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2023년 11월 소비자물가동향

2023.12.05 김보경 경제동향통계심의관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지금부터 2023년 11월 소비자물가 동향 공표를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보도자료 2페이지입니다.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동향입니다.

2023년 1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112.74로 전월대비 0.6% 하락하였습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3.3% 상승하여 전월 3.8%보다 0.5%p 하락하였습니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는 전월대비 변동이 없었으며 전년동월대비 3.3% 상승하였습니다.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는 전월대비 변동이 없었으며 전년동월대비 3.0% 상승하였습니다.

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9% 하락하였고 전년동월대비는 4.0% 상승하였습니다.

식품은 전월대비 1.4% 하락하였으나 전년동월대비는 5.7% 상승하였습니다. 식품이외는 전월대비 0.5% 하락하였으나 전년동월대비 2.9% 상승하였습니다.

전월세 포함 생활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7% 하락하였고 전년동월대비는 3.4% 상승하였습니다.

신선식품지수는 전월대비 7.5% 하락하였으나 전년동월대비는 12.7% 상승하였습니다.

신선어개는 전월대비 0.8%, 전년동월대비 1.4% 각각 상승하였습니다. 신선채소는 전월대비 10.4% 하락하였으나 전년동월대비 9.5% 상승하였습니다. 신선과실은 전월대비 9.1% 하락하였으나 전년동월대비 24.6% 상승하였습니다.

자가주거비포함지수는 전월대비 0.4% 하락하였으나 전년동월대비는 2.7% 상승하였습니다.

다음은 4페이지, 부문별 동향입니다.

먼저, 지출목적별 동향을 말씀드리겠습니다.

전월대비로는 의류·신발, 음식·숙박, 주류·담배, 보건, 기타 상품·서비스는 상승하였고 통신, 교육은 변동이 없었으며 오락·문화, 주택·수도·전기·연료, 가정용품·가사서비스, 교통, 식료품·비주류음료는 하락하였습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식료품·비주류음료, 음식·숙박, 주택·수도·전기·연료, 의류·신발, 기타 상품·서비스, 가정용품·가사서비스, 보건, 오락·문화, 교육, 주류·담배, 통신은 상승하였고 교통은 하락하였습니다.

주요 부문별 등락률 추이는 5페이지 하단의 그래프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음은 6페이지, 품목성질별 동향입니다.

상품은 전월대비 1.2% 하락하였으나 전년동월대비 3.8% 상승하였습니다.

농축수산물은 전월대비 4.9% 하락하였고 전년동월대비는 6.6% 상승하였습니다.

공업제품은 전월대비 0.3% 하락하였으나 전년동월대비 2.4% 상승하였습니다.

전기·가스·수도는 전월대비 변동이 없었으며 전년동월대비 9.6% 상승하였습니다.

서비스는 전월대비 변동이 없었으며 전년동월대비 3.0% 상승하였습니다.

집세는 전월대비 0.1% 상승하였으나 전년동월대비는 변동이 없었습니다.

공공서비스는 전월대비 변동이 없었으며 전년동월대비 2.2% 상승하였습니다. 개인서비스는 전월대비 변동이 없었으며 전년동월대비는 4.2% 상승하였습니다.

품목성질별 주요 부문 등락률 추이 및 주요 등락 품목은 7페이지 표와 그래프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그럼 다시 한번 소비자물가 동향을 요약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11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월대비 0.6% 하락하였고 전년동월대비 3.3% 상승하였습니다.

전월대비로는 생산량 증가 등으로 농산물이 7.6% 하락하였고 국제유가 하락으로 석유류가 3.5% 하락하면서 0.6% 비교적 큰 폭 하락하였습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서비스, 공업제품, 농축수산물 및 전기·가스·수도가 모두 상승하여 전체 3.3% 상승하였습니다. 이는 전월에 비해서 국제유가 하락으로 석유류 하락 폭이 다시 확대되고 농축수산물, 내구재, 섬유제품 상승 폭이 둔화되면서 지난달에 비해서는 0.5%p 하락한 수치입니다.

또한, 근원물가지수를 볼 수 있는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와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는 전월대비 변동이 없었으며 전년동월대비는 각각 3.3%, 3.0% 상승한 모습을 나타냈습니다.

이상 마치고 질문 있으시면 질문 받겠습니다.


[질문·답변]
※마이크 미사용으로 확인되지 않는 내용은 별표(***)로 표기하였으니 양해 바랍니다.

<질문> 정부 전망하고 달리 농산물 가격은 여전히 강세인 것 같은데요. 어떤 배경이 있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답변> 아까도 말씀드렸다시피 농산물 같은 경우에 전월대비로는 기상 여건이 양호해지면서 출하량이 증가해서 농산물 같은 경우에는 전월대비로는 하락 폭이, 하락 폭이 지난달에는 전월대비 0.8% 하락하였는데요. 이번 달에는 7.6%, 비교적 큰 폭 하락하였습니다.

그런데 아무래도 전년동월에 비해서는 지난해에 조금 채소류 가격이 낮았던 그 기저효과가 작용해서 아직까지 동월비로는 13.6%로 비교적 큰 폭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래서 아무래도 농산물 같은 경우에 전월비로는 하락 추세이지만 동월비로는 아까 조금 높은 수준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겠습니다.

이상 질문 없으시면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끝>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