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남과 북은 융합 DNA 공유하고 있다

[김창엽의 과학으로 보는 문화] 공통된 ‘통일 문화’와 ‘통일 사고’

2018.04.30 김창엽 자유기고가
인쇄 목록

지난 4월 27일 오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함께 나무망치를 들고 디저트인 초콜릿 원형돔 ‘민족의 봄’을 열고 있다. <제공=공동취재단>
지난 4월 27일 오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함께 나무망치를 들고 디저트인 초콜릿 원형돔 ‘민족의 봄’을 열고 있다.

작금 남북간 화해 무드가 적잖은 사람들에게 통일의 꿈을 불어 넣고 있다.  통일이 이뤄진다면, 한반도 ‘5천년’ 역사에서 가장 큰 사건 가운데 하나가 될 게 틀림 없다.

통일은 어떤 의미로든 커다란 충격이다. 문화적 측면에서도 예외가 아니다. 당대의 문화나 유행, 사조 등을 일거에 바꿔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십중팔구는 ‘통일문화’라 부를 수도 있는 거대한 시대 흐름이 형성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삼국시대 문화, 고구려 문화 등으로 통칭하듯,  후대에 그 무엇인가로 이름 붙여져 하나의 문화 시대로 회자될 것이다.

남북의 통일은 정치적으로나 지리적으로는 통합(unity)의 형태를 띠겠지만, 문화적으로나 사회적으로는 융합(integration)의 면모가 두드러질 확률이 높다. 서로 섞이고, 녹아 들고, 혼재하면서 기존과 구분되는 새로운 문화가 형성될 것이기 때문이다. 

융합은 세계사적 흐름에서 본다면, 아시아에서 특히 독특한 양상으로 구현 혹은 발현돼 왔다. 논리를 비약하자면, 아시아 문화는 융합의 힘이 아프리카나 유럽 등에 비해 훨씬 강하게 작용한 소산이라고도 할 수 있다. 남과 북을 포함한 한반도도 다르지 않다.

유사 이래, 아시아를 일관되게 지배한 가장 강력한 추동력 가운데 하나가 융합 혹은 통합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개별화와 독립화가 두드러진 유럽이나 아프리카 지역과는 사뭇 딴판이다. 아니 서로 반대 방향으로 공동체가 진화해온 측면마저 있다.

인구나 면적에서 아시아를 대표하는 국가로 중국을 첫 손에 꼽을 수 있는데, 중국은 역사적 문화적 차원에서 융합과 통합을 숙명처럼 겪어온 나라이다. 중국 땅에서 춘추전국시대 등 나라가 여럿으로 갈린 분열 혹은 분단의 시대가 적지 않았지만, 하나의 국가로 통합되는 힘이 훨씬 강했고, 따라서 하나의 국가가 존재했던 시기가 훨씬 길었다.

한반도 상황도 중국 지역과 크게 다르지 않다. 삼국시대가 종식된 이래 오늘날의 남북이 갈리기 전까지 왕조는 바뀌었을 망정, 하나의 나라가 이 땅에 존재했었다. 일본의 경우 역시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섬나라, 즉 통합에 불리한 조건 임에도 불구하고, 역사적으로 단일국가를 지향해 왔다.

융합의 영향이 절대적이었던 아시아와는 반대로 유럽은 분화와 개별화의 길을 걸어왔다. 유럽 본토도 그렇고, 섬나라인 영국도 똑같다.  유럽 본토의 경우 중국과 면적이 엇비슷하고, 영국은 한반도보다 약간 큰 즉, 일본 면적의 70%에도 못 미치는데 통합이란 관점에서는 일본과는 전혀 다른 역사적 행보를 보여왔다.

커다란 땅덩어리에 자리한 중국은 지금도 최소한 겉으로는 비교적 하나의 나라를 잘 유지해오고 있다. 비슷한 크기의 유럽에 수십 개의 나라가 존재하는 것과는 분명하게 대조된다. 영국은 단일 연합 왕국(united kingdom)이지만, 동시에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아일랜드가 각각 하나의 국가처럼 움직이기도 한다.  땅덩어리가 가장 큰 스코틀랜드의 경우 분리 독립 투표가 치러지기도 했다.

북한의 비빔밤. 남한과 크게 다르지 않다. 남과 북은 통일에 대한 강렬한 열망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하나를 지향한다. (제공=우리투어스닷컴)
북한의 비빔밤. 남한과 크게 다르지 않다. 남과 북은 통일에 대한 강렬한 열망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하나를 지향한다. (제공=우리투어스닷컴)

인문지리적으로는 물론 지형적으로도 유럽이나 영국이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 분화나 분리 혹은 독립에 유리한 편은 아니다. 유럽은 알프스 일원, 피레네 산맥 정도를 제외하곤 평원이 대부분이다. 영국도 섬나라라고는 하지만 북아일랜드를 제외하곤 사실상 한 덩어리로 섬으로 이뤄져 있어,  큰 섬만 해도 여럿인 일본과 비교된다.  

정체성 혹은 문화적 속성과 직결되는 민족 그룹 차원에서도 유럽과 아시아는 수적으로는 별 차이가 없다. 기준을 정하기 나름이긴 하지만, 유럽 대륙에 산재하는 민족 그룹은 80~90개 정도로 알려져 있다. 중국은 당국이 공식 인정하는 민족 그룹이 모두 56개이다.

좀 과장하면, 유럽은 80~90개 민족 그룹 하나하나가 독자적이고 개별적인 나라 혹은 공동체로 작동하려는 경향성을 보인다. 하지만 중국은 56개 민족 그룹이 하나의 중국으로써 움직인다. 물론 중국의 민족 그룹 간에도 외모라든지, 전통 복장, 음식 등에서 때로는 큰 차이가 있다. 그럼에도 각기 민족 그룹들은 스스로를 ‘중국인’이라고 대체로 생각한다.

