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2019년 기준 국내 태양광 시장 국산 모듈 점유율 78.7%로 국내 시장 주도 중

2020.02.17 산업통상자원부
인쇄 목록

산업통상자원부는 “2019년 기준 국내 태양광 시장에서 국산 모듈 점유율은 78.7%로 국내 시장을 주도 중 이며, 이에 따라 우리 태양광 제조업계의 국내 매출은 2018년 2.11조원으로 전년 대비 7.3% 증가했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최근 태양광 폴리실리콘 산업계의 어려움은 지속되는 글로벌 공급과잉 및 가격하락에 따른 것으로 전세계적으로 진행되는 구조조정의 일환”이라며 “국내 태양광 생태계는 고부가가치 분야인 셀·모듈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고, 고효율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도 지속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2월 16일 서울경제 <韓, 신재생에너지 드라이브 中 태양광업체만 배불렸네>에 대한 산업통상자원부의 설명입니다

2019년 기준 국내 태양광 시장 국산 모듈 점유율 78.7%로 국내 시장 주도 중

  • 서경 태양광 발전1.png 하단내용 참조
  •  서경 태양광 발전2.png 하단내용 참조
  • 서경 태양광 발전3.png 하단내용 참조
  • 서경 태양광 발전4.png  하단내용 참조

[기사 내용]

□ 정부가 태양광 발전을 장려하면서 신재생에너지에 드라이브를 거는 동안 그 혜택은 중국 모듈업체들이 독차지

ㅇ 중국산 태양광 모듈 수입액은 지난해 3억 6,752만 달러로 지난 ‘18년 2억 1,951만 달러에 비해 67.4% 증가

ㅇ 폴리실리콘에서 잉곳·웨이퍼, 셀 ·모듈로 이어지는 국내 태양광 생태계는 사실상 무너짐 

[산업부 입장]

□ ‘정부가 태양광 발전을 장려하면서, 그 혜택은 중국 모듈업체들이 독차지 하였다’는 보도내용은 사실이 아님

ㅇ ‘19년 기준 국내 태양광 시장에서 국산 모듈 점유율은 전년 대비 6.2%p 상승한 78.7%로 국내 시장을 주도 중이며, 중국산 모듈의 점유율은 하락하는 추세임

* 모듈 국산제품 사용비중 : (’16) 72.0% → (’17) 73.5% → (‘18) 72.5% → (’19) 78.7%
* 모듈 중국산 제품 사용비중 : (’16) 28.0% → (’17) 26.5% → (‘18) 27.5% → (’19) 21.3%

ㅇ 이에 따라, 우리 태양광 제조업계의 국내 매출은 ‘18년 2.11조원으로 전년 대비(’17년 1.97조원) 7.3% 증가함

ㅇ 또한, 태양광 건설·시공 분야에서도 국내 업체들의 매출은 약 2.02조원(잠정)으로 전년 대비(’17년 1.53조원) 32.4% 증가함

□ 최근 폴리실리콘 등 태양광 소재업계의 어려움은 지속되는 글로벌 공급과잉 및 가격하락에 따른 것으로 국내 뿐만이 아닌 전세계적으로 진행되는 구조조정의 일환

* 세계 폴리실리콘 기업 수 : (‘18) 32개 → (’19) 19개

  세계 잉곳·웨이퍼 기업 수 : (‘18) 125개 → (’19) 77개

□ 다만, 태양광 밸류체인별 국내 업체간 연계는 사실상 낮은 수준으로, OCI가 태양광용 폴리실리콘 생산을 중단하더라도 국내 태양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임

* 현재 OCI가 생산한 폴리실리콘 대부분이 해외로 수출되고 있으며, 국내 웨이퍼 생산업체는 폴리실리콘을 독일에서 대부분 수입하고 있음

ㅇ 국내 태양광 생태계는 고부가가치 분야인 셀·모듈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성장하고 있고, 고효율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도 지속 중

* 셀 수출(17년 1.0억불 → 19년 3.6억불) / 패널 국산비중(17년 73.5% → 19년 78.7%)
* 페로브스카이트 전지 개발을 통한 세계최고 효율 25.2% 달성(‘19.8월)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 재생에너지산업과(044-203-5373)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