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통화 먼저? 문자 먼저?

2018.10.16 한기봉 언론중재위원/칼럼니스트
인쇄 목록

며칠 전 버스에 앉자마자 전화가 울린다. 저장이 안 된 번호다. 받을까 말까. 안 받자니 왠지 찜찜하고 불안하다. 혹 아는 이에게 무슨 일이 생겼을지도 모르고, 가끔 원고나 강의 청탁도 있고, 내가 미처 번호를 저장 못 한 친구일 수도 있고, 혹시 갑작스런 노다지일지도 모르니 안 받을 배짱은 없다.

“선생님에게 아주 좋은 조건의 보험을 설명해드려도 될까요?” 낭랑한 여인의 목소리다. 아뿔싸. 그래 어제 보험비교 사이트에 들어갔었지. 그런데 정보를 얻으려면 전화번호를 적게 돼 있었다. “괜찮습니다. 필요없습니다.” 전화를 끊는데도 계속 음성은 이어진다. 1분 후쯤 모르는 번호에서 또 전화가 왔다. “저희는 업계 1위 OO보험입니다….” “미안한데 저 이미 가입했거든요.” 이럴 땐 머리가 잘 돌아간다. 이날 받은 이 업계의 전화만 세 통이다.

일을 마치고 아내와 모처럼 외식을 하는데 동창한테 전화가 왔다. 전화 받을 수 있냐고 묻지도 않더니 바로 본론에 들어간다.
“내가 이런 일을 당했는데 말야, 너무 억울해서. 이거 신문에 좀 나게 할 수 있을까?” 신문사 나온 지도 한참 됐고, 신문에 하소연한다고 다 기사로 써주는 것도 아닌데. 기가 막혔지만 인내심을 갖고 들어줄 수밖에. 아주 사소한 개인 간 분쟁이었다. “그거 뉴스거리가 안 돼. 네가 알아서 해결해.” 이 말이 입에 간질간질했지만 차마… 통화를 간신히 끝내기까지 15분 걸렸다. 아내가 눈치를 준다. 음식은 다 식어버렸다.

휴대전화 없이는 하루도 못 산다. 신체의 일부분이다. 버릴 수도, 도망칠 수도 없다. 모티켓인지, 전화예절인지 알 만큼은 안다. 사람들이 가장 자주 지적하는 게 공공장소에서의 큰 소리 통화와 벨소리다. 나는 남들이 버스나 지하철에서 자신의 직업과 사생활을 다 드러내고, “카톡~카톡” 도돌이표가 짜증나도록 이어져도 자주 경험해서인지 참을 만하다. 정작 나를 가장 곤혹스럽게 하는 건 예고 없이 걸려오는 전화다. 저장된 번호든, 모르는 번호든 마찬가지다.

상품홍보와 판매가 목적인 전화는 사실 익명의 전화를 무시하기 어려운 사람들의 심리를 이용하는 거다. 전화를 거는 사람의 신상정보가 의무적으로 뜨게끔 법으로 정해지는 날이 올까. 어쨌든 모르는 번호는 070이 아닌 이상 일단은 받게 된다. 텔레마케터들도 직업이고 감정노동자이기에 힘들다. 그리고 그런 전화를 받고 싶지 않은 사람을 위한 스팸 차단 앱도 많다.

문제는 아는 사람한테 걸려오거나 내가 걸어야 하는 경우다. 카톡 같은 SNS 메신저가 발전하다보니 요즘은 음성통화보다 문자소통이 더 많다. 아예 음성통화 자체를 기피하고 문자로만 소통하려는 사람들도 많다. 그러다보니 상대가 곧바로 음성으로 쳐들어오면 당황하고 긴장된다. 용건에 앞서 우선 그가 내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느낌이 들어 조금 불쾌해지려고 한다. 물론 지금은 전화를 받을 수 없으니 나중에 연락드리겠다는 수신 거부 메시지를 이용할 수도 있다. 그런데 사람이란 게 그렇다. 전화를 안 받거나 못 받으면 괜히 좀 미안해진다. “아, 미안해. 아까는 뭐 좀 하느라고 말이야” 콜백을 할 때 전화 못 받은 이유를 일부러 해명해야 쓸데없는 오해가 안 생긴다.  

문자의 장점은 많다. 상대의 상황을 배려해준다는 느낌을 주고, 서로에게 생각할 틈을 주니 실수가 적어진다. 용건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기도 좋고 동시다발로 보낼 수도 있다. 메모를 안 해도 되고 보관하기도 좋다. 때로는 그게 불리한 증거로도 남지만. 페이스북에서의 기능처럼 일단은 한번 콕 찔러보는 기분도 있다.

그런 습관에 익숙해진 사람들에게 갑자기 전화가 걸려오면 “무슨 큰 일이 생겼나, 뭐가 잘못됐나” 하는 생각이 순간적으로 들게 된다.

그런데 또 어떤 사람