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강설 등에 따른 과수 저온피해는 제한적이며 햇과일 출하시까지 안정적 공급에는 차질이 없을 예정이다"고 밝혔습니다.
[기사 내용]
① 지난달 급격히 떨어진 기온 탓에 배 재배농가 냉해피해
② 주말 영하권 추위에 우박까지…결실 불량·조기낙과로 이어져, 과일 등 농산물 가격 상승이 불가피할 것 등
[농림축산식품부 설명]
① 3.29~4.1 기간중 나주, 순천, 상주, 진주 등에서 발생한 배 꽃눈 저온피해는 인공수분 추가(1~2회) 실시, 보조장치 활용 등 수분관리 강화를 통해 적정 착과량 확보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농촌진흥청, 농업기술원, 지자체 농업기술센터 등을 통해 피해 신고 지역을 확인한 결과, 해당 기간은 배의 개화기 직전 단계인 백뢰기로써, 당시 최저기온은 꽃눈에 저온 피해를 줄 수 있는 수준이었으나, 개화 전 단계에서 발생한 피해이므로 실제 피해는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 저온 피해온도 : (백뢰기) -4℃∼-3℃ (개화기) -1.7℃∼-0.5℃ (만개기) -1.7℃∼0℃
또한, 저온피해를 입은 과수원도 향후 이상기상에 적절히 대응하고 추가 피해를 예방한다면, 적정 착과량 확보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② 4.12~4.13 기간 발생한 강설 등에 따른 과수 저온피해는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농촌진흥청, 산지 농협, 재배 농가 등을 통해 4.12~4.13 기간 강설 등에 따른 과수 저온피해 현황을 모니터링한 결과, 충청 이북 지역 강설에도 불구하고 기온은 영상권을 유지하면서 사과, 배 등 과수에 육안으로 확인되는 피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농식품부는 만개 이후 생육모니터링을 통해 피해 여부를 정밀조사할 예정입니다.
③ 정부는 저온피해 예방을 위해 지속 노력하고 있으며, 수급관리용으로 보유중인 지정출하 물량 공급이 시작되어 햇과일 출하시까지 안정적인 공급에는 차질이 없을 예정입니다.
생육관리협의체 중심 현장기술지원을 통한 피해예방 시설 가동, 저온피해 예방약제 공급 등 현장중심 사전대비를 이행하고 있으며,
* 조기경보서비스(110개 시·군 총 38천농가) 및 사과, 배, 복숭아 자조금 가입농가(83천건) 대응 문자 발송
** 사과, 배 저온피해 예방약제 공급(~3.31일) : 6,603농가 26,161ha
안정적인 시장 공급상황을 유지하기 위해 지난 12일부터 정부가 보유한 지정출하물량(사과 2,400톤, 배 2,400톤 규모) 분산 공급을 개시하여 이를 통해 햇과일이 출하되는 7월까지 물량부족과 가격 급등 상황은 없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문의: 농림축산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 원예경영과 044-201-2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