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환경부 "용두천댐·감천댐, 하류 홍수 안전 확보 위한 필요시설"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환경부는 "용두천댐, 감천댐은 유역의 홍수량 분석 결과 하류 지역의 홍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한 시설"이라고 밝혔습니다.

3월 13일 MBC <'이미 6배 규모 댐 옆에 있는데'…홍수는 꼭 댐 신설로만 예방?>에 대한 환경부의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① 경북 예천에는 2023년 7월에 200년 빈도의 극한호우가 쏟아졌지만 제방을 넘지는 않음

- 또한, 인근에 예천 양수발전소가 있어 이를 홍수기에 활용 가능

② 경북 김천은 인근에 김천부항댐이 운영중이고, 200년 빈도의 극한호우에 대비하기 위해 제방도 보강했음

[환경부 설명]

< ①에 대하여 >

○ 한천(지방하천)은 현재 80년 빈도의 홍수를 방어할 수 있도록 지자체에서 보강중이나, 용두천댐을 통해 용두천 유역의 홍수량을 분담해줄 경우 200년 빈도 홍수에도 안전을 확보할 수 있음(용두천 합류후~예천 시가지 구간)

- 2023년 7월 호우 당시 예천군 시가지 지점(신예천교)의 제방이 넘치지 않았던 이유는 해당 지점 상류에서 제방이 넘치는 등 인근지역으로 홍수가 분산되었기 때문에 하류 시가지 구간 하천의 수위가 낮아진 것임

- 그럼에도 시가지 구간에서는 하천이 감당할 수 있는 최대 수위인 계획홍수위를 초과하였음

○ 양수발전소는 상시만수위까지의 저수용량을 모두 양수발전에 활용하는 구조로, 수위를 낮추어서 강우를 저류하기 위한 홍수조절용량을 확보할 수 없음

< ②에 대하여 >

○ 감천은 모래하천으로 토사 재퇴적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구조적으로 홍수 취약성이 상존하는 하천이며, 장래 기후변화에 따른 홍수량 증가 전망 등을 고려할 때 감천 유역의 항구적 치수안전성 확보를 위해서는 댐과 같은 홍수 분담 시설이 필요

- 또한, 2023년 8월에 30년 빈도의 강우가 내렸음에도 시가지 내에 위치한 김천교 수위가 '주의' 단계(EL.63.41m) 이상 상승하여 도로가 통제되는 등 홍수피해의 위험성이 상존함

○ 참고로, 기본구상 및 타당성조사 등을 통해 댐의 위치와 규모 등을 세부적으로 검증해 나갈 계획

문의 : 환경부 수자원정책관 수자원개발과(044-201-7695)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