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는 현재 전국의 하천·호소 286개 퇴적물 조사지점에 대해 측정망 운영계획에 따라 시료채취 단계부터 분석, 정도관리 및 데이터 검증 단계까지 전 과정을 수행 중에 있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12일 JTBC가 보도한 <6년간 4대강 퇴적물 분석 한번 안 한 환경부> 제하 기사에 대해 이 같이 해명했다.
매체는 이날 4대강의 수질을 맡고 있는 환경부는 전문 인력이 없다는 이유로 퇴적물을 모아 놓기만 하고 가장 기본적인 퇴적물 조사조차 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퇴적물은 물 시료와는 달리 성상이 불균질하고 분석의 난이도가 높아 많은 전문 인력을 필요로 하며 현재 시료채취·분석 요원이 데이터 검증업무까지 병행하고 있는 상황으로 데이터 공개가 다소 지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참고로 퇴적물 측정망은 워싱턴주인 미국 일부 주와 벨기에 등 소수에서만 운영하고 있다.
환경부는 향후 순차적으로 측정 데이터를 공개할 계획이며 데이터 검증이 마무리단계인 2015년 측정 데이터의 조사·분석 결과를 우선 공개한 후 2016년 및 2012~2014년 조사·분석 결과도 공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또 측정자료를 관리 전담하기 위한 인력확충을 위해 단기적으로 전문위원을 충원해 측정 데이터 검증 작업을 우선 추진하며 장기적으로는 비정규직 인원의 정규직화를 통한 확충방안을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와 함께 물환경정보시스템내에 사전 스크리닝 기능을 추가해 검증시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환경부는 뿐만 아니라 최근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하천·호소 퇴적물에 대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관리방안 마련을 위해 퇴적물 평가등급에 따른 정밀조사와 오염원 관리대책 등 후속조치 내용에 대한 제도화 방안 추진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문의: 환경부 물환경정책과 044-201-7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