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귀천(歸天)’을 남기고 하늘로 돌아간 마지막 순수시인

[문인의 흔적을 찾아서] 서울 ‘셋이서 문학관’/천상병

2021.08.26 이광이 작가
인쇄 목록
한옥박물관과 한옥마을, 아름드리 은행나무와 느티나무가 장관을 이루는 숲길, 천년가람 진관사가 있는 북한산 둘레길 제9코스 ‘마실길’에 ‘셋이서 문학관’이 자리하고 있다. 문학관 이름은 기인(奇人)으로 불리는 시인 천상병, 승려 중광, 소설가 이외수의 작품을 담은 시화집 <도적놈 셋이서>에서 따왔다.
한옥박물관과 한옥마을, 아름드리 은행나무와 느티나무가 장관을 이루는 숲길, 천년가람 진관사가 있는 북한산 둘레길 제9코스 ‘마실길’에 ‘셋이서 문학관’이 자리하고 있다. 문학관 이름은 기인(奇人)으로 불리는 시인 천상병, 승려 중광, 소설가 이외수의 작품을 담은 시화집 <도적놈 셋이서>에서 따왔다.

서울 북한산 둘레길은 우이령 길로 산을 가로지르는 한 구간을 포함하여, 둘레를 계란처럼 타원형으로 한 바퀴 도는 21개 구간, 71.5km이다. 가을맞이 삼아 가족과 함께 역사·문화·생태 체험을 하면서 느릿느릿 걷고, 휴식과 건강을 챙기기에 좋은 곳이다.

은평 뉴타운에서 가까운 제9코스 ‘마실길’은 방패교육대 앞에서 진관 생태다리까지 1.5km의 짧은 구간이다. 한옥박물관과 한옥마을, 아름드리 은행나무와 느티나무가 장관을 이루는 숲길, 천년가람 진관사, 그리고 ‘셋이서 문학관’도 자리하고 있어 길 이름 그대로 마실을 나서듯이 운치 있는 나들이에 부족함이 없다.    

‘셋이서 문학관’은 2014년 은평 한옥체험관을 리모델링해서 문을 열었다. 이름은 시인 천상병, 승려 중광, 소설가 이외수의 작품을 담은 시화집 <도적놈 셋이서>에서 따왔다. 셋의 공통어는 ‘기인(奇人)’이다. 마당이 있는 넉넉한 한옥에 1층은 차와 책이 있는 북 카페로, 2층은 세 작가의 작품과 유품 등을 담은 방으로 꾸몄다.    

천상병, 중광, 이외수, 세사람의 공동 시화집 <도적놈 셋이서>.
천상병, 중광, 이외수, 세사람의 공동 시화집 <도적놈 셋이서>.

2층에 오르면, ‘가서 아름다웠더라고 말하리라’는 싯구와 파안대소하고 있는 천상병의 순진무구한 웃음이 맞이한다. 옆으로 시 <나의 가난은>이 서 있다. 「오늘 아침 다소 행복하다고 생각는 것은/ 한 잔 커피와 갑 속의 두둑한 담배/ 해장을 하고도 버스 값이 남았다는 것// 오늘 아침을 다소 서럽다고 생각는 것은/ 잔돈 몇 푼에 조금도 부족이 없어도/ 내일 아침 일도 걱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가난은 내 직업이지만/ 비쳐오는 이 햇빛에 떳떳할 수가 있는 것은/ 이 햇빛에도 예금통장은 없을 테니까…」 행복은 커피 한 잔, 담배 한 갑, 해장국 한 그릇, 버스 차비 정도면 족하다. 막걸리가 빠졌는데 술은 이미 해장국 안에 들어있는 것이니, 더하는 것은 욕심이다.     

개다리 소반과 소박한 천상병의 유품. 그가 남긴 라이타가 3개나 된다.
개다리 소반과 소박한 천상병의 유품. 그가 남긴 라이타가 3개나 된다.

천상병은 1930년 일본 효고현 히메지에서 태어나 중학교를 다니다 해방을 맞아 귀국, 마산에서 살았다. 마산중학교 국어교사이던 김춘수의 눈에 띄어 1949년 시 <강물> 등을 발표하기도 했다. 한국전쟁 당시 미군 통역관으로 잠시 근무하다 1951년 서울대학교 상과대학에 입학했다. 이듬해 유치환의 추천을 받은 시 <강물>에 이어 모윤숙의 추천을 받은 시 <갈매기>가 <문예>지에 실림으로써 정식으로 문단에 나왔다.

1964년부터 2년 간 김현옥 부산시장의 공보비서로 일했다. 그의 처음이자 마지막 직장생활인 셈이다. 1967년 ‘동백림 간첩단 사건’에 연루되어 6개월의 옥고를 치렀다. 동백림(東Berlin) 사건은 ‘독일 등에 머물던 한국 예술가·학자·유학생 등 194명이 북괴의 지령을 받아 적화공작을 벌였다’고 중앙정보부가 발표한 어마어마한 간첩단 사건으로, 50여년 만에 진실이 밝혀진 박정희 시대의 유물이다. 천상병은 유학 갔다 귀국한 대학 친구 강빈구로부터 막걸리 값으로 5백원~1천원씩 받아썼는데, ‘간첩 미고지 및 5만원 갈취’의 죄목으로 엮여 숱한 고문을 당했다.

시인의 육필 원고들.
시인의 육필 원고들.

