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우습지 않은’ 최초의 사투리 랩

[한국힙합의 결정적 노래들-20] MC 메타 ‘무까끼하이’

2019.07.15 김봉현 힙합 저널리스트/작가
인쇄 목록

MC 메타는 한국에서 한국인이 추구하는 힙합이란 어떤 모습이 되어야 하는지 늘 고민해온 인물이었다.

예를 들어 한국의 국악을 샘플링한 ‘불한당가’(2013)는 그의 주도로 완성된 노래였다. 하지만 이런 맥락으로 이야기할 때 절대 빠뜨릴 수 없는 노래가 있다. 바로 ‘무까끼하이’다. 

힙합경연 프로그램 ‘쇼미더머니2’ 제작보고회에서 MC 메타가 포토타임을 갖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힙합경연 프로그램 ‘쇼미더머니2’ 제작보고회에서 MC 메타가 포토타임을 갖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무까끼하이’는 ‘한국에서 힙합에 지역성을 가미한’ 시도 중 가장 훌륭한 결과물이다. 일단 당신은 제목이 무슨 뜻인지 도저히 알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한국인의 99%는 모를 테니 너무 자책하지 않아도 된다. ‘무까끼하이’는 ‘무식하게’ 정도로 해석할 수 있는 대구 사투리다. 즉 이 노래의 제목은 사투리고 이 노래의 랩 전체 역시 사투리로 쓰여 있다. 일명 ‘사투리 랩’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힙합 역사에서 사투리 랩이 없었던 건 아니다. 몇몇 시도가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 둘 중 하나로 귀결되었다.

애초에 코믹함을 의도해서 의도대로 코믹한 결과물이 되는 경우. 그리고 이와 달리 웃기려는 의도는 없었으나 능력 부족으로 인해 예술적으로 진지하게 받아들일 수 없는 결과물이 되는 경우.

나는 지금 ‘무까끼하이’가 이 두 경우 어디에도 해당하지 않음을 말하고 있기는 하지만 MC 메타 역시 실패의 쓴 맛을 삼킨 적이 있었다.

지금으로부터 20여 년 전, 가리온의 노래 ‘거짓’을 통해서였다. 이 노래의 일부에 포함된 사투리 가사에 대해 엠씨 메타는 나와의 인터뷰에서 이렇게 회상했다.

“‘거짓’에서 내가 시도한 사투리 랩은 웃기려고 한 게 아니었다. 진지하게 쓴 가사였다. 그러나 사람들은 그 부분을 코믹하게 받아들였다. 그 때 깨달았다. 사투리 랩을 제대로 보여주지 않으면 오히려 편견만 더 키우겠구나. 그래서 오랫동안 고민하고 연구한 끝에 발표한 노래가 바로 ‘무까끼하이’다.”

일단 랩에서 사투리를 쓰는 것 자체가 래퍼의 개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MC 메타는 나와의 인터뷰에서 이런 말도 했다.

“힙합은 나를 대표하는 문화다. 음악에 우리 고유의 것을 섞는다는 것은 결국 남들과 다른 나를 더 확실히 대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나 다름없다. 우리만의 것이 생기는 것이다”

MC 메타는 ‘무까끼하이’에서 대구 사투리를 사용함으로서 대구를 대표했다.

그러나 대구 사투리를 썼다는 사실이 ‘무까끼하이’가 지닌 가치의 전부라면 이 글을 쓰지도 않았을 것이다. 핵심은 ‘무까끼하이’가 한국힙합 역사에서 ‘우습지 않은’ 최초의 사투리 랩이라는 점에 있다.

MC 메타는 사투리를 스타일이나 이미지의 맥락만으로 활용한 것이 아니었다. 대신에 그는 사투리 중에서도 경상도 사투리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한 후, 그 언어적 특성을 랩의 규칙 및 방법론과 결합시켰다.

그는 사투리의 활용을 위해 랩을 랩답게 해주는 요소들을 포기하는 우를 범하지 않았다. 대신에 그는 사투리와 랩을 화학적으로 섞어 한국힙합 역사에서 누구도 성취하지 못했던 것을 성취했다.

