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넷플릭스’와 시네마의 미래

[영화 A to Z, 시네마를 관통하는 26개 키워드] ⓝ NETFLIX(넷플릭스)

2020.07.03 이지현 영화평론가
인쇄 목록

미국의 영화제작자들이 ‘넷플릭스(Netflix)’를 일컬어 “실리콘밸리의 기술 분야가 영화적 논쟁이 된 경우”라고 소개하는 것을 들은 적 있다. 이 언급의 배경에는 “넷플릭스의 근원지는 할리우드가 아니다”라는 의미가 생략되어 있다.

오랜 기간 ‘미국영화 전체’와 동의어 격으로 여겨진 ‘할리우드’의 입장에서, 이러한 변화는 큰 충격이었을 것이다. 비견컨대 1999년 넷플릭스가 ‘VOD 서비스’를 시작할 단계에서 누구도 이 회사가 상징적 의미에서 ‘할리우드를 위협할 것’이라고 예상하진 않았다.

하지만 집안에 앉아 최신 개봉작을 관람하는 일이 잦아진 요즘, 이 거대 미디어기업을 바라보는 태도는 달라지고 있다.

◈ 잃어버린 영화관

1970년대 루이 스코렉키는 “만일 ‘새로운 씨네필’이란 명칭을 사용할 수 있다면, 그건 다름 아닌 집에서 뒹굴거리며 TV를 즐기는 ‘카우치 포테이토(couch potato)’에게 해당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이 고민을 현대적으로 바꾸어본다. “만일 누군가 집에서 넷플릭스를 통해 매일 영화를 본다면, 그를 씨네필이라고 불러도 될까?”라고.

리드 헤이스팅스 넷플릭스 CEO가 지난해 11월 25일 부산 벡스코 2전시장에서 열린 2019 한-아세안 특별 정상회의 ‘문화혁신포럼’ 행사에 참석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리드 헤이스팅스 넷플릭스 CEO가 지난해 11월 25일 부산 벡스코 2전시장에서 열린 2019 한-아세안 특별 정상회의 ‘문화혁신포럼’ 행사에 참석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상 영화관의 존폐 논쟁은 영화계가 계속 이어왔던 고민들 중 하나다. 1950년대 누벨바그 이후로 줄곧 ‘시네마’는 TV를 의식했다. 텔레비전이 보편화되고 극장 수가 감소하는, 이러한 분위기는 1980년대까지 지속됐다.

한편 텔레비전도 영화를 마다하지 않았다. 일종의 콜라보처럼, 영화가 TV에서 상영되고 간혹 ‘영화채널’도 만들어졌다. 그럼에도 영화관은 살아남았다. 그 이유를 단지 스크린과 ‘대면’하는 과정에서 얻는 ‘암흑의 충만감’ 때문이라 설명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과거 할리우드가 내놓은 ‘전환기 매체와의 전쟁’을 돌아보며 지금의 상황을 살피려 한다. 1950년대 매체 전환기에 할리우드는 스펙타클과 엔터테인먼트의 입장에서 ‘외향적’ 강구책 몇 가지를 마련했다.

① 시네마스코프(CinemaScope)라 불리는 ‘와이드 스크린’의 경우, 지금까지 극장에서 이용되고 있다. 심지어 극장의 화면비가 텔레비전으로 건너가 TV는 16:9 포맷으로 변형되었다.

② 극장이 아니라 ‘옥외 상영 장소’를 이용해 영사하는 방식도 매체 전환기에 시작된 방식이다. 자동차에서 영화를 보는 드라이브인(drive-in)이 가장 대표적 사례다.

③ ‘3D 입체영화’의 등장도 당대의 이벤트였다. 참고로, 영화사에서 처음 관객들에게 입체안경을 씌운 것은 1930년대 뤼미에르 형제였다. 하지만 이들은 실패했다.

그로부터 20년 후, 영사기 2대를 이용해 스크린을 입체적으로 보이게 만드려는 시도가 할리우드에서 있었다. 알프레트 히치콕의 <다이얼 M을 돌려라>(1954년작)가 그 작품이다.

영화에서 그레이스 켈리가 자신을 죽이려는 인물을 피해 ‘가위’ 쪽으로 손을 뻗을 때, 화면 밖으로 이미지가 튀어나오기를 감독은 원했다. 하지만 당대의 입체 화면은 프레임을 벗어나지 못했고, 전체적으로 3D안경으로 바라보는 화면의 해상도 역시 흐릿했다.

