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콘텐츠 영역

일·가정 양립하려면? 공무원에게 물었더니

“불필요한 업무 감축·정시 출퇴근 문화 정착 필요” 응답

2017.04.06 인사혁신처
글자크기 설정
인쇄하기 목록

일과 가정이 양립하는 공직사회를 조성하기 위해 공무원들은 ‘불필요한 업무 감축’ 및 ‘정시 출·퇴근 문화 정착’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사혁신처가 지난달 국가공무원을 대상으로 일·가정 양립 지원방안 마련을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불필요한 업무 감축’(16.7%), ‘정시출·퇴근 문화 정착’(16.6%), ‘육아휴직 시 경제적 지원 확대’(15.7%), ‘유연근무제도 이용 활성화’ (14.7%) 등의 제도 및 문화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또한, 공무원들이 필요로 하는 복지서비스로는 ‘믿고 맡길만한 보육시설 확대’(32.2%)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가족과 별도 거주자에 대한 주거지원 확대’(22.0%), ‘육아도우미 지원 서비스 도입’(16.4%) 등이 뒤를 이었다.

자녀의 학령에 따라 육아휴직 사용 비율을 살펴본 결과, 중학생 이상 자녀를 둔 공무원의 경우 7.6%에 불과했으나 초등학생 이하 자녀를 둔 공무원의 경우는 26.0%로 3배 이상 많았다. 특히 남성의 경우 그 비율이 3.1%에서 9.8%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공무원의 육아휴직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활용도는 여전히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자녀를 둔 공무원 중 ‘육아휴직을 충분히 사용한다’는 응답은 25.1%로 충분히 사용하지 못한다(46.8%) 답변의 절반에 불과했다.

시간선택제 근무로 전환(계획)하겠다는 응답은 26.5%인데 비해 전환계획이 없다는 응답은 52.9%였다.

시간선택제 전환근무에 부정적인 이유는 ‘소득 감소’(29.0%)가 가장 많았으며 ‘부적절한 업무’(19.3%), ‘동료의 업무부담 증가’(13.7%)가 뒤를 이었다.

박제국 인사혁신처 차장은 “정부는 최근 육아휴직기간의 경력인정 범위 확대, 가족수당 지급액 인상 등 가정친화적 인사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면서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반영해 공직사회의 일·가정 양립 지원을 위한 인사관리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신세대, 맞벌이 공무원을 위한 복지프로그램도 조속히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하단 배너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