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콘텐츠 영역

텃밭 가꾸고 곤충 기르고… 땀 흘리는 도시농업 좋아라

농림축산식품부,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 적극 추진

2015.04.13 위클리공감
글자크기 설정
인쇄 목록

4월 8일 오전 11시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헌정회 앞 잔디마당.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시민단체 관계자, 여야 의원 등 200여 명이 잔디를 걷어내고 ‘생생텃밭’ 조성에 나섰다.

호미, 삽, 괭이를 든 참석자들은 이날 텃밭을 일구며 감자, 상추, 열무, 허브 등을 심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추진하는 도시농업 붐 조성을 위한 행사다.

이동필 장관은 “이 텃밭에서 이뤄지는 소통과 화합이 우리 사회 각 계층의 건강, 여유, 나눔, 공감으로 확산되는 기폭제 역할을 하고 도시농업(도시농업이란 도시에 있는 토지나 건축물에서 취미, 여가, 학습, 체험을 목적으로 농작물을 경작 또는 재배하는 것을 일컫는다. 정부는 2011년 11월 22일 ‘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을 제정해 도시에 자연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도시민들에게 농업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서 도시와 농촌이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했다.)의 붐을 일으키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농림축산식품부도 도시농업 활성화를 위해 소매를 걷어붙였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도시농업을 통해 국민 삶의 질 향상과 행복 제고에 기여하기 위해 2024년까지 10년간 펼칠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4월을 ‘도시농업 붐 조성의 달’로 정해 다양한 행사를 펼치고 있다.

농사체험이 주는 정서 함양, 건강 증진, 공동체 회복 등 순기능들이 주목받으며 최근 도시농업 참여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도시농업 참여 인원 수만도 2010년 15만 명 수준에서 지난해 108만 명을 넘어 4년 사이 7배나 증가했다. 도시 텃밭 면적도 지난해 668ha로 같은 기간 6.4배나 늘었다.

시민들과 여야 의원들이 4월 8일 국회 헌정회 앞 잔디마당에서 잔디를 걷어내고 각종 채소를 심는 생생텃밭 가꾸기에 함께하고 있다.
시민들과 여야 의원들이 4월 8일 국회 헌정회 앞 잔디마당에서 잔디를 걷어내고 각종 채소를 심는 생생텃밭 가꾸기에 함께하고 있다.

지난해 108만 명 참여…도시 텃밭 면적 668ha

하지만 도시농업의 수요 증가와는 달리 도시화의 진전에 따라 농사 체험 공간은 점차 축소되고 있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정책적 배려와 지원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아울러 단순히 경작과 재배뿐 아니라 최근 부각되고 있는 벽면 녹화, 원예 치료, 가축·곤충 기르기, 양봉, 수목 재배 등도 도시농업에 포함돼야 한다는 요구가 있어왔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는 2013년 수립해 추진 중인 ‘1차 도시농업 5개년 종합계획(2013∼17)’과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도시농업의 외연을 키우고 인프라를 확충해 도시민의 참여를 장려할 방침이다.

또 도시농업과 일반 농업이 조화롭게 발전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을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먼저 현행 농작물로 한정된 도시농업의 개념을 양봉, 곤충·가축 기르기, 수목 재배 등으로 확대하고 경작과 재배뿐 아니라 벽면 녹화, 원예 치료, 힐링(치유) 등도 포함한다.

공간적인 측면에서는 관리지역까지 확대하기 위해 법령을 개정할 계획이다. 도시농업에 대한 지식, 기술을 교육하거나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기관·단체의 프로그램에 귀농·귀촌, 농산물 직거래 같은 시책을 반영하기 위해 도시농업법 시행규칙 관련 규정도 정비한다.

아울러 공영 주말농장 조성, 학교 텃밭 확대, 도시농업공원 조성 등을 통해 2014년 기준 668ha의 실천공간을 2024년 3000ha까지 늘린다. 도시농업 참여자도 지난해 108만 명에서 2024년에는 480만 명으로 늘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국토교통부, 지방자치단체와 협업해 정부 지원 공영 주말농장을 올해 11곳(한 곳당 1ha)에서 2020년 70곳, 2024년 100곳으로 늘려나갈 방침이다. 또 지방교육청,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교육용 텃밭을 지난해 3500곳에서 전국 유치원 및 초·중등학교 2만여 곳의 절반 수준인 1만 곳으로 확대한다.