「이젠 몇 년이었는가/ 아이론 밑 와이셔츠 같이/ 당한 그날은…// 이젠 몇 년이었는가/ 무서운 집 뒷 창가에 여름 곤충 한 마리/ 땀 흘리는 나에게 악수를 청한 그날은…」 그는 시 <그날은 새>에서 ‘아이론 밑 와이셔츠 같이’ 당한 전기고문을 고발하고 있다.

그는 고문 후유증으로 음식을 못 먹을 정도로 치아가 상했고, 아이를 낳을 수 없는 몸이 되어 아내 목순옥과의 사이에서도 자식이 없다. 또 정신질환에 시달려 병원에 수감되어 치료를 받아야 했고 부인이 평생 돌봐주어야 할 정도로 심신이 망가지고 말았다. 1970년 겨울, 동가식서가숙하며 떠돌던 천상병의 모습이 갑자기 사라져 동료문인들이 객사한 줄 알고 그가 남긴 시 60여 편을 모아 유고시집 <새>를 출간, 장안의 화제가 되기도 했다. 그는 길거리에서 쓰러진 채 발견돼 행려병자로 오인, 서울시립정신병원에 수용되어 있다가 얼마 뒤에 백치 같은 웃음을 흘리며 다시 살아 돌아왔다. 그는 기인답게 산 사람으로 첫 시집을 ‘유고시집’으로 낸 유일무이한 시인이 되었다.

문학관 2층 천상병의 방. ‘가서 아름다웠더라고 말하리라’는 싯구와 파안대소하고 있는 천상병의 순진무구한 웃음이 맞이한다.
문학관 2층 천상병의 방. ‘가서 아름다웠더라고 말하리라’는 싯구와 파안대소하고 있는 천상병의 순진무구한 웃음이 맞이한다.

두 번째 시집 <주막에서>(1979)에 이어 시집 <천상병은 천상 시인이다>(1984), <저승 가는 데도 여비가 든다면>(1987), <요놈 요놈 요이쁜 놈>(1991) 등과 동화집 <나는 할아버지다 요놈들아>를 펴냈다.
 
「골목에서 골목으로/ 거기 조그만 주막집/ 할머니 한잔 더 주세요/ 저녁 어스름은 가난한 시인의 보람인 것을…/ 흐리멍텅한 눈에 이 세상은 다만/ 순하디 순하기 마련인가/ 할머니 한잔 더 주세요/ 몽롱하다는 것은 장엄하다/ 골목 어귀에 서투른 걸음인 양/ 밤은 깊어 가는데/ 할머니 등 뒤에/ 고향의 뒷산이 솟고/ 그 산에는/ 철도 아닌 한겨울의 눈이 펑펑 쏟아지고 있는 것이다(후략)」 살아서 펴낸 유고시집 <새>에 실린 시들을 대부분 담아 다시 펴낸 두 번째 시집 <주막에서>의 표제시 <주막에서>의 부분이다.

저녁 어스름은 가난한 시인의 보람이라거나, 깊어가는 밤 주막집 할머니의 등 뒤로 철도 아닌 한겨울의 눈이 펑펑 쏟아지고 있는 대목들은 참 아름답다. 같은 주막에 있었으되 시인이 못되어서 입 속에서만 꿈꾸던 우리들의 말들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김우창은 ‘비참한 현실에 대한 인식과 그러한 현실 속에서도 환상처럼 어려 있는 행복의 느낌을 시인의 맑은 연민으로 결합한다’고 해설에서 평했다.
 

벽에 걸어 놓은 시 <귀천>.
벽에 걸어 놓은 시 <귀천>.

1988년 만성 간경변으로 춘천의료원에 입원했을 때 부인 목여사가 춘천을 오가면서 천상병 시인을 5년만 더 살게 해달라고 기도했다고 한다. 놀랍게도 병원에서조차 가망이 없다던 그의 병은 완쾌되었고 더 놀랍게도 정확히 5년 후인 1993년 그는 거짓말같이 세상을 떠났다. 시인이 세상을 떠났을 때 목 여사는 이렇게 생각했다고 한다. “5년이 아니라 10년만 더 살게 해달라고 빌 것을…” 그해 진짜 유고시집 <나 하늘로 돌아가네>가 발간됐다.
 
셋이서 문학관 그의 방에는 “‘문단의 마지막 순수시인’, ‘문단의 마지막 기인’으로 불리며 <귀천>과 같이 죽음과 피안, 인생의 비통한 현실 등을 간결하게 압축한 시를 썼다”고 적어 놓았다.

여비가 없어 고향 부모 산소에도 못가고, 형제들 사는 부산에도 못가고, 저승 가는데도 여비가 든다면 저승에도 못갈까 걱정했던 천상병. 시인은 어린아이의 동시(童詩) 같기도 하고, 선사(禪師)의 오도송(悟道頌) 같기도 한, 우리 국민들부터 가장 사랑받는 시 중의 하나인 <귀천(歸天)>을 남기고 하늘로 돌아갔다.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새벽빛 와 닿으면 스러지는/ 이슬 더불어 손에 손을 잡고//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노을빛 함께 단둘이서/ 기슭에서 놀다가 구름 손짓하면은// 나 하늘로 돌아가리라/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내는 날/ 가서, 아름다웠더라고 말하리라…」

이광이

◆ 이광이 작가

언론계와 공직에서 일했다. 인(仁)이 무엇이냐는 물음에 애인(愛人)이라고 답한 논어 구절을 좋아한다. 사진 찍고, 글 쓰는 일이 주업이다. 탈모로 호가 반승(半僧)이다. 음악에 관한 동화책과 인문서 ‘스님과 철학자’를 썼다.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