한반도는 면적이 크지 않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형적으로는 통합에 그리 유리한 여건은 아니다. 남북으로 상당히 길고, 또 큰 산맥에 의해 동서가 갈리는 탓에 교통 수단이 제법 발달한 근대 이후에야 각 지역간 왕래가 자유로운 편이었다.

과거 평민들의 대부분은, 태어나서 사방 수십 km를 벗어나지 못하고 삶을 마감했다. 그러니 멀리 남북을 오간다든지, 큰 산맥을 넘는 사람 숫자는 극히 적을 수 밖에 없었다. 산맥의 이쪽과 저쪽은, 예를 들면 전라북도 장수와 경상남도 함양은 인접해 있지만 말투가 다르고 풍습과 음식에도 미묘한 차이가 있었다.

풍물놀이. 통시적 측면에서 남과 북의 분단은 길게 가지 않을 확률이 높다. 남북 사회의 구성원 가운데 남과 북은 하나여야 한다는 당위적 사고를 가진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제공=아이잭 크럼)
풍물놀이. 통시적 측면에서 남과 북의 분단은 길게 가지 않을 확률이 높다. 남북 사회의 구성원 가운데 남과 북은 하나여야 한다는 당위적 사고를 가진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제공=아이잭 크럼)

그러나 동과 서, 남과 북은 ‘공통적으로’ 통합을 지향했다. 통합에 관한 한 놀라울 정도의 ‘한마음’이었다.  한반도가 삼국 이래로 통합의 길을 지속적으로 걸은 것은, 통합 혹은 융합이라는 큰 경향성에서 이 땅의 사람들이 서로 크게 다르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유럽에서 분리 독립의 흐름이 이어지는 것, 반대로 아시아에서는 통합이 대세인 것은 자연환경 등의 요인만으로는 설명하기 곤란하다. 또 전쟁이나 외교의 결과라는 식으로도 설명이 잘 안 된다.

공산주의가 동유럽을 한 때 통합의 흐름으로 이끌긴 했지만, 그로 인한 결속은 오래가지 않았다.

중화인민공화국은 여전히 공산주의를 정체성으로 하고 있지만, 송, 요, 금, 명, 청 왕조를 잇는 ‘하나의 중국 흐름’을 이어오고 있다. 

아시아의 통합과 유럽의 분리 흐름은 민족그룹이나 자연환경, 정치, 외교, 전쟁 등 외형적 틀을 통해 충분히 설명하기 곤란하다. 그 무엇인가 다른 요인이 있을 수 밖에 없다. 통합과 분리라는 상반된 현상을 살피기 위해 공동체를 구성하는 사람들, 그리고 그들의 문화를 들여다봐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얼핏 모순처럼 보이지만, 통합이 과제인 나라들은 주로 아시아 지역에 존재한다. 남북이 그렇고, 중국과 대만이 비슷하다.  베트남은 한때 갈려 있었지만 전쟁을 거치면서 통합으로 원상 회복했다. 베트남은 면적 대비 민족그룹이 세계에서 가장 많은 나라임에도 역시 단일 국가 중심의 역사를 가진 나라라는 점에서 매우 아시아적이다.

남북 혹은 중국 대만과 대조적으로 유럽에서는 분리독립이 숙제라면 숙제인 형국이다. 지난해 카탈루냐가 스페인으로부터 독립을 앞세워 논란이 됐고, 스코틀랜드의 분리독립 또한 끊이지 않고 제기되는 사안이다.

통합이냐 분리 독립이냐에 관한 공동체 구성원들의 인식이 아시아와 유럽에서 딴판인 것은 분명한 사실로 받아들여야 하지 않을까? 아시아인들은 특히 동아시아 사람들은 통합을 당위로 여기는 ‘성향’이 있다. 분리나 독립, 혹은 딴 살림을 얘기하면 심하게 말해, 배신이나 반역으로 여기는 풍토가 은연 중에 존재한다.  

유럽인들은 대체로 통합을 순리가 아닌 것으로 여기는 경향성을 보인다.  공산 체제와 함께 잠시 통합됐던 동유럽이 1990년대 이후 무서운 속도로 잘게 나뉘어진 것은 분리독립에 대한 염원이 컸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지난 4월 27일 오후 공동 식수를 마친 후 ‘도보다리’까지 산책을 하며 담소를 나누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제공=공동취재단>
지난 4월 27일 오후 공동 식수를 마친 후 ‘도보다리’ 산책을 하며 담소를 나누는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역사적 맥락, 그리고 공동체 구성원들의 성향을 감안하면 남북의 통일은 시간 문제일 가능성이 농후하다. 다소 거칠긴 하지만, 남과 북은 현실적으로 여러 면에서 간극과 적잖은 차이에도 불구하고 통일은 ‘선’이며,  분단 고착은 ‘악’이라는 인식을 놀라울 정도로 공고하게 공유하고 있다.

통합이냐 분리냐는 결국 사회 구성원들이 결정한다고 할 때, 남과 북은 불원간 통일된다는데 손을 들어줄 수 밖에 없다. 남쪽과 북쪽 사람들은 공통된 ‘통일 문화’와 ‘통일 사고’의 영향 아래 있기 때문이다.  

김창엽

◆ 김창엽 자유기고가

중앙일보에서 과학기자로, 미주 중앙일보에서 문화부장 등으로 일했다. 국내 기자로는 최초로 1995~1996년 미국 MIT의 ‘나이트 사이언스 펠로우’로 선발됐다. 시골에서 농사를 지으며 문화, 체육, 사회 등 제반 분야를 과학이라는 눈으로 바라보길 즐긴다.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