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쇼핑몰로 간 대통령, 쇼호스트 된 장관…영리하게 출범한 ‘브랜드K’

고석용 머니투데이 기자

2019.09.19 고석용 머니투데이 기자
인쇄 목록

고석용 머니투데이 기자
고석용 머니투데이 기자
정부를 출입하는 기자로서 딜레마에 빠질 때가 종종 있다. 비리나 일탈, 불법처럼 명확하게 선악이 구분되지 않는 정책을 다룰 때다. 누군가 밤을 새워 고민한 결과인 정책을 부실하다며 조목조목 물어뜯는 상황은 그다지 마음편한 일이 아니다.

때론 ‘나라면 더 좋은 대안을 내놓을 수 있을까’, ‘잘한 점은 그대로 두고 나쁜 점만 부각시킨 건 아닐까’하는 마음에 기사를 쓰면서도 불편해진다.

하지만 바쁜 국민들을 대신해 정책과 정부사업을 감시하고 비판하는 것은 기자의 존재 의미기도 하다. 기자들은 이 둘 사이에서 끊임없이 고민한다. 길지 않은 기자 생활이지만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정책을 바라볼 때는 나름의 기준을 세워본다. 첫번째는 정책대상자인 국민이 원하는 정책이냐는 점, 두번째는 국민에게 도움이 되는 정책이냐는 점이다.

당연한 기준이지만 둘 중 하나를 충족시키지 못한 정책은 의외로 많다. 어떤 정책은 국민이 원하지 않는다. ‘신청률·집행률 저조’ 등의 헤드라인으로 언론을 장식하는 정책들이다. 또 어떤 정책은 정작 국민에게 도움이 되지 않는다. ‘실효성 부족’이라는 비판이 따르는 정책들이다. 많은 언론이 한목소리로 비판하는 정책이라면 실효성은 있지만 신청·집행이 저조하거나 활발한 시행에도 별다른 효과가 없는 정책일 가능성이 높다.

이런 기준에서 이달 초 중소벤처기업부가 야심차게 출범시킨 ‘브랜드K’는 첫번째 허들을 넘었다. 정책대상자인 중소기업들에 수요가 있는 정책이어서다. 규모가 작은 중소기업이 브랜드파워가 부족해 시장진입에 어려움을 겪는 것은 비단 우리나라만의 이야기가 아니다. 중소기업 협동조합은 이를 위해 공동브랜드 출범과 관련한 다양한 시도를 해왔지만 신뢰성있는 브랜드를 만드는 데는 실패했다.

이에 중기중앙회는 2017년부터 공신력 있는 공동브랜드 출범을 추진해왔다. 문재인 정부는 이에 응답해 공동브랜드 개발을 국정과제에 포함시키고 예산을 편성해 힘을 보탰다. 소극적으로 예산을 지원하는 데서 머물지도 않았다.

기업선정, 브랜드출범 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국가가 인증했다’는 신뢰도를 더해 기존 공동브랜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도 마련했다. ‘톱다운(Top-down)’이 아닌 ‘바텀업(Bottom-up)’ 방식으로 중소기업들의 수요를 합리적으로 반영한 것이다.

효과는 있었을까…‘일단은 긍정적’

아직 출범 2주밖에 안 된 사업인만큼 실효성을 논하기는 이르다. 다만 집행기관인 중기부의 브랜드K 출범식은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평가할만 하다. 중기부는 브랜드K의 효과적인 출범을 알리기 위해 출범식 일정을 문재인 대통령의 태국 순방과 맞췄고 K팝스타들과 연계한 ‘쇼’를 진행하면서 국내외 소비자들의 이목을 끌었다.

문 대통령이 천장이 윗층까지 뚫려 경호가 어려운 중심가 쇼핑몰에 직접 참석한 점, 박영선 중기부 장관이 쇼호스트를 자처하며 행사장에 나타난 점도 이례적인 모습이었다. 박 장관은 “현지인들에게 브랜드K를 효과적으로 알리기 위해 다양한 방식을 고민했다”고 전했다. 정책담당자로서는 쉽지 않은 결정이었겠지만 현지인들의 이목을 끄는 데는 성공적이었고 문 대통령도 “태국 순방 중 특별히 인상에 남는 행사였다”고 떠올렸다.

브랜드K 런칭쇼 현장인 태국 방콕 쇼핑몰 센트럴월드가 사람들로 북적이고 있다.(사진=중소벤처기업부)
브랜드K 런칭쇼 현장인 태국 방콕 쇼핑몰 센트럴월드가 사람들로 북적이고 있다.(사진=중소벤처기업부)

실제로 브랜드K 출범식이 개최되던 2일 방콕 중심지 쇼핑몰인 센트럴월드 1층 동(東)측에는 수많은 인파가 K팝스타를 보기위해 오전부터 줄을 서있었다. 서(西)측에는 독일 자동차 미니(MINI)의 기획전시가 열리고 있었지만 월요일이어서 쇼핑객들은 많지 않았다. 하루평균 10만명 이상이 찾는 것으로 알려진 센트럴월드에서 가장 북적이던 곳이 브랜드K 런칭쇼 현장이었던 셈이다.

시민들과 유통 관계자들의 반응도 호의적이었다. 현장에서 만난 엑소 팬 포크(19)씨, 위키미키 팬 벨(20)씨, 동반신기 팬 잰(23)씨는 “한국 연예인이 사용하는 제품이라면 꼭 사용해보겠다”고 입을모아 말했다. 현지 관계자들의 반응도 뜨거웠다. 피에르 포이그넌트 라자다그룹 대표는 “동남아시아 소비자들은 한국의 문화와 제품들을 사랑한다”며 “브랜드K가 성공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라자다는 동남아시아 전자상거래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업체로 동남아의 아마존으로 불리는 기업이다.

성공도취는 금물…관건은 실효성 확보·유지

브랜드K 정책의 남은 과제는 실효성을 확보·유지하는 것이다. 아무리 중소기업이 ‘공동브랜드를 만들어달라’고 외쳤다 한들, 공동브랜드가 판로확보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실패한 정책일 수밖에 없다. 출발이 좋았어도 브랜드K 유지·관리가 소홀해지면 정책은 용두사미로 전락할 수 있다. 더구나 ‘국가의 인증’을 표방했는데 문제가 발생한다면 중소기업 판로악화는 물론 국가신뢰도 손상까지 가져는 최악의 정책이 될 수 있다.

브랜드K는 단순 예산 지원사업이 아니다. 국가가 가상회사를 설립하고 유통 일부분을 담당하는 정책이다. 브랜드K를 성공시킬 수 있는 방법은 가상회사의 운영을 얼마나 잘 하냐다. 입점업체 선정 과정에서 문제가 생기거나 인증·유통 과정에서 중기부가 소홀해질 경우 브랜드K라는 유통회사는 순식간에 몰락할 수 있다. 반면 좋은 제품들이 브랜드K에 들어오고 성공적으로 유통되면 신뢰도는 높아지고 더 좋은 제품들이 브랜드K에 몰리는 선순환이 이뤄질 것이다. 이제 남은 건 중기부의 몫이다. 브랜드K가 ‘스위스-메이드’ 라벨처럼 모두가 원하는 인증브랜드가 될 수 있길 바라본다.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