그럼에도 당시 시도는 성공적이었다. 다이얼을 돌리는 배우들의 행동이 입체적으로 드러나는 것을 보며, 관객들은 즐거워했다.

④ 거대 관중을 겨냥한 ‘블록버스터’ 개념이 처음 등장한 것도 50년대다. 커다란 화면을 이용한 극장의 장점은 최대한 부각됐다. 자본과 스펙타클은 그렇게 스크린 안에서 긴밀히 소통하기 시작했다.

◈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

매체적 관점이 아니라 순전히 연출자의 입장에서, 예를 들어 경제적이거나 제도적 관행을 떠나 ‘미학적’ 측면에서 넷플릭스를 반대할 이유가 있을지에 대해서도 생각해야 한다.

아마도 그 대답은 부정적일 것이다. 감독의 입장에서, 기업의 투자 제안을 ‘극장에서 상영하지 못한다’는 이유로 밀어내기란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과거 텔레비전 전환기에 장 뤽 고다르, 알프레드 히치콕, 로베르토 로셀리니 등 거장들은 자신들의 활동범위를 다각도로 넓히는 데 주저하지 않았다.

씨네필의 입장에서도 특정 영화를 인터넷으로 감상해선 안 된다고 주장하기 어렵다. 그런 면에서 현재 가장 불편한 것은 기존 제도에 안착한 ‘제작자들’이다.

2019년, 넷플릭스는 ‘넷플릭스 오리지널(Netflix Originals)’이라 불리는 독점적 라이센스의 콘텐츠들을 대중들에게 대거 소개했다. 현재 넷플릭스 플랫폼의 8% 정도가 오리지널 콘텐츠로 채워져 있다.

그중 다수는 ‘영화’ 콘텐츠로, 일부는 제작된 것이 아니라 국내에 소개된 적 없는 영화의 ‘최초 공개’를 의미한다. 그럼에도 극장이나 TV에 소개되지 않았기에 ‘국내 개봉’과 동등한 가치를 가진다.

1954년 스코렉키가 언급한 ‘포스트시네마(post-cinema)’의 적기는 어쩌면 당시보다 지금이 더 적합할 것이다.

그가 말한 포스트시네마 시대의 마지막 걸작 리스트도 ‘<현기증>(1958년작),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1959년작), <새>(1963년작)’가 아닌, ‘<설국열차>(2013년작), <로마>(2018년작), <아이리시맨>(2019년작)’으로 바뀌어야 할 것 같다.

제도적으로나 관행적으로 새로운 유통구조로의 전환은 피할 수 없는 과제가 됐다. 다만 여전히 큰 문제는 ‘복제’와 연관되어 있다. 1990년대 스티븐 소더버그가 그토록 비난하던, 극장에서 몰래 촬영한 ‘DVD의 유통’ 사례는 어느새 낡은 고민이 되어버렸다.

일부의 영화감독, 그리고 미디어아티스트의 작품에서 ‘복제를 통한 포스트모던한 창작 방식’을 발견한다. 그렇지만 이 방법으로 영화팬들의 기대를 채우기는 역부족이다.

지극히 평범한 영화팬의 입장에서도, 영화를 ‘어떻게 볼 것인가’하는 문제는 단순히 상업적 영역이 아니기 때문이다.

막대한 자본으로 시장을 잠식한 넷플릭스의 행보를 바라보며 영화의 미래를 생각한다. 이 영역을 ‘영화의 죽음’과 같은 추상적 표현으로 설명할 수는 없다. 좀 더 세밀하고 물리적인 ‘프로그래밍’과 ‘프로덕션’의 융합적 해결책이 필요해 보인다.

어쩌면 이미 확립된, 시네마의 체계가 그 주도권을 쥐고 있을 수도 있다.

이지현

◆ 이지현 영화평론가

2008년 '씨네21 영화평론상'으로 등단했다. 씨네21, 한국영상자료원, 네이버 영화사전, 한겨레신문 등에 영화 관련 글을 썼고, 대학에서 영화학 강사로 일했다. 2014년에 다큐멘터리 <프랑스인 김명실>을 감독했으며, 현재 독립영화 <세상의 아침>을 작업 중이다. 13inoche@gmail.com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