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윤석열정부2년 민생을 위해 행동하는 정부/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윤석열정부 2년 민생을 위해 행동하는 정부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국민의 정부’ 개혁현장 ⑨_대통령자문 새교육공동체위원회]‘최적 교육여건’ 힘 모은다

학부모·교원·시민단체·지역사회

1998.11.30 국정신문
인쇄 목록

세계 각국은 21세기 사회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교육을 중심으로 사회 주요 부문에 대해 이른바 구조조정을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은 ‘국민의 정부’출범직후 이제까지 시행해왔던 교육개혁을 혁신하고 바로잡기 위해 개혁의 추진방향을 ‘아래로부터 함께하는 교육개혁’으로 정하고 학부모·교원·시민단체 및 지역사회가 함께 참여하는 현장중심의 교육개혁을 추진한다고 선언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 7월말 새로운 학교문화 창조를 통한 제2의 교육입국을 실현한다는 목표아래 ‘대통령자문 새교육공동체위원회’(위원장 김덕중·아주대 총장)를 발족시켰다.

새교육공동체위원회(이하 위원회)는 교육현장의 변화를 주도할 실천적 인사를 비롯해 학부모·산업계 등 교육수요자를 대표할 수 있는 40인의 위원으로 구성됐다. 위원회는 특히 새로운 교육개혁안의 수립보다는 교육현장에 대한 전문적 조언 및 지원을 비롯해 민·관 협력체제 구축과 사회 각계 각층의 참여 활성화를 통한 실천중심의 교육개혁 추진체로 운영되고 있다.

위원회는 발족된 지 불과 4개월여 밖에 안됐지만 그동안 ‘교육공동체 시민운동’‘교육정책 리포터’‘학교현장개혁지원단’운영 등의 활성화를 위해 힘써 왔다.

지·덕·체 발달지원 시민운동

교육공동체 시민운동은 교원과 학생·학부모·지역·주민·시민단체 등이 학교와 지역사회 교육에 참여해 공동체적 유대를 이루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현안들을 해결함과 동시에 학교와 지역사회 공동체 문화를 창조해 나가는 교육시민운동이다.

위원회는 이 운동이 교육생활권 중심의 자발적·자생적인 것으로 학생들과 교원들이 처한 문제해결을 주된 관심으로 하되 다양한 형태의 다른 시민운동 및 정부기관과 연대하고 협력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교육공동체 시민운동에는 △학생들의 지·덕·체를 고루 발달시키고 인권과 학습권 및 생활권을 보장하는 최적의 교육여건을 만드는 사업 △교원이 사기 증진과 교육여건 개선 및 학교교육 지원 사업 △지역 생활권에서 교원·학생·학부모·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해 새로운 학교와 지역사회의 공동체 문화를 창조하는 사업 등이 모두 포함된다.

위원회의 시민모임 활성화에 힘입어 현재 서울 관악구, 구리·의정부·고양·여수 등 17개 지역에 시민모임이 발족했으며 금년말이면 추가로 30여 곳에서 시민운동의 싹을 틔울 예정이다.

유적탐사 등 공동체험 활성화

지난 24일 오후 김포시민회관에서는 학부모를 비롯한 시민단체 회원 1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새교육공동체 김포시민모임’창립대회를 열고 아이들을 살리고 학교를 살리고 나라를 살리는 교육개혁 실천을 위한 결의를 다졌다.

김포시민모임의 유인봉(柳寅鳳·38·여) 사무국장은 “첫 사업으로 학생과 학부모를 위한‘성교육’강좌 개설할 예정이며 내년에는 학교와 시민모임이 상호 이해하고 협조하는 분위기를 만드는데 주력하는 한편 계절학기 등을 마련, 가족농원·현장캠프·유적탐사 등 지역여건을 최대한 활용한 공동체험의 장을 활성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위원회는 이와 함께 지난 13·14일 한국교원대학교에서 ‘교육정책리포터’위촉 및 연수를 갖고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교원 258명, 학부모 52명, 시민단체회원 99명, 교육행정가 05명 등 총 511명의 리포터요원은 오는 99년 11월까지 1년간 활동하면서 교육현장의 애로와 문제해결을 위한 생생한 현장의 목소리를 전달하게 된다. 합리적인 교육정책의 수립을 위해서 교육현장의 살아있는 목소리가 필요하며 성공적인 정책실현을 위해 정부의 교육정책이 왜곡되지 않게 전달되는 쌍방향 정보체계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지역별로 균형있게 선발된 요원들의 의견은 매월 교육부를 비롯한 해당기관에 통보, 곧바로 교육현장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고 추후 현장 활동의 사례를 모은 자료집도 발간할 예정이다.

위원회는 또 도움을 필요로 하는 학교 또는 교사의 요청이 있을 경우 개별학교의 구체적인 상황에 적합한 개혁방안을 교사들과 함께 기획하고 실천하는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학교현장개혁지원단’을 운영하고 있다.

교육현장의 시행착오 최소화

지원단은 교실수업혁신(25명), 학교정보화(10명), 학교운영위원회(18명) 분야 등 10개 분과 138명의 각계 각층의 전문가들로 구성, 교육개혁의 경험과 노하우를 전파·조언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시행착오나 오류를 최소화하고 교육개혁이 현장에 뿌리내릴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해영(李海英) 위원회 사무국장은 “이 제도가 정착되면 개별 학교현장의 구체적인 상황에 적합한 개혁방안의 실천으로 실제적 변화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위원회는 이러한 현장중심의 교육개혁에 대한 국민적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지난 28일 ‘제2의 교육입국을 위한 새학교문화 창조와 단위학교 혁신방안’등의 주제로 국민대토론회를 갖고 각 교육주체들이 새학교문화 창조를 위한 참여의지를 북돋우기도 했다.

정부의 잇따른 교육개혁 조치로 이제 대학 무시험 전형제도가 도입·확대되면서 그동안 설 자리를 잃었던 창의력 교육과 인성교육을 내실있게 추진되고 초·중등교육의 정상화와 함께 새 학교문화를 창조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

이와 때를 같이 해 ‘바라보는 교육개혁’에서 ‘참여하는 교육개혁’을 이끌 새교육공동체위원회는 모든 교육주체들과 함께 다양한 교육공동체 운동을 통해 우리의 교육현장을 보다 생동감있게 바꿔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