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콘텐츠 영역

반려동물 등록 직접 해보니~

2023.07.25 정책기자단 이우진
글자크기 설정
인쇄 목록

최근 1인 가구의 증가와 함께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 또한 급속도로 늘고 있다. 현재 반려동물 인구가 얼마나 되는지 정확한 수치는 없지만, 각종 기사를 본다면 전 국민의 30% 가까이 반려동물을 기른다고 해도 틀린 말이 아니다. 

대전광역시 동물보호센터
대전광역시 동물보호센터.

나도 고양이와 함께 살고 있는 반려인이다. 2006년 유기된 고양이를 입양한 이래, 2011년 둘째를 맞게 되었고, 얼마 전 지자체가 운영하는 동물보호센터에서 유기동물 임시보호 자원봉사를 하다가 또 한 마리의 고양이를 입양했다. 

새식구가 된 아기고양이, 애기씨
새 식구가 된 아기 고양이, 애기씨.

반려동물을 기르는 일은 보통 일이 아니다. 가정에서 생활하는 개나 고양이의 평균수명은 약 15년. 최근 들어 20년 이상 장수하는 사례도 많은 데다가 반려동물이 무지개 다리를 건널 때까지 양육에 관한 반려인의 책임과 노력 또한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여기에 반려동물에게 질병이라도 생길 시에는 경제적 비용도 어마어마하다. 

동물보호센터에 입소한 유기동물
동물보호센터에 입소한 유기동물.

늘어나는 반려동물 인구수만큼 버려지는 유기동물도 매년 늘고 있다. 반려동물에 대한 반려인의 섣부른 입양도 문제지만, 누구나 쉽게 입양할 수 있는 우리나라의 환경과 반려 문화가 유기동물 증가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14년 1월 1일부터 ‘반려동물 등록제’를 시행하고 있다. 동물보호법에 따라 동물 보호와 유실, 유기 방지를 위해 주택·준주택 또는 이외의 장소에서 반려의 목적으로 기르는 2개월 이상의 개는 반드시 지방자치단체에 등록을 하도록 되어 있다. 

반려동물로 기르는 개는 2개월령이 되는 날부터 30일 이내(희망 시, 2개월령 이하도 등록 가능)에 지자체 등록을 마쳐야 하며, 등록을 하지 않은 경우 100만 원 이하, 변경 신고를 하지 않은 경우 50만 원 이하의 과태료가 부과된다. 

동물보호센터 내 입양상담실
동물보호센터 내 입양상담실.

반려동물 등록제는 현재 개에 한해서 의무적으로 시행하고 있으며, 고양이는 2022년 2월부터 반려묘 등록제를 전국에서 시범 운영하고 있다. 최근 내가 입양한 고양이 또한 반려동물 등록을 마쳤다. 반려묘 등록은 의무가 아닌 선택사항이지만, 지자체 동물보호센터를 통한 고양이 입양은 동물 등록이 필수였다. 

반려동물 등록은 쌀알 크기의 칩을 반려동물 등 부위에 시술하는 내장형과 전자칩이 내장된 목걸이를 목에 거는 외장형이 있으며, 가까운 동물병원에 방문하여 내장형 또는 외장형을 선택·등록하면 된다. 참고로 나는 동물보호센터에서 내장형 시술비를 지원받아 무료로 동물 등록을 마쳤다.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 동물등록 내역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 동물 등록 내역.

반려동물 등록 과정은 농림축산검역본부 국가동물보호정보시스템 누리집(https://www.animal.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회원가입 후 보호자 이름과 동물등록번호를 입력·조회하면 동물 등록 여부 및 반려동물의 기본 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지자체장의 직인이 생략된 동물등록증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지역에 따라 동물등록카드를 발급해주는 곳도 있다. 

동물병원에서 예방접종을 맞고 있는 애기씨
동물병원에서 예방접종을 받고 있는 애기씨.

개인적으로 반려묘 동물 등록은 첫 경험이었다. 고양이 동물 등록은 의무사항도 아닌데 왜 했냐는 주변 지인도 있었지만 나는 만족한다. 고양이는 호기심이 많아 자칫 방심했다가는 열린 문을 통해 밖으로 나가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따라서 고양이에게 반려동물 등록은 더 필요한 것도 사실이다. 

고양이 반려동물 등록 의무화에 대해 실제 대다수의 반려인이 찬성한다는 기사를 본 적이 있다. 이와 함께 반려동물 등록제를 정착시킨 독일, 영국, 미국 등의 나라들은 반려동물 등록 갱신제를 통해 동물을 잘 기르고 있는지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반려인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할 것을 독려한다. 현재 시행 중인 반려동물 등록제가 개와 고양이를 포함한 모든 반려동물에게 의무적으로 적용되길 바라는 마음이다. 이를 통해 반려인의 책임 의식을 높이고, 유기동물의 발생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지름길이 아닐까 생각한다.



정책기자단 이우진 사진
정책기자단|이우진zziruni@naver.com
2023년 대한민국 정책을 전합니다.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