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한국의 생물다양성 보고서

출처 : 환경부 담당부서/저자 : 자연자원과 등록일 : 2012.01.31 유형 : 기타 주제 : 환경정책일반
인쇄 목록
요약
우리나라는 지리적 여건과 기후 조건이 매우 독특하다. 백두산에서 지리산으로 이어진 산악과 그로 인해 형성된 다양한 지형 조건, 삼면이 바다로 구성되어 있는 지리적 특성은 생태계의 다양성을 유지시켜 왔다.

국토 면적의 약 64%에 이르는 산지와 3,200여 개의 유·무인 도서가 수려한 경관을 이루며 생물자원에 다양한 서식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그 중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생물 서식지로는 비무장지대, 백두대간, 울릉도 및 독도 등을 꼽을 수 있다.

우리나라 비무장지대(DMZ)의 경우, 산림 및 초지의 비율이 높고(DMZ 내부 97.4%, DMZ 외부 일원 75.2%), 67종의 멸종위기종을 포함한 2,716종의 야생생물이 서식하고 있다.

백두대간(지리산 천왕봉~평창군 진고개 구간)은 27종의 멸종위기종을 포함한 4,240종의 다양한 생물종과 자연이 조각한 돌개구멍 등 아름다운 지형 경관을 간직하고 있다. 하지만 야생동물 서식지 단절 등 생태계 교란과 개발에 따른 위협 요인이 상존하는 곳이기도 하다.

도서 지역은 멸종위기종, 보호종, 미기록종, 천연기념물, 독특한 식생 분포를 확인할 수 있는 우수한 자연 생태계를 간직하고 있다. 특히 호남의 도서 및 연안 지역은 희귀생물과 미기록종이 전국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생물자원의 보고이다. 신안 장도 습지, 무안 갯벌, 진도 갯벌 등 도서 지역에 형성된 습지는 각종 무척추동물과 어류, 조류의 서식지로 다양한 생물이 생육하고 있다.

울릉도와 독도는 화산섬으로서 화산 지역특유의 지형 경관이 뛰어나다. 특히 울릉도의 성인봉에 펼쳐진 원시림의 식물상(植物相)은 생태적 가치가 크다. 제주도의 한라산국립공원과 중산간 지역, 서귀포 영천·효돈천 지역은 동굴·폭포·계곡 등의 수려한 자연 경관과 더불어 다양한 생물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서귀포 앞바다는 국내 최대의 산호 군락과 455종의 해양생물이 서식하는 해양 생태계의 보고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서해안은 해안선이 복잡하고 만이 긴 지형적 특성 때문에 조차가 매우 크고 갯벌이 발달하여 세계 5대 갯벌로 꼽힌다. 최근에는 하천 및 해수의 정화, 홍수 조절, 생태적 가치 등 갯벌의 중요성이 밝혀지면서 보전 운동이 일어나고 있다.

한국은 지형학적으로 국토에서 산이 차지하는 면적이 매우 커서 산악 지형의 한 특징인 동굴을 적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한반도의 산맥이 북쪽과 동쪽에서 남서쪽으로 펼쳐져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동굴은 남한의 경우 강원도에 밀집해 있다. 화산섬인 제주도 역시 긴 동굴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동굴의 특색은 지질학적으로 동굴의 생성 원인을 밝혀주며, 형성물의 특이한 배치와 석주, 호신상 등이 특이하다.
목차
Part 1 살아 있는 생태계, 한반도
1. 한반도 생태계 다양성
2. 지형적 특성과 생태계
3. 영역별 생태계 다양성

<도서·연안과 해양 생태계>
산림 생태계
농지 생태계
담수 생태계
도시 생태계
보호지역 확대와 관리

Part 2 한국 생물종과 생물다양성

멸종위기 생물들
- 한국의 멸종위기종

한국의 야생 생물
- 포유류 Mammals
- 조류(鳥類) Birds
- 양서류·파충류
- 어류
- 무척추동물(곤충 제외)
- 곤충
- 식물
- 균류·지의류
- 원핵생물
- 조류(藻類)

지역별 생물자원 현황

Part 3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대책과 노력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국가전략과 이행계획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