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지난해 조사 전후 비정규직 등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작성 기준 변경한 바 없어

2020.05.12 통계청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통계청은 “가계동향조사 통계 개편은 통계 이용자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추진했으며, ‘정부의 통계 기준변경에 소득주도 성장이 있다’는 것은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습니다. 또 “국제노동기구(ILO)의 기준에 따라 고용통계를 작성하고 있으며, 작년 조사 전후 비정규직 등 근로형태별 부가조사의 작성기준을 변경한 바 없다”고 밝혔습니다.

5월 12일 동아일보 <통계 못 믿을 통계청>에 대한 통계청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소비지출이 7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감소」 및 「표본을 바꾼 현 정부의 통계 기준 변경 배경에는 소득주도 성장」으로 보도

□ 「지난해 비정규직 근로자가 748만1000명으로 역대 최대로 집계되었을 때도 국제노동기구(ILO) 통계 기준이 바뀌었기 때문」으로 보도

[통계청 해명]

□ 2016년 이전 가계동향조사 통계는 2인이상 비농림어가를 대상으로 작성하여 2019년의 1인이상 전체가구 통계와는 조사대상이 상이하고, 표본체계 및 조사방법 등을 개편하여 직접 비교 불가함

○ 가계동향조사 통합작성으로 개편은 통계 이용자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추진했으며, ‘정부의 통계 기준변경에 소득주도 성장이 있다’는 것은 사실과 다름

□ 통계청은 국제노동기구(ILO)의 기준에 따라 고용통계를 작성하고 있으며, 작년 조사 前後 비정규직 등 근로형태별 부가조사의 작성기준을 변경한 바 없음

○ ’19.8월 근로형태별 부가조사는 국제종사상지위분류 병행조사로 과거 조사에서 포착되지 않던 기간제근로자를 추가로 포착한 결과임

□ 통계청은 통계 대표성 및 정확성 제고를 위해 꾸준히 노력하겠음

문의 : 통계청 가계수지동향과(042-481-2213), 고용통계과(042-481-2565)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