이어 도시민의 휴식과 농사 체험공간인 도시농업공원을 2017년 8곳(한 곳당 1ha)에서 2024년 50곳까지 늘린다. 민영 주말농장, 공동주택 주민, 빌딩숲 직장인들이 참여 가능한 체험공간을 민간과 지방자치단체의 협력하에 확대할 예정이다.

이 밖에 공영 주말농장을 중심으로 힐링 콘서트, 야외 연극 등 문화 행사 개최를 지원해 문화·예술 체험공간으로 탈바꿈하도록 뒷받침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민간이 참여하는 ‘도시농업 전국 네트워크’를 출범시키고 지역별로는 협의체를 구성해 현장 활동을 주도하도록 할 방침이다.

도시농업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시민 대상 기초교육과 전문 인력 양성도 확대한다. 텃밭 관리, 농사 요령 등 도시농업을 실천 가능한 수준으로 교육하는 ‘도시농업 지원센터’를 2024년까지 100곳으로 확충하고, 한 곳당 연간 500여 명을 교육시키도록 지원한다.

이어 도시농업 전문 인력 양성기관도 2024년까지 50개로 확충하고, 한 곳당 연간 100여 명의 인력 양성을 담당하도록 할 방침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시민의 농사 체험 의욕 고취를 위해 4월 11일을 ‘도시농업의 날’로 정한 데 이어 도시농업의 정체성을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엠블럼, 도시농업에 친근감을 주는 캐릭터도 제작해 각종 행사에 적극 활용하기로 했다.

4월 11일 ‘도시농업의 날’ 엠블럼·캐릭터도 제작

어린이 대상 ‘학교 텃밭(School Farm)’과 관련해선 동요를 제작·보급해 어린이들이 도시농업을 친근하고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우리나라에 적합한 텃밭 표준 모델 개발, 경관작물 선발, 식물 소재 발굴, 녹화 모델 개발 등 생활 밀착형 연구개발(R&D)을 연차별로 넓혀 도시농업 활성화를 견인한다.

특히 R&D를 통해 도출된 성과를 건축, 건강, 교육, 고용 등으로 연계해 새로운 서비스 영역으로 발전시켜나갈 계획이다. 예를 들어 건축 분야에서는 공동주택에 텃밭을 가미해 프리미엄 단지를 조성하는 사례가 기대된다.

건강 분야에선 공기정화식물을 이용한 호흡기 질환 및 새집증후군 완화, 원예 체험 활동을 통한 심리 치유가 그 방안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교육 분야의 경우 어린이 텃밭 체험용 교구·교재 및 프로그램 개발이 기대된다. 고용 분야는 원예치료사, 식물코디네이터, 도시농업컨설턴트와 같은 일자리 창출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번에 마련한 도시농업 활성화 방안을 즉시 실행에 옮기고자 ‘국민과 함께하는 농업, 농업인과 상생하는 도시농업’이라는 콘셉트로 다채로운 행사를 추진하고 있다.

월 8일 국회 헌정회 앞 ‘생생국회 텃밭 만들기’에 이어 4월 11일 ‘도시농업의 날’ 선포와 함께 전국 네트워크 발대식, 도농 상생협약 체결 등이 이어진다. 서울 시민 1200여 명과 함께하는 주말농장 개장 행사도 뒤따른다.

또 이달 중 도시지역에 있는 단위농협, 농협금융에서 100만 시민에게 채소 종자와 종묘를 나눠준다. 전국 각 지방자치단체에서 텃밭 가꾸기용 모종과 상자텃밭 나눠주기, 학교 텃밭(4000여 곳) 조성, 지역 명소 골목길 가꾸기, 도심 자투리 땅에 꽃·조경수 심기 등도 추진된다.

[위클리공감]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