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페스트’를 다시 펼치며

2020.02.20 한기봉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윤리위원
인쇄 목록

코로나19 뉴스를 한 달 가까이 매일 접하면서 전염병과 인간의 사투를 그린 책이나 영화를 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다. ‘컨테이젼’(2011년)이나 ‘아웃브레이크’(1995년) 같은 영화를 찾아봤다. 그런데 재난영화는 사실 재미있게 보면서도 그 과정과 결말이 뻔하다. 생각할 틈도 없고 큰 울림이 없었다.

바로 책 한 권이 떠올랐다. 알베르 카뮈의 ‘페스트’다. 다행히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시리즈 중 한 권으로 책장 구석에 먼지를 뒤집어쓴 채 남아있었다. 언제 읽었는지 그 내용이 가물거린다. 처음 읽는 책 같은 기분이 들었다. 어떤 문장에서는 숨이 턱 막혀 책장을 덮고 한참 천장을 응시했고, 어떤 구절에서는 도끼로 한 대 맞은 듯 머리가 쭈뼛거렸다. 역시 성찰을 주는 건 영상이 아니라 글이다.

카뮈는 ‘페스트’(원제 ‘La Peste’)를 2차 세계대전이 끝난 얼마 후인 1947년 서른 네 살에 발표했다. ‘이방인’으로 주목을 받았으나 유명 작가의 반열은 아니었다. ‘페스트’는 그 해의 비평가상을 받으며 상업적 성공을 갖다 주었다. 작가가 현대문학사에 남긴 족적만큼이나 20세기 문학의 가장 기념비적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르포르타주 형식의 소설이다.

1940년 가공스런 페스트가 휩쓸기 시작한 북아프리카의 항만 도시 오랑. 비극은 한 의사가 계단에서 죽은 쥐 한 마리를 발견하면서부터 시작된다. 도시는 급속도로 퍼져가는 페스트로 외부와 완전히 차단되고 기능을 상실한다.
 
대재앙 앞에 선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은 다 다르다. 중요한 등장인물인 기자와 신부, 의사, 평범한 시민은 각기 역병을 방관하거나 초월적 태도를 보이거나 비겁하게 숨거나 투쟁을 선택한다.

울림을 주는 몇 문장을 옮기는 것으로 대신한다.

“내가 확실하게 알고 있는 것은(…)사람은 저마다 자신 속에 페스트를 지니고 있다는 거예요. 왜냐하면 이 세상 그 누구도 페스트 앞에서 무사하지 않으니까요. 그리고 자칫 방심한 순간에 남의 얼굴에 입김을 뿜어서 전염시키지 않도록 끊임없이 조심해야 한다는 것도 알고 있어요. 병균은 자연스러운 것이고, 그 외의 것들, 이렇게 말해도 괜찮다면 건강, 청렴결백함, 순결함 등은 의지의 소산이에요. (…)정직한 사람, 거의 아무도 감염시키지 않는 사람이란 가능한 한 방심하지 않는 사람을 뜻해요.”

“페스트 환자가 되는 것은 피곤한 일이지만, 페스트 환자가 되지 않으려는 것은 더욱 피곤한 일이에요. 그래서 모든 사람이 피곤해 보이는 거예요. 오늘날에는 누구나 어느 정도는 페스트 환자거든요.”

“불행 속에는 추상적이고 비현실적인 면이 존재한다. 그렇지만 추상적인 관념이 우리를 죽이기 시작할 때는 정신을 바짝 차리고 그 관념과 잘 맞서야 한다.”

“세계의 질서는 죽음에 의해 좌우되는 것이니만큼, 아마 신으로서는 사람들이 자기를 믿어 주지 않는 편이 더 나을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신이 그렇게 침묵하고만 있는 하늘을 쳐다볼 것이 아니라 있는 힘을 다해서 죽음과 싸워 주기를 더 바랄지도 모릅니다.”

“어둠 속에서 더듬거리면서라도 전진을 계속해야만 하고 선을 행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래서 나는 인간의 모든 불행은 그들이 정확한 언어를 쓰지 않는 데서 온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정도를 걸어가기 위해 정확하게 말하고 행동하기로 마음먹었습니다.”

“페스트로부터 빠져나온 건 개개인들이 기울인 절망적이지만 단조롭고 꾸준한 노력들이다. 그것은 바로 그들을 위협하는 굴욕을 거부하려는 그들 나름의 방식이다.”

소설의 서술자인 의사 리유는 이렇게 끝맺는다.

“인간에게는 경멸해야 할 것보다는 찬양해야 할 것이 더 많다는 사실만이라도 말해 두기 위하여, 지금 여기서 끝맺으려고 하는 이야기를 글로 쓸 결심을 했다. 이 기록은 성자가 될 수도 없고 재앙을 용납할 수도 없기에 의사가 되려고 노력하는 모든 사람들이 그들의 개인적 고통에도 불구하고 공포와 그 공포의 지칠 줄 모르는 무기에 대항해 완수해야만 했고 아마도 여전히 완수해야 할 그 무엇에 대한 증언일 뿐이다.”

그의 이 대사가 아마도 소설 ‘페스트’의 정수가 아닌가 싶다.

“이 모든 일은 영웅주의와는 관계가 없습니다. 그것은 단지 성실성의 문제입니다. 아마 비웃음을 자아낼 만한 생각일지도 모르나, 페스트와 싸우는 유일한 방법은 성실성입니다. 그 성실성이란 자기가 맡은 직분을 완수하는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페스트와의 10개월간의 사투에서 앞장 선 사람은 도시의 지도자나 높은 관료들이 아니었다. 성실하게 싸워 이긴 의사 리유를 비롯한 평범한 개인들이었다. ‘타루’라는 평범한 이는 이 도시의 여행객이었지만 탈출하지 않고 자원봉사 공동체를 만들어 활동하고 장렬히 전사한다. 작은 일이라도 찾아서 조용히 돕는 시청의 말단 공무원도 등장한다.

문학비평가들은 카뮈에게 있어 ‘페스트’는 꼭 전염병만은 아니라고 한다. 대기근이든 자연재앙이든 전쟁이든 인간의 운명에 어느날 갑자기 불쑥 끼어들어 공포와 죽음으로 몰고가는 ‘어처구니없고 부조리한’ 모든 걸 상징한다고 풀이한다.

소설을 읽다보면 페스트를 물리친 것은 ‘희망’과 ‘의지’와 ‘연대’, 이 세 가지임을 어렵지 않게 깨닫게 된다. 실존주의 작가 카뮈는 여러 군상의 모습을 빌려 절망을 극복하는 길은 결국 개개인의 묵묵한 의지와 사람간의 연대, 잔혹한 현실 앞에서도 희망의 끈을 놓지 않는 것이며, 그것야말로 바로 어떤 ‘부조리한’ 현상에 대한 진정한 승리라고 말한다.

한기봉

◆ 한기봉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윤리위원

한국일보에서 30년간 기자를 했다. 파리특파원, 국제부장, 문화부장, 주간한국 편집장, 인터넷한국일보 대표, 한국온라인신문협회 회장을 지냈다.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초빙교수로 언론과 글쓰기를 강의했고, 언론중재위원을 지냈다. hkb821072@naver.com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