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산림청 일자리 사업, 계속사업 일환

2019.05.27 기획재정부
인쇄 목록

기획재정부는 “산불예방진화대와 숲가꾸기 요원 등 산림청 일자리 사업은 2003년과 2005년부터 이어온 계속사업의 일환”이라며 “특히 산불예방진화대는 산불발생시 진화에 투입되는 산불 진화의 핵심 자원”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또 “미세먼지 불법 배출 행위는 감시인력의 순찰 만으로도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필요시 정규 감시인력 동행과 첨단장비 활용 등 실효성 확보를 위한 조치도 병행할 계획”이라고 설명했습니다.

5월 27일 한국경제 <정부, 재해 추경에 400억 ‘공공알바’ 끼워넣기>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19.5.27.(월) 한국경제는 「정부, 재해 추경에 400억 ’공공알바‘ 끼워넣기」 제하 기사에서,

 ㅇ ’18.4분기 ‘국립대 빈 강의실 불 끄기’ 등 공공알바가 고용지표 개선에 도움을 주지 못했음에도 불구, 

 ㅇ 단순 고용 숫자를 올리기 위해 ‘19년 추경안 중 500억을 투입해 공공단기 알바 1.5만개를 만들 계획이라고 보도 

 * (산림청) 숲 가꾸기 패트롤, 덩굴류 제거단, 산림 바이오메스 수집단, 산불 예방·진화대, 산사태 예방단, 산림병해충방제단 등 1.4만명(404억원)(환경부) 산업단지 등 미세먼지 불법 배출원 감시·단속(96억원) 1,000명

 - 숲가꾸기 요원(3,151명)은 낙엽, 솔방울, 덩굴 등을 줍고 뽑는일을 하는 허드레 일자리

 - 산불예방진화대(10,110명)는 산불 끄는 일엔 거의 투입되지 않고, 고용기간은 한달에 불과

 - 미세먼지 불법 배출원 감시인력(1,000명)은 단속권이 없어 2차 신고자에 그칠 가능성

[기재부 설명]

 ⑴ 산림청 일자리 사업 관련

  ① “추경에 1만5225개 단기 일자리 반영 지적” 관련

   ㅇ 산불예방진화대 10,110명은 ‘03년 이후 계속 운영(국가1,405명, 지자체 8,705명)중인 인력으로, 금번 추경으로 신규 채용하는 인력이 아님

   - 금번 추경에는 산림재해의 연중화에 따라 기존 인력의 활동기간*을 1개월 연장(5개월→6개월)하기 위한 소요예산(118억원)을 반영한 것임

   * (현행) 2.1~5.15, 11.1~12.15(5개월) → (추경) 2.1~5.15,, 10.15~12.31(6개월)

  ② “숲가꾸기 요원에 대한 예산 지원은 낭비”라는 지적 관련

   ㅇ 금번 추경에 반영된 숲가꾸기 사업*은 ’05년부터 이어진 ‘공공산림가꾸기’ 일환으로, 주로 민가 주변 피해목 제거, 경관 저해 덩굴류 제거 등 국민 생활 피해 방지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 숲가꾸기 패트롤(935명), 덩굴류제거단(1,216명), 산림바이오매스 수집단(1,000명)

   ㅇ 주로 지역의 고령자, 은퇴자 등이 대상으로 어려운 고용여건 개선에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며, 지자체 수요 조사를 거쳐 적정 소요를 반영하였음

  ③ “산불예방진화대가 산불 끄는 일에 투입되지 않는다는 지적” 관련

   ㅇ 산불예방진화대는 평시에는 산불 예방 업무를 수행하고, 산불 발생 시 직접 진화작업에 투입되는 산불 진화의 핵심자원으로, 지난번 강원도 산불 진화 과정에서도 주요 역할을 수행하였음

⑵ 환경부 미세먼지 불법 배출원 조사 및 감시 사업 관련

  ㅇ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사업장 규제, 지도·단속을 강화 중이나, 감시인력 부족 등으로 불법 배출행위 만연

    - 관리대상 업체*는 매우 많은 반면, 비상저감조치 담당인력은 기초지자체당 평균 1명 수준 → 1인당 4백개소 이상 관리중

    * 예 : 대기배출사업장 5.9만개, 건설공사장 3.6만개 등

   - 국내 미세먼지 배출의 2/3를 차지하는 산업·건설분야 불법 배출 근절을 위해서는 상시 감시·단속 인력 보강 절실

 ㅇ 감시인력의 순찰 자체만으로도 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

  → 일자리 창출은 부수적인 효과에 불과 → 단순히 단기 일자리를 늘리기 위한 사업이 아님

  ㅇ 필요시 정규 감시인력 동행, 첨단장비 활용*, 등 실효성 확보를 위한 조치도 병행할 계획

    * 금번 추경을 통해 사업장에 출입하지 않고 사업장을 감시할 수 있는 이동측정차량·드론(14세트), 분광학적 원격 감시장비(4세트) 등 도입 예정

문의 : 기획재정부 고용환경예산과(044-215-7236), 농림해양예산과(044-215-7354)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