MC 메타(왼쪽)는 1997년부터 나찰과 힙합 듀오 ‘가리온’으로 활동한 한국 힙합 1세대 뮤지션이다. 사진은 2011년 제8회 한국대중음악상 시상식에서 최우수 랩&힙합 노래와 올해의 음반 등 3관왕을 차지한 가리온.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MC 메타(왼쪽)는 1997년부터 나찰과 힙합 듀오 ‘가리온’으로 활동한 한국 힙합 1세대 뮤지션이다. 사진은 2011년 제8회 한국대중음악상 시상식에서 최우수 랩&힙합 노래와 올해의 음반 등 3관왕을 차지한 가리온.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경상도 사투리는 흔히 ‘억센’ 느낌을 준다. 또 유독 거센소리와 된소리가 많은 것처럼 들리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일까, 경상도 사투리는 ‘타격감’이 강하다는 인식이 있다. MC 메타 역시 경상도 사투리의 타격감을 알고 있던 모양이다.

‘무까끼하이’를 들으며 머릿속에 들어오는 것은 사투리의 생경함보다는 그것이 랩의 근본적인 속성과 잘 맞아떨어진다는 사실이다. 멜로디나 화성이 아니라 ‘리듬’을 핵심으로 삼는 랩의 근본적인 속성 말이다.

경상도 사투리 특유의 ‘성조’ 또한 이 노래에서 십분 활용된다. MC 메타가 참여한 MBC 다큐멘터리 <사투리의 눈물>에서 부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이근열 교수는 “경상도 사람의 머릿속에는 이미 높낮이를 구별하는 능력이 내재해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MC 메타는 나와의 인터뷰에서 경상도 사투리의 성조가 만들어내는 뉘앙스가 ‘무까끼하이’에서 매우 중요한 포인트라고 말한다.

“경상도 사투리의 성조가 만들어내는 뉘앙스가 개성이나 스타일을 만들어준다고 생각한다. 사운드의 면에서 다른 맛을 안겨준다고 할까. 물론 처음에는 낯설거나 적응이 안 될 수도 있다. 그러나 홍어나 과메기의 맛을 처음에는 모르다가 그 맛을 알게 되면 나중에 중독되듯, 경상도 사투리의 성조 또한 그런 묘한 중독성이 있다고 본다.”

경상도 사투리 특유의 ‘경제성’ 또한 빠뜨릴 수 없다. 경상도에서는 ‘기름’을 ‘지름’이라고 발음하기도 한다. 왜 이러는지 모르겠다면 직접 발음을 해보면 알 수 있다.

입 안에서 ‘ㄱ’과 ‘ㄹ’보다 ‘ㅈ’과 ‘ㄹ’의 거리가 훨씬 가깝다. 즉 기름보다 지름이 힘을 덜 들이고 발음할 수 있다. 쉽고 편한 발음으로 바꿔버리는 것이다.

또 경상도 사투리는 음들이 정확히 분절되어 있는 서울말을 마구(?) 변형시킨다. 받침은 없애버리고 떨어져 있는 음은 합쳐버린다.

“뭐라고 하셨습니까?”라는 말이 있다고 해보자. 경상도에서는 이 말을 “뭐라하노?”라고 한다. 받침은 없어졌고 두 어절은 한 덩어리가 됐다.

‘무까끼하이’의 한 부분을 예로 들어보자. ‘말아먹느니 마니 말이 많이 나오니까’라는 서울말을 엠씨 메타는 경상도 사투리를 활용해 ‘말아무이마이 말이 마이 나오이’라고 바꾼다.

음절 수는 물론 어절 수도 줄어들었고, 받침이 없어지니 끊어져 있던 음들이 한층 더 연결되었으며, 이 연음효과는 서울말로는 해낼 수 없는 그루브를 만들어냈다.

‘무까끼하이’는 장난이 아니다. 위대한 성취다.

김봉현

◆ 김봉현 힙합 저널리스트/작가

대중음악, 특히 힙합에 관한 다양한 활동을 꾸준히 해오고 있다. 책을 쓰고 강의를 하고 영화제를 만들고 가끔 방송에 나간다. 시인 및 래퍼, 시와 랩을 잇는 프로젝트 ‘포에틱저스티스’로도 활동하고 있다. 랩은 하지 않는다. 주요 저서로 <한국 힙합, 열정의 발자취>, <한국힙합 에볼루션>, <힙합-우리 시대의 클래식>, <힙합-블랙은 어떻게 세계를 점령했는가>, <나를 찾아가는 힙합 수업> 등이 있고, 역서로는 <힙합의 시학>, <제이 지 스토리>, <더 에미넴 북>, <더 스트리트 북>, <더 랩: 힙합의 시대> 등이 있다. murdamuzik@naver.com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