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축산식품부는 "정부는 주요 월동채소 수급 안정 및 소비자 부담 완화를 위해 할인·정부 가용물량 공급·수입 확대 등 대책 추진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기사 내용]
ㅇ 주요 월동채소 생산이 줄면서 가격이 고공행진하고 있다.
라고 보도했습니다.
[농식품부 설명]
① 이상기후 등으로 인한 주요 월동채소 작황부진으로 공급이 감소하여 가격이 상승하였습니다.
배추·무 등 주요 월동채소는 지난해 파종·정식기(9~10월) 고온 및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와 겨울철 주산지(전남, 제주) 대설·한파 등으로 인한 생육부진으로 생산량이 전·평년 대비 약 12~18% 감소하였으며, 이에 따른 시장 공급량 감소로 설 명절 이후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가격이 높은 상황입니다.
② 정부는 주요 월동채소 수급 안정 및 소비자 부담 완화를 위해 할인지원, 정부 가용물량 공급 및 수입 확대, 대체소비 홍보, 봄 작형 재배면적 확대 등 대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우선 소비자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배추·무·당근·양배추 등 월동채소에 대하여 대형·중소형 마트, 로컬푸드직매장, 온라인몰 등 대형소비처 할인지원(최대 40%) 기간을 3월까지 연장하고, 정부비축 겨울무 500톤을 대형마트에 도매가격의 70% 수준으로 저가 공급할 예정입니다.
또한, 공급부족 해소를 위해 정부비축, 김치업체, 산지유통인 등 저장물량 총 1.7만톤을 도매시장 등에 확대 공급하고, 배추·무·당근·양배추 4개 품목은 할당관세를 적용(~4월)하여 민간 수입을 유도할 예정입니다. 특히, 배추·무는 민간수입 물량을 인수(aT)하여 도매시장, 김치·식자재업체 등 실수요업체에 직접 공급하는 등 가공업체, 외식업체의 원재료 구매 부담을 완화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공급이 부족한 배추, 무를 대체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수급이 안정적인 봄동배추, 열무, 얼갈이배추 등 제철 채소의 소비가 늘어날 수 있도록 소비자단체 등과 협업하여 대체 소비 홍보도 병행할 예정입니다.
한편,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의 전망에 따르면 올해 봄 배추 재배면적은 전·평년 대비 약 4~6% 증가하고, 봄 무는 전·평년 대비 약 8~11% 증가하여 봄 작형 수급은 안정적일 것으로 예상되며, 정부는 봄 배추·무 계약재배 물량을 전년보다 각 30%, 20% 확대하고, 계약농가에 예비묘 구입비, 약제비 등 자재를 지원하고 정부 수매약정을 체결하는 등 봄 작형 재배면적 확대 및 수급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문의: 농림축산식품부 유통소비정책관 원예산업과(044-201-2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