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재난 관리 골든타임 달성률 50%로 ‘쑥’

[국민 중심의 정부3.0]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2015.10.23 위클리공감
인쇄 목록

지난해 4월 4일 울산광역시의 에스오일 온산공장에서 75만 배럴 규모의 원유탱크가 파손돼 원유가 누출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사흘 동안 14만 배럴에 달하는 원유가 유출됐다. 유출량만 놓고 보면 2013년 1월 전남 여수에서 발생한 유조선 우이산호 충돌에 따른 기름 유출량(최대 4750배럴)의 약 30배에 달한다. 하지만 사고 몇 달 전 출범한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으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는 2012년 9월 경북 구미시에서 발생한 불산 누출사고를 계기로 화학사고에 대한 국민적 불안이 높아진 가운데 출범한 화학사고 대응 및 예방 전문기관. 구미(2013년 12월 5일)를 시작으로 서산·익산·시흥(2014년 1월 24일), 울산(2014년 1월 27일), 여수(2014년 1월 28일) 등 화학물질 사용이 많은 전국 6개 주요 산업단지에 들어섰다.

울산 합동방재센터가 출범 2개월 뒤 발생한 당시 사고에서 유출된 원유는 다행히 탱크와 기름차단벽 사이에 고여 있어 인근 바다로 흘러갈 위험성은 낮았다. 환경부,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 국민안전처 등 중앙부처와 지방자치단체, 한국가스안전공사, 산업단지 인력이 합동으로 참여한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는 각 팀별(부처별) 역할을 수행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했다.

화학사고 위험 일깨운
구미 불산가스 유출사고 계기 출범

국민안전처 산하 중앙119구조본부의 화학구조팀은 유증기 때문에 폭발 위험이 있다고 보고 누출된 기름의 유증기 확산을 막기 위해 거품을 뿌리는 방식으로 방제작업을 벌였고, 구조본부의 현장지원팀이 출동해 혹시 모를 사고에 대비해 현장 주변을 차단했다. 울산해경은 해안에 오일펜스를 치고 바다로 연결되는 배수로에 기름 흡착포를 쌓아두는 등 만약의 사태에 대비했다.

회사 측은 유증기 방제작업이 끝난 후 기름차단벽에 고여 있던 원유를 치우고 탱크에 남아 있던 원유까지 4월 9일 모두 이송했다. 현장 수습 후에는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이 주민건강 조사 등 후속조치를 취했다.

이렇게 화학사고 관련 인력과 시스템을 공유·연계해 신속히 사고를 수습하고 규모 대비 피해를 최소화함으로써 합동방재센터는 정부3.0의 모범 사례로 꼽히게 됐다.

화학사고는 가공할 규모의 피해를 낳는다. 강력한 폭발 외에도 누출된 화학물질이 일으키는 2차 피해가 더 심각할 수 있다. 1984년 인도 보팔 지역에서는 공장 폭발로 농약 원료인 메틸이소시안염(MIC)이 누출돼 수십만 명의 사상자를 낸 적이 있다. 지난 8월 12일 중국 톈진항에서는 창고에 있던 컨테이너에서 대량의 시안화나트륨(일명 청산가리)이 폭발하는 대형 참사로 100명 이상의 사망자를 냈다.

우리에게 화학사고의 위험성을 일깨운 구미 불산가스 유출사고는 1991년 낙동강 페놀 오염사고 이래 가장 큰 규모의 환경오염 사고이자 첫 화학사고였다.

구미 사고 이후 합동방재센터 6개소가 만들어짐과 동시에 2014년 1월 센터 간 허브 구실을 할 ‘화학물질안전원’이 대전에 자리를 잡았다. 안전원은 화학안전종합상황실을 24시간 운영하고 화학안전 교육과 화학물질 취급 사업장의 지도 점검을 지원한다. 만일 비상상황이 발생하면 출동과 더불어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CARIS)을 가동해 사고 상황을 대응기관과 공유하도록 돼 있다.

이렇게 화학사고 관련 인력과 시스템을 공유·연계한 합동방재센터는 2014년 1월 이후 총 393건의 현장 활동과 1806건의 예방 및 대비 활동(2015년 9월 말 기준)을 수행했다. 합동방재센터 출범 이전 9.7%(2013년)였던 ‘재난 관리 골든타임(30분 이내 현장 도착)’ 달성률은 2014년 이후 50%로 높아졌다.

화학사고 발생 건수는 증가(2013년 10월 76건→2014년 10월 86건)했으나 사망자 수는 감소(2013년 10월 67명→2014년 10월 46명)했다. 또한 국민안전처가 2014년 12월 실시한 ‘합동방재센터 만족도 조사’에 따르면 산단 입주기업의 90%가량이 합동방재센터의 활동에 만족감을 표시했다.

화학재난 예방 노력 지속
화학안전과 시설, 위험경보제 시행

2015년 들어 화학안전에 대한 대비가 한층 강화됐다. 기존의 합동방재센터 활동 이외에 화학물질관리법 시행으로 유독물질, 제한물질, 사고대비물질 허가와 안전진단 업무가 지자체에서 환경부로 이관됐다. 또한 환경부 내에 ‘화학안전과’가 신설되어 화학사고에 대한 대응력을 높이고 있다. 이와 함께 위험물질을 다량 취급하는 산단에서의 화학사고에 대비해 사업장별로 위험등급을 분류하는 ‘화학사고 위험경보제’가 시행되고 있다.

시설 투자도 확대된다. 국민안전처는 10월 5일 여수산단을 시작으로 순차적으로 합동방재센터 6개소에 대한 신청사 건립 착공에 들어갔다. 2015년부터 2개년에 걸쳐 총사업비 227억 원을 들이는 합동방재센터 신청사 건립으로 한층 든든하고 효율적인 화학안전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위클리공감]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