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노동부는 15일 아주경제의 <청년실업률 10%대…해외취업 정책 ‘유명무실’> 제하기사와 관련해 “2011~13년까지의 해외인턴사업의 주된 목적은 해외취업 보다는 대학 재학생 등을 대상으로 해외 산업현장 실무경험을 쌓는 글로벌 역량 제고에 중점을 두고 있었다”며 “다만, 지난해부터 해외인턴 사업의 해외취업률 제고를 위해 졸업 예정자 비중 확대(’14년 50% → ’15년 70% 이상), 취업 가능성이 높은 채용 연계형 인턴 기업 선정 등 취업 연계성을 강화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또한 “지난해 해외취업자는 1679명이며, 1인당 880만원~1100만원을 지원하므로 1인당 2800만원이 투입되었다는 내용은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참고로 해외취업자 지원금은 580만원(K-Move 스쿨 단기과정) 또는 800만원(K-Move 스쿨 장기과정) + 300만원(취업성공장려금)이다.
고용부는 아울러 “2013~14년도 해외취업자의 평균 연봉은 2600만원이고, 2000만원 이하자 비율은 25.9%로 2000만원 이하가 절반이 넘는다는 내용도 사실과 다르다”고 해명했다.
갓 대학을 졸업하고 해외취업 연수과정을 수료한 청년(평균 25.4세)의 평균 연봉은 2300만원이며, 2~3년 경력이 있는 알선 취업자(평균 29.4세)의 평균 연봉은 3200만원이다.
고용부는 또한, “해외취업 정책은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국가별로 차별화된 전략이 불가피하다”며 “특히, 신흥국의 경우 현지 외국기업이 오히려 임금·근로조건 등에 있어 청년의 희망수준에 맞지 않기 때문에 일자리 수요가 있는 한국 진출기업 등을 중심으로 취업을 지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고용부는 현지 한국기업으로의 취업은 해외현지 전문가로 성장하고, 글로벌 기업에 취업할 수 있는 디딤돌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2013~14년도 해외취업자 중 외국기업에 39.2%, 해외진출 한국기업에 13.8%, 한인기업에 38.2%가 취업하고 있어 80% 이상이 해외 주재 한국기업에 취업했다는 내용은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