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강산-개성공단 대금 관련 논의한 바 없다

금강산-개성공단 대금 관련 논의한 바 없다

금강산-개성공단 대금 관련 논의한 바 없다

금강산-개성공단 대금 관련 논의한 바 없다

금강산-개성공단 대금 관련 논의한 바 없다

금강산-개성공단 대금 관련 논의한 바 없다

금강산-개성공단 대금 관련 논의한 바 없다

[보도 내용]
정부가 올해 1월 금강산관광 및 개성공단 재개를 전제로 대금지급시 달러대신 쌀과 두부, 식용유 등 생필품을 제공하는 방안을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중국 선양 등에서 수차례 북한에 제안했음.
하지만 북한이 이를 거절하자 “그렇다면 쌀로 (대금의) 2배까지 주겠다”고 제안했으나 북한은 “쌀보다는 현금(달러)이 필요하다”며 거절
[통일부 설명]
정부가 올해 1월 금강산관광 및 개성공단 재개를 전제로 대금 지급시 달러 대신 쌀을 두 배로 지급하겠다고 북한에 제안했으나 거절당했다는 동아일보의 보도(5.27)는 전혀 사실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아울러 아무런 근거없이, 그리고 공식적인 확인 과정없이 남북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러한 보도가 이루어진 데 대하여 유감을 표명합니다.
남북은 작년 ‘9월 평양공동선언’에서 “조건이 마련되는 데 따라”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사업을 우선 정상화하기로 합의한 바 있으며, 정부는 이를 위해 그동안 국제사회와 협력하여 왔습니다.
개성공단 임금 지급 문제나 금강산관광 관련 비용 지급 문제 등은 순서상 우선 개성공단 및 금강산관광 재개에 관한 합의가 있고 난 이후에 논의할 사항입니다.
따라서 현재 이와 관련하여 남북간에 전혀 논의된 바 없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북미간 비핵-평화 협상의 재개 및 진전을 통해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의 조속한 재개를 위해 계속해서 노력해 나갈 것이며,
재개 이후 구체적인 운영 방안에 대해서는 우리 기업들의 의견 등을 충분히 수렴하면서 검토해 나갈 계획입니다.
문의: 통일부 정책총괄과 02-2100-5731
통일부는 “올해 1월 금강산관광 및 개성공단 재개를 전제로 대금 지급시 달러 대신 쌀을 두 배로 지급하겠다고 북한에 제안했으나 거절당했다는 보도는 사실이 아니다”고 밝혔습니다. 또 “개성공단 임금 지급 문제나 금강산관광 관련 비용 지급 문제 등은 순서상 우선 개성공단 및 금강산관광 재개에 관한 합의가 있고 난 이후에 논의할 사항으로 현재 이와 관련해 남북간에 전혀 논의된 바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보도 내용]
정부가 올해 1월 금강산관광 및 개성공단 재개를 전제로 대금지급시 달러대신 쌀과 두부, 식용유 등 생필품을 제공하는 방안을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중국 선양 등에서 수차례 북한에 제안했음.
하지만 북한이 이를 거절하자 “그렇다면 쌀로 (대금의) 2배까지 주겠다”고 제안했으나 북한은 “쌀보다는 현금(달러)이 필요하다”며 거절
[통일부 설명]
정부가 올해 1월 금강산관광 및 개성공단 재개를 전제로 대금 지급시 달러 대신 쌀을 두 배로 지급하겠다고 북한에 제안했으나 거절당했다는 동아일보의 보도(5.27)는 전혀 사실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아울러 아무런 근거없이, 그리고 공식적인 확인 과정없이 남북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러한 보도가 이루어진 데 대하여 유감을 표명합니다.
남북은 작년 ‘9월 평양공동선언’에서 “조건이 마련되는 데 따라”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 사업을 우선 정상화하기로 합의한 바 있으며, 정부는 이를 위해 그동안 국제사회와 협력하여 왔습니다.
개성공단 임금 지급 문제나 금강산관광 관련 비용 지급 문제 등은 순서상 우선 개성공단 및 금강산관광 재개에 관한 합의가 있고 난 이후에 논의할 사항입니다.
따라서 현재 이와 관련하여 남북간에 전혀 논의된 바 없습니다.
정부는 앞으로 북미간 비핵-평화 협상의 재개 및 진전을 통해 개성공단과 금강산관광의 조속한 재개를 위해 계속해서 노력해 나갈 것이며,
재개 이후 구체적인 운영 방안에 대해서는 우리 기업들의 의견 등을 충분히 수렴하면서 검토해 나갈 계획입니다.
문의: 통일부 정책총괄과 02-2100-5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