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새로워진 출산·양육 지원정책, 한눈에 알아보기 1편

2025년 새로워진 출산·양육 지원정책, 한눈에 알아보기 1편

2025년 새로워진 출산·양육 지원정책, 한눈에 알아보기 1편

2025년 새로워진 출산·양육 지원정책, 한눈에 알아보기 1편

2025년 새로워진 출산·양육 지원정책, 한눈에 알아보기 1편

2025년 새로워진 출산·양육 지원정책, 한눈에 알아보기 1편

2025년 새로워진 출산·양육 지원정책, 한눈에 알아보기 1편

최근 10년 간 초혼 및 출산 연령이 높아지는 상황
첫 출산 연령이 높아질수록 임신 합병증 및 유산·조산 위험, 난임 진단 가능성이 높으며 남성 난임 진단도 증가하는 추세,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위해서 임신준비 단계부터 세밀한 지원을 시작합니다.
①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확대
지역, 결혼 여부 및 자녀 수와 관계없이 모든 20~49세 남녀에게 최대 3회로 가임력 검사 비용 지원이 확대되었습니다.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가임기 남녀의 성·생식건강 증진 및 임신·출산 고위험요인의 조기 발견 기회 제공으로 난임 예방 등 건강한 임신·출산을 지원하는 사업
· 지원대상: 여성 모든 20~49세 남녀 중 가임력 검사 희망자
* 결혼 여부 및 자녀 수 무관
* 내국인 배우자가 있는 외국인 지원 가능
· 지원 검사항목
- 여성 : 난소기능검사(AMH) 부인과 초음파
- 남성 : 정액검사(정자정밀형태검사)
· 지원금액
- 여성 : 최대 13만 원
- 남성 : 최대 5만 원
· 지원 횟수: 주요 주기별 1회, 최대 3회 지원
* 29세 이하(제1주기) 30~34세(제2주기) 35~49세(제3주기)
■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지원 절차
· 지원신청: e보건소 온라인 신청 또는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방문 신청
· 지원 결정 및 검사의뢰서 발급
보건소 담당자의 지원 결정 후 검사의뢰서 발급(e보건소에서 확인 가능)
*의료기관 방문 시 검사의뢰서(출력물 또는 모바일 화면) 제시
· 검사 및 결과상담
- 기간: 신청일로부터 3개월 이내
- 사업: 참여 의료기관에서 검사 방법
· 검사비 청구 및 지급
- 기간: 검사일로부터 1개월 이내
- 방법: e보건소 온라인 청구 또는 보건소 방문 청구
* 청구일로부터 3개월 이내 지급
② 생식세포 동결보존비 지원사업 신설
의학적 사유로 영구 불임이 우려되는 남녀 대상으로 가임력 보존 및 임신·출산 가능성 확보를 위한 생식세포 동결보존 비용을 지원합니다.
· 지원 계획 : '25년 4월부터 시행
· 지원 대상 : 의학적 사유*에 의한 생식 건강 손상으로 영구불임이 우려되는 남녀
※ 결혼 여부와 무관
<생식세포 동결보존비 지원사업>
생식세포 동결보존을 위해 본인이 지출한 비용의 50% 이내, 최대 200만 원까지 지원해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겠습니다.
· 지원 규모 : 과배란 유도, 생식세포(난자·정자) 채취 및 동결 등 생식세포 동결 보존을 위해 본인이 부담한 비용의 50% 이내 지원
* 여성 최대 200만 원 지원, 남성 최대 30만 원 지원
안전하고 건강한 임신·출산·양육을 위해 보건복지부가 여러분과 동행하겠습니다.
2025 새로워진 출산·양육 지원정책 한눈에 ①
최근 10년 간 초혼 및 출산 연령이 높아지는 상황
첫 출산 연령이 높아질수록 임신 합병증 및 유산·조산 위험, 난임 진단 가능성이 높으며 남성 난임 진단도 증가하는 추세, 건강한 임신과 출산을 위해서 임신준비 단계부터 세밀한 지원을 시작합니다.
①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확대
지역, 결혼 여부 및 자녀 수와 관계없이 모든 20~49세 남녀에게 최대 3회로 가임력 검사 비용 지원이 확대되었습니다.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가임기 남녀의 성·생식건강 증진 및 임신·출산 고위험요인의 조기 발견 기회 제공으로 난임 예방 등 건강한 임신·출산을 지원하는 사업
· 지원대상: 여성 모든 20~49세 남녀 중 가임력 검사 희망자
* 결혼 여부 및 자녀 수 무관
* 내국인 배우자가 있는 외국인 지원 가능
· 지원 검사항목
- 여성 : 난소기능검사(AMH) 부인과 초음파
- 남성 : 정액검사(정자정밀형태검사)
· 지원금액
- 여성 : 최대 13만 원
- 남성 : 최대 5만 원
· 지원 횟수: 주요 주기별 1회, 최대 3회 지원
* 29세 이하(제1주기) 30~34세(제2주기) 35~49세(제3주기)
■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사업 지원 절차
· 지원신청: e보건소 온라인 신청 또는 주소지 관할 보건소 방문 신청
· 지원 결정 및 검사의뢰서 발급
보건소 담당자의 지원 결정 후 검사의뢰서 발급(e보건소에서 확인 가능)
*의료기관 방문 시 검사의뢰서(출력물 또는 모바일 화면) 제시
· 검사 및 결과상담
- 기간: 신청일로부터 3개월 이내
- 사업: 참여 의료기관에서 검사 방법
· 검사비 청구 및 지급
- 기간: 검사일로부터 1개월 이내
- 방법: e보건소 온라인 청구 또는 보건소 방문 청구
* 청구일로부터 3개월 이내 지급
② 생식세포 동결보존비 지원사업 신설
의학적 사유로 영구 불임이 우려되는 남녀 대상으로 가임력 보존 및 임신·출산 가능성 확보를 위한 생식세포 동결보존 비용을 지원합니다.
· 지원 계획 : '25년 4월부터 시행
· 지원 대상 : 의학적 사유*에 의한 생식 건강 손상으로 영구불임이 우려되는 남녀
※ 결혼 여부와 무관
<생식세포 동결보존비 지원사업>
생식세포 동결보존을 위해 본인이 지출한 비용의 50% 이내, 최대 200만 원까지 지원해 경제적 부담을 완화하겠습니다.
· 지원 규모 : 과배란 유도, 생식세포(난자·정자) 채취 및 동결 등 생식세포 동결 보존을 위해 본인이 부담한 비용의 50% 이내 지원
* 여성 최대 200만 원 지원, 남성 최대 30만 원 지원
안전하고 건강한 임신·출산·양육을 위해 보건복지부가 여러분과 동행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