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지난해 민간소비 7년만에 최대 수준 증가

2019.01.02 기획재정부
인쇄 목록

기획재정부는 “최근 민간소비는 임금상승 등 소득여건 개선 및 정부의 정책적 노력 등에 힘입어 견조한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구체적으로 기재부는 “지난해 민간소비는 2011년 이후 7년만에 최대 수준 증가 및 2005년 이후 처음으로 GDP 성장률보다 높은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며, 지출형태별로도 내구재 뿐 아니라 준내구재·비내구재 모두 증가세를 보였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해외소비는 지난 5년간 연평균 9.5% 증가했으나 지난해 1/4~3/4분기 증가폭은 4.9%로 둔화됐다”고 덧붙였습니다.

1월 2일 조선일보 <3.5%→2.8%→2.5%, 갈수록 추락하는데 “소비는 좋다”니…>, 매일경제 <소비지표 좋다고 했지만 車개소세 효과 따른 반짝 상승일뿐> 등에 대한 해명입니다

[보도 내용]

□ 조선일보는 2018.1.2.(수) 「3.5%(1분기)→2.8%(2분기)→2.5%(3분기)’, 갈수록 추락하는데 “소비는 좋다”니..」 제하 기사에서,

 ㅇ “민간소비는 갈수록 악화되고 있고, ‘18년 소비지표가 좋은 이유는 국내소비가 아니라 해외소비가 증가했기 때문”이라고 보도

□ 매일경제는 「소비지표 좋다고 했지만 車개소세 효과 따른 반짝 상승일뿐」 제하 기사에서

 ㅇ “분기별 민간소비 작년 내내 둔화, 품목별로는 자동차 등 내구재를 제외한 다른 부분의 소비는 좋지 않았다”라고 보도

[기획재정부 입장]

□ 최근 민간소비는 임금상승 등 소득여건 개선 및 정부의 정책적 노력 등에 힘입어 견조한 증가세가 지속되고 있음

 * 명목임금(%): (‘12)5.2 (‘13)3.4 ('14)2.4 ('15)3.0 ('16)3.8 ('17)3.3 ('18.1~10월)5.5
 * 실질소득(%): (‘17.1/4)△1.2 (2/4)△1.0 (3/4)△0.2 (4/4)1.6 (’18.1/4)2.4 (2/4)2.7 (3/4)3.0
 * 복지예산증가율(%, 추경포함): (‘13)7.2 (‘14)7.2 (‘15)13.2 (’16)5.4 (‘17)3.9 (’18)10.5

① (민간소비 추세) ‘18년 민간소비는 ’11년 이후 7년만에 최대 수준 증가 및 ‘05년 이후 처음으로 GDP 성장률보다 높은 증가세 시현 예상

 * 민간소비(%): (‘11)2.9 (’12)1.9 (‘13)1.9 (’14)1.7 (‘15)2.2 (’16)2.5 (‘17)2.6 (’18e)2.8

 - 민간소비의 성장기여도도 2년 연속으로 6년만에 최대치인 1.3%p 예상

 * 성장기여도(%p): (‘11)1.5 (’12)1.0 (‘13)1.0 (’14)0.9 (‘15)1.1 (’16)1.2 (‘17)1.3 (’18e)1.3

 - 민간소비의 최근 흐름을 보여주는 전분기 대비 증가율도 (+)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고, ‘18.3/4분기에는 전분기 대비 개선

 * 분기별 민간소비(전분기비, %): (‘17.4/4)1.0 (’18.1/4)0.7 (2/4)0.3 (3/4)0.5

.

② (지출형태별) 지출형태별로도 내구재 뿐 아니라 준내구재, 비내구재가 모두 증가세 시현

.

③ (해외소비) 해외소비는 지난 5년간 연평균 9.5% 증가했으나, ‘18년 1/4~3/4분기 증가폭은 4.9%로 둔화

 * 해외소비(%) : (’12)12.8 (‘13)7.6 (’14)5.7 (‘15)15.0 (’16)9.6 (‘17)9.9 (’18.1/4~3/4)4.9

  ※ 민간소비중 해외소비 비중은 4% 수준으로 소비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

문의: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 경제분석과(044-215-2732)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