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공공배달앱 통합포털을 구축하고, 공공배달앱을 이용하는 외식업체가 절약된 수수료를 음식가격이나 배달비에 반영하도록 안내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기사 내용]
일부 자영업자들은 오히려 땡겨요 앱 내 가격을 민간배달앱보다 1,000~2,000원 가량 비싸게 올리거나 높은 배달비를 소비자에게 전가하는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설명]
공공배달앱은 중개수수료가 2% 이하이고, 별도의 광고비가 없어 공공배달앱에 입점한 외식업체 대부분은 일부 사례를 제외하고 민간배달앱보다 높지 않은 가격으로 판매중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농식품부는 공공배달앱 활성화를 위해 지자체별로 흩어져 있는 공공배달앱과 할인 혜택 등을 한 곳에서 볼 수 있도록 공공배달 통합포털을 구축(4.7.)하고, 할인쿠폰 제공, 숏폼 공모전 등 대대적인 홍보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지자체에서도 자치구 배달 상품권 15% 할인(서울), 배달료 지원(제주, 충북), 아동급식카드 결제시 배달료 무료(대구) 등 공공배달앱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외식산업협회, 한국외식업중앙회,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등도 회원사에 공공배달앱 입점을 독려하고 있으며, 중개수수료가 저렴(최대 2%)한 공공배달앱 이용 시 음식 가격이나 배달료 등에 보다 많은 할인 혜택을 부여하도록 안내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공공배달앱 가입자와 입점 업체수는 지속 증가하고 있으며, 중개수수료가 낮고 광고비가 없는 공공배달앱에서 가격을 저렴하게 책정하거나, 배달료를 할인하는 외식업체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땡겨요(서울, 광주, 대전, 세종, 경기, 충북, 충남, 전남 등)
· 가입자수 : ('24.1) 292만명 → (6) 333(14.4%↑) → (12) 411(23.4) → ('25.3) 459(11.7)
· 입점업체수 : ('24.1) 13.8만개 → (6) 16 (14.3%↑) → (12) 19(18.8) → ('25.3) 21(10.5)
* 대구로(대구)
· 가입자수 : ('24.1) 53만명 → (6) 55(3.8%↑) → (12) 58(5.5) → ('25.3) 59(1.7)
· 입점업체수 : ('24.1) 1.8만개 → (6) 1.9(5.6%↑) → (12) 2.0(5.3) → ('25.3) 2.1(5.0)
농식품부는 앞으로도 공공배달앱의 인지도와 접근성을 높여 소상공인과 소비자의 부담을 완화하도록 노력해 나갈 계획입니다.
문의: 농림축산식품부 식품산업정책관실 식품외식산업과 044-201-2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