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예로 든 일본 피해상황 사실과 달라

‘새만금 간척지 홍수피해 무방비’

2000.05.15 국정신문
인쇄 목록

환경운동연합과 일본의 대표적 습지보전단체인 일본습지네트워크(JAWAN)는 8일 새만금 간척사업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갖고 현지에 대한 공동갯벌조사 결과 이 지역이 세계적으로 보전할 가치 있는 갯벌생태계 중의 하나라는 사실이 확인됐다면서 간척사업의 즉각 중단을 요구했다.

JAWAN의 야마시타 히로부미(山下 弘文) 공동대표는 특히“일본정부는 이사하야만 간척사업의 문제점이 지적될 때마다 농경지 및 수자원확보와 홍수예방 목적이라고 주장했지만 작년 홍수 때 주민 90%가 대피하는 등 홍수예방용 제방이 아무런 구실을 하지 못해 정부의 설명이 허구임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환경운동연합 최열 사무총장은“새만금 간척지는 바닷물의 높이와 일치하기 때문에 홍수발생에 전혀 무방비상태”라며“이런 일련의 문제점을 살펴볼 때 새만금 간척사업은 백지화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주장했다.
<5월9일자, 각신문>

농림부가 일본 농림수산성에 확인한 결과 일본습지네트워크 대표 야마시타 히로부미 씨가 지난해 홍수로 이사하야만 간척지의 주민이 90% 이상 대피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님이 밝혀졌다.

확인결과 지난해 7월23일 이사하야만 지역에 집중호욱 발생해 간척지 상류 시내를 관통하는 본명천이 경계수위를 넘을 것으로 판단, 시내전역 3만4000세대 9만4000명에게 피난권고를 발령했으나 이중 0.4%인 350만명만이 일시 피난했고 농작물 피해도 300만엔에 불과했다.

일본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관계자와 현지 주민들은 당시 나가사키 대홍수에 필적하는 집중폭우가 내렸으나 농작물 등 피해가 적었던 것은 간척사업의 홍수조절 효과 때문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일본의 이사하야만의 예로 보더라도 우리의 새만금 간척사업을 백지화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주장은 설득력이 없음을 증명시킨 것과 같다.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