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선호도 높은 도심에 내 집 마련 기회를 늘리겠습니다.

선호도 높은 도심에 내 집 마련 기회를 늘리겠습니다.

선호도 높은 도심에 내 집 마련 기회를 늘리겠습니다.

선호도 높은 도심에 내 집 마련 기회를 늘리겠습니다.

선호도 높은 도심에 내 집 마련 기회를 늘리겠습니다.

선호도 높은 도심에 내 집 마련 기회를 늘리겠습니다.

선호도 높은 도심에 내 집 마련 기회를 늘리겠습니다.

5년간 전국 22만호, 서울 10만호!
선호도 높은 도심에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내집 마련 기회를 늘리겠습니다.
희망은 키우고 부담은 줄이는 국민 주거안정 실현방안
① 재개발 재건축 사업을 정상화
② 재건축부담금을 합리적으로 감면
③ 안전진단 제도개선을 착수
④ 정비사업 전문성·투명성을 강화
◆ 재개발 재건축 사업을 정상화합니다
신규 정비구역 지정이 감소하고, 서울은 기존 구역 해제도 가속화되어 도심 핵심입지에 양질의 공급이 어려움
· 전국에서 22만 호(’18~’22년 12.8만 호보다 70% 이상 많은 수준) 이상의 신규 정비구역을 지정할 계획
- 서울 : 정비 계획 가이드라인 사전 제시를 통해 구역 지정 소요 기간을 단축하는 신속 통합기획 방식으로 10만 호 지정
- 경기·인천 : 역세권, 노후 주거지 등에 4만 호를 지정
- 지방 대도시 : 광역시 쇠퇴구 도심 위주로 8만 호 규모의 신규 정비구역을 지정
◆ 재건축 부담금을 합리적으로 감면합니다
적정선을 넘어선 과도한 부담금으로 공급 위축 발생!
· 사업 자체를 저해하는 수준의 부담금을 적정 수준으로 완화
- 현행 부과기준을 현실화
- 1주택 장기보유자, 고령자 등에 대한 배려 방안을 마련
- 임대주택 공급 등 공익에 기여하는 사업장은 감면받을 수 있도록 준비
◆ 안전진단 제도 개선을 착수합니다
신규 재건축이 과도하게 어려워져 도심 공급 기반이 약화, 주거환경 개선 및 주거상향 수요 등이 원활하지 못함
· 구조안정성 비중을 합리적인 수준으로 조정(예: 30~40% 수준) 하여 재건축 사업의 문턱을 낮춤
◆ 정비 사업 전문성·투명성을 강화합니다
일부 조합의 전문성, 투명성 부족 등에 따라 정비 사업이 장기화되는 경우와 분양을 기다려온 수요자 피해 발생
· 조합설립 없이 신탁사를 활용할 수 있도록 신탁사 사업시행자 지정 요건을 완화
* 사업장 : 정비 계획과 사업시행계획이 통합 처리
◆ 수요가 많은 지역에 보다 많은 주택이 공급됩니다
· 전국 총 270만 호 공급
- 수도권 : 수도권 전체 158만 호 공급
* 도심, 역세권, 3기 신도시
- 서울 : 가장 수요가 많은 서울 50만 호 공급
* 지난 5년간 공급된 주택(32만 호) 보다 50% 이상 증가
- 지방 대도시 : 비수도권 112만 호, 광역·자치시 52만 호, 8개 道 60만 호 공급
* 정비 사업, 노후 도심환경 개선
◆ 재개발 재건축, 도심 복합사업 등은 11만 호 늘어난 52만 호가 공급됩니다.
3기 신도시 등 공공택지에서는 지난 5년(64만 호) 대비 약 24만 호가 많은 88만 호를 공급
· 주요사업 : 140
- 정비 사업 등* : 52
- 공급 택지(3기 신도시 포함) : 88
*재개발·재건축, 도심 복합사업, 소규모 정비 사업
향후 5년간 공급될 주택은 총 270만호로 주택공급 확대를 통한 주거 안정을 이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5년간 22만호 신규 정비구역 지정…국민 주거안정 실현 방안
5년간 전국 22만호, 서울 10만호!
선호도 높은 도심에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내집 마련 기회를 늘리겠습니다.
희망은 키우고 부담은 줄이는 국민 주거안정 실현방안
① 재개발 재건축 사업을 정상화
② 재건축부담금을 합리적으로 감면
③ 안전진단 제도개선을 착수
④ 정비사업 전문성·투명성을 강화
◆ 재개발 재건축 사업을 정상화합니다
신규 정비구역 지정이 감소하고, 서울은 기존 구역 해제도 가속화되어 도심 핵심입지에 양질의 공급이 어려움
· 전국에서 22만 호(’18~’22년 12.8만 호보다 70% 이상 많은 수준) 이상의 신규 정비구역을 지정할 계획
- 서울 : 정비 계획 가이드라인 사전 제시를 통해 구역 지정 소요 기간을 단축하는 신속 통합기획 방식으로 10만 호 지정
- 경기·인천 : 역세권, 노후 주거지 등에 4만 호를 지정
- 지방 대도시 : 광역시 쇠퇴구 도심 위주로 8만 호 규모의 신규 정비구역을 지정
◆ 재건축 부담금을 합리적으로 감면합니다
적정선을 넘어선 과도한 부담금으로 공급 위축 발생!
· 사업 자체를 저해하는 수준의 부담금을 적정 수준으로 완화
- 현행 부과기준을 현실화
- 1주택 장기보유자, 고령자 등에 대한 배려 방안을 마련
- 임대주택 공급 등 공익에 기여하는 사업장은 감면받을 수 있도록 준비
◆ 안전진단 제도 개선을 착수합니다
신규 재건축이 과도하게 어려워져 도심 공급 기반이 약화, 주거환경 개선 및 주거상향 수요 등이 원활하지 못함
· 구조안정성 비중을 합리적인 수준으로 조정(예: 30~40% 수준) 하여 재건축 사업의 문턱을 낮춤
◆ 정비 사업 전문성·투명성을 강화합니다
일부 조합의 전문성, 투명성 부족 등에 따라 정비 사업이 장기화되는 경우와 분양을 기다려온 수요자 피해 발생
· 조합설립 없이 신탁사를 활용할 수 있도록 신탁사 사업시행자 지정 요건을 완화
* 사업장 : 정비 계획과 사업시행계획이 통합 처리
◆ 수요가 많은 지역에 보다 많은 주택이 공급됩니다
· 전국 총 270만 호 공급
- 수도권 : 수도권 전체 158만 호 공급
* 도심, 역세권, 3기 신도시
- 서울 : 가장 수요가 많은 서울 50만 호 공급
* 지난 5년간 공급된 주택(32만 호) 보다 50% 이상 증가
- 지방 대도시 : 비수도권 112만 호, 광역·자치시 52만 호, 8개 道 60만 호 공급
* 정비 사업, 노후 도심환경 개선
◆ 재개발 재건축, 도심 복합사업 등은 11만 호 늘어난 52만 호가 공급됩니다.
3기 신도시 등 공공택지에서는 지난 5년(64만 호) 대비 약 24만 호가 많은 88만 호를 공급
· 주요사업 : 140
- 정비 사업 등* : 52
- 공급 택지(3기 신도시 포함) : 88
*재개발·재건축, 도심 복합사업, 소규모 정비 사업
향후 5년간 공급될 주택은 총 270만호로 주택공급 확대를 통한 주거 안정을 이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