다 20만 명 발굴 예정)
② AI·ICT 활용 지원 확대
- AI 동시 상담채널 100→150개로 확대, 연 22→50만 명 상담 제공 목표
- 독거노인·장애인 응급안전서비스 27→30만 대로 확대
③ 민관 협업 강화
- 건강보험공단 등 주민 생활과 밀접한 기관의 복지위기알림앱 이용 확대
④ 현장 신청 편의 강화
- 모바일 '행복이음' 전국 확대로 현장 조사 단계에서 즉시 급여 신청까지 지원
Ⅲ. 탈빈곤 자립지원 강화
■ 근로를 통한 자립 지원 확대
① 자활근로 기회 확대
- 저소득층 자활근로 참여자 3,000명 확대 및 급여 수준 3.7% 인상
② 자활성공지원금 신설
- 자활근로 참여자가 취·창업으로 생계급여 탈수급 시, 1년 최대 150만 원* 지급
※ 6개월 후 50만 원, 1년 후 100만 원 추가 지급
③ 취·창업 및 청년 자립 지원 강화
- 민간자격 취득과 직무기술 교육 인원 540→600명 확대
- 인턴 연계 직무교육 등 청년 자활근로 특화 지원 강화 (시범사업 4개소)
④ 사례관리 강화
- 전국 지역자활센터에 자활사례관리사 125→250명 배치
- 맞춤형 자립 지원을 위해 사회보장·고용보험 통합정보전산망 구축
■ 자산형성지원 강화
① 디딤씨앗통장 지원 확대
- 자립금 매칭지원(아동1:정부2) 대상을 기초생활수급가구에서 차상위계층까지 확대
② 청년 내일저축계좌 지원 확대
- 신규 가입자 4만 명 추가 모집
- 근로·사업소득 기준 완화(230만 원→250만 원 이하)를 통한 대상자 확대
- 첫 만기 해지자(약 3만 명) 대상 자산관리 및 금융교육 제공
③ 희망저축계좌Ⅱ 지원 강화
- 취약계층의 장기근속 유도를 위해 정부지원금 인상 및 연차별 차등 적용
※ 2024년 월 10만 원→2025년 1년 차 월 10만 원, 2년 차 월 20만 원, 3년 차 월 30만 원 지원
Ⅰ. 두터운 취약계층 보호
■ 저소득층 생계·의료비 지원 강화
① 기준중위소득 인상
- 2015년 이후 가장 큰 폭인 6.42% 인상
② 생계급여 지원 확대
- 월 11.8만 원 인상(4인 가구 기준)
- 선정 기준을 중위소득 32%→35%로 점진적 완화
※ 청년 수급자 보장 확대(예: 학대·우울 청년은 별도 1인 가구로 보호) 검토
③ 의료급여 지원 강화
- 부양비 부과비율 인하(15% 또는 30%→10%)를 통한 수급자 선정 기준 완화
- 정신과 폐쇄병동입원료는 일반 입원료에 12% 가산, 격리보호료 수가 신설
④ 긴급복지 지원 확대
- 소득·금융재산 기준 완화*
* 4인 가구 기준: (소득) 429→457만 원(6.4%↑), (금융) 1173→1210만 원(3.1%↑)
- 생계지원금 월 3.9만 원 인상(4인 가구)
- 생계지원금 재지원 기준이 의료지원 후 '1년 경과' → '바로 가능'으로 완화
■ 취약계층별 맞춤형 지원 확대
① 노인 지원 확대
- 약 110만 개 일자리 제공
- 사회서비스·민간형 일자리 비중 확대 ('25년 37%, '27년 40% 목표)
- 기초연금 최대 34.3만 원으로 인상
② 아동 보호 강화
- 국내외 입양 절차 전반을 국가 주도로 개편('25.7.)
- 아동학대 대응 기관 확대(98→107개소)
- 신생아 긴급보호비 신설(300명, 약 3개월 동안 月 100만 원 지원)
③ 장애인 지원 확대
- 공공일자리 2,000명 추가(3.35만 명) 및 맞춤형 직무 확대(45→47종)
- 장애인연금 최대 43.3만 원으로 인상
Ⅱ. 촘촘한 위기가구 발굴
■ 신속한 위기가구 발굴·지원 강화
① 위기가구 발굴 강화
- 47종 위기정보의 중요도·활용도 차이를 고려한 의심가구 선정기준 마련
※ ('24) 위기정보 3종 이상 → ('25) 단전·임대주택 임대료 체납 등 주요 위기정보 2종 이상 포함 3종 이상 위기정보 보유자(2개월마다 20만 명 발굴 예정)
② AI·ICT 활용 지원 확대
- AI 동시 상담채널 100→150개로 확대, 연 22→50만 명 상담 제공 목표
- 독거노인·장애인 응급안전서비스 27→30만 대로 확대
③ 민관 협업 강화
- 건강보험공단 등 주민 생활과 밀접한 기관의 복지위기알림앱 이용 확대
④ 현장 신청 편의 강화
- 모바일 '행복이음' 전국 확대로 현장 조사 단계에서 즉시 급여 신청까지 지원
Ⅲ. 탈빈곤 자립지원 강화
■ 근로를 통한 자립 지원 확대
① 자활근로 기회 확대
- 저소득층 자활근로 참여자 3,000명 확대 및 급여 수준 3.7% 인상
② 자활성공지원금 신설
- 자활근로 참여자가 취·창업으로 생계급여 탈수급 시, 1년 최대 150만 원* 지급
※ 6개월 후 50만 원, 1년 후 100만 원 추가 지급
③ 취·창업 및 청년 자립 지원 강화
- 민간자격 취득과 직무기술 교육 인원 540→600명 확대
- 인턴 연계 직무교육 등 청년 자활근로 특화 지원 강화 (시범사업 4개소)
④ 사례관리 강화
- 전국 지역자활센터에 자활사례관리사 125→250명 배치
- 맞춤형 자립 지원을 위해 사회보장·고용보험 통합정보전산망 구축
■ 자산형성지원 강화
① 디딤씨앗통장 지원 확대
- 자립금 매칭지원(아동1:정부2) 대상을 기초생활수급가구에서 차상위계층까지 확대
② 청년 내일저축계좌 지원 확대
- 신규 가입자 4만 명 추가 모집
- 근로·사업소득 기준 완화(230만 원→250만 원 이하)를 통한 대상자 확대
- 첫 만기 해지자(약 3만 명) 대상 자산관리 및 금융교육 제공
③ 희망저축계좌Ⅱ 지원 강화
- 취약계층의 장기근속 유도를 위해 정부지원금 인상 및 연차별 차등 적용
※ 2024년 월 10만 원→2025년 1년 차 월 10만 원, 2년 차 월 20만 원, 3년 차 월 30만 원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