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장 담그기’, 국가무형문화재 된다

문화재청, 신규종목 지정 예고…한국 음식문화 뿌리의 가치 인정

2018.11.01 문화재청
인쇄 목록

콩을 발효시키는 과정을 통해 된장과 간장 등을 만드는 ‘장(醬) 담그기’가 국가무형문화재가 된다. 

문화재청은 한국 음식문화 뿌리인 ‘장 담그기’를 국가무형문화재 신규종목으로 지정 예고했다고 1일 밝혔다.

장을 담근 항아리에 잡귀의 근접을 막기 위해 대추와 고추 등을 넣는 모습.
장을 담근 항아리에 잡귀의 근접을 막기 위해 대추와 고추 등을 넣는 모습.

‘장 담그기’는 재료를 직접 준비해서 장을 만들고 발효시키는 전반적인 과정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고대부터 이어졌으며 세대 간에 전승돼 모든 한국인이 직·간접적으로 동참한다는 점, 우리 식문화와 조리법 등 다양한 방향으로 연구될 수 있다는 점, 주거문화·세시풍속·기복신앙·전통과학 요소 등을 지닌다는 점에서 가치를 인정받았다.

다만 각 가정에서 자연스럽게 전승하는 생활관습이자 문화라는 점에서 김치 담그기(제133호), 제염(제134호)과 마찬가지로 특정 보유자·단체는 인정하지 않는다.

우리나라는 콩을 발효해 먹는 ‘두장’ 문화권에 속한다. 삼국 시대부터 장을 만들어서 먹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조선 왕실에서는 장을 따로 보관하는 장고를 두고 ‘장고마마’라 불리는 상궁이 직접 장을 담그고 관리하기도 했다.

우리나라의 ‘장 담그기’는 콩 재배, 메주 만들기, 장 만들기, 장 가르기, 숙성과 발효 등으로 이어지는데 이는 중국이나 일본과는 구별되는 독특한 제조법이다.

또 메주를 띄우는 과정을 거친 후 된장과 간장 두 가지의 장을 만든다는 점, 전년도에 쓰고 남은 씨간장을 이용해 수년 동안 겹장의 형식을 거친다는 점 등은 한국의 ‘장 담그기’가 갖는 특징이자 독창적인 대목이다.

문화재청은 30일 이상 지정 예고 기간 동안 각계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무형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적으로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여부를 결정한다.

문의: 문화재청 무형문화재과 042-481-4994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