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한·미 FTA 발효 2년…미국 시장 점유율 상승

혜택품목 교역 규모 13% 증가…투자유치도 활성화

2014.03.14 산업통상자원부
인쇄 목록

한미 자유무역협정이 발효된지 두돌을 맞았다. 사진은 새벽에도 분주한 부산항 감만부두의 모습.
한미 자유무역협정이 발효된지 두돌을 맞았다. 사진은 새벽에도 분주한 부산항 감만부두의 모습. (사진=저작권자 (c)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15일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2년째를 맞는 가운데 양국의 교역규모가 늘어나고 투자활성화 계기를 제공하는 등 우리경제 활성화에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4일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한·미 FTA 발효 2주년 성과분석에 따르면 한·미 FTA 발효 후 2년간 대미 교역규모는 발효 전 같은 기간(1974억달러)보다 4.1% 늘어난 2054억달러로 집계됐다.

미국은 전세계 GDP의 22.5%를 차지하고 있는 세계 최대시장이자 우리나라의 3위 교역상대국이다.

FTA 혜택품목의 발효 2년차 교역규모는 발효 전년에 비해 417억달러에서 471억달러로 13.0% 증가했다.

한·미 FTA 발효 전후 한미 교역현황(단위: 억불, 전동기비%)

* 동기간 비교를 위해, ‘14.2.28일까지 집계된 값을 1년으로 환산(자료: 관세청)
* 동기간 비교를 위해, ‘14.2.28일까지 집계된 값을 1년으로 환산(자료: 관세청)

◇ 대미 교역규모 증가…FTA 혜택품목 2년차 수출 5.4% 늘어

특히 FTA 발효 후 2년간 대미 수출은 같은 기간 세계수출보다 급증, 우리나라의 전체 수출에 버팀목으로 작용했다는 평가다. FTA 혜택품목은 1년차 1.6%에서 2년차 5.4%로 2년 연속 수출이 늘었다.

자동차 부품은 첫해 11.5% 증가했고 2년차에는 8.3% 늘었다. 석유제품은 첫해 36.1% 증가했고 2년차에는 5.9% 늘었다.

비혜택품목은 무선통기기기 수출의 격감(-34.1%)에 따라 1년차에는 3.5% 감소했으나 2년차에는 LTE시장이 31.3% 급성장하면서 5.7% 증가했다.

자동차도 한국산의 품질 및 브랜드가치 상승으로 16.5%, 14.7% 등 2년 연속 늘었다.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수출 선적부두에서 수출용 승용차가 선적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저작권자 (c)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수출 선적부두에서 수출용 승용차가 선적을 기다리고 있다. (사진=저작권자 (c) 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FTA 발효 후 2년간 대미 수입은 발효 전에 비해 혜택품목 위주로 증가(10.1%)해 비혜택품목 감소(23.8%↓)를 일부 상쇄했다. 혜택품목은 원동기 및 펌프(↓4.4→9.7%), 농약 및 의약품(15.9→13.4%) 등을 중심으로 수입 증가세가 지속(5.3→4.5%)됐다.

비혜택품목은 반도체(↓1.3→↓6.1%), 항공기 및 부품(↓16.3→↓12.9%) 등의 수입 부진으로 두 기간 연속 감소(↓20.7→↓3.7%)했다.

2년차 한·미 FTA 수출활용률은 75.7%로, 1년차보다 높아졌다. 대기업의 한·미 FTA 활용률(83.2%)이 중소·중견기업(69.2%)보다 여전히 높았지만 중소·중견기업의 활용률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FTA 발효 2년차 대미 농식품수출도 발효 전보다 21.4%, 발효 1년차보다 9.5% 각각 증가했다.

부류별로는 가공식품(15.2%), 과일·채소(13.0%), 축산물(113.2%), 임산물(131.3%) 등 모든 부류에서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담배류(80.1%), 기타음료(46.2), 라면(27.6), 빵(80.2), 고추장(48.4) 등 가공식품 수출이 FTA발효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다.

발효 2년차 미국산 농식품 수입은 북미지역 가뭄 등에 따른 곡물류 수입 감소 및 축산물 수입 감소로 발효 전보다 20.2% 감소했다. 축산물은 국내산 공급확대, 소비패턴 변화 등으로 12.0% 수입이 줄었다.

다만 FTA 발효 1, 2년차에 관세가 대폭 감축된 오렌지, 체리, 포도 등 일부 신선과일 수입액은 발효전 대비 2년차에 각각 7.7%, 92.4%, 93.0% 증가했다.

◇ 미국, 한국 투자 2배 확대

수출증가는 우리나라 제품의 미국시장 점유율도 끌어올렸다. 2011년 2.57%에 이르던 한국상품의 시장점유율은 2012년 2.59%, 2013년 2.75%로 조금씩 확대됐다.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은 2012년 -2.8%, 2013년 -4.2% 등으로 감소 추세에 있다. 이는 반도체, 항공기, 곡류, 사료 등의 수입 감소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다만 한미 FTA로 관세인하 혜택을 받은 미국산 제품의 수입은 10.1% 증가했다.

수출은 늘고 수입은 줄면서 무역수지도 개선됐다. 2011년 116억 달러에서 2012년 151억8000만 달러로 35.5% 늘어난데 이어 지난해는 205억4000만 달러로 53.6% 증가율을 보였다.

한·미 FTA 발효 전후 對美 투자유치현황(단위: 백만불, 전동기비%)

  * 동기간 비교를 위해, ‘14.2.28일까지 집계된 값을 1년으로 환산
* 동기간 비교를 위해, ‘14.2.28일까지 집계된 값을 1년으로 환산
 
FTA 발효 2년간 미국의 한국투자도 이전 대비 2배 수준으로 확대됐다.

FTA 발효 전 2년간 미국에서 직접 유입된 한국 투자금액은 44억 달러였지만, 발효 후 2년간은 80억 달러로 무려 82.5%의 증가율을 보였다.

M&A형 투자뿐만 아니라 신규공장 설립 등 고용창출 효과가 있는 그린필드형 투자도 모두 증가했다. 업종별로도 제조업(운송용기계, 금속분야 위주)·서비스업(금융·보험업 위주)이 모두 증가했다.

정부는 이미 추진 중인 중소기업의 FTA 활용촉진종합대책의 내실화방안을 오는 6월 수립해 정책의 효과성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또 대 FTA 발효국 외국인 투자유치 성과점검을 지속하고 FTA 허브효과를 활용한 투자유치 IR을 적극 추진한다.

아울러 취약산업에 한·미 FTA가 미치는 영향을 지속 모니터링 하고 현장수요에 부합하는 보완대책이 추진될 수 있도록 개선할 계획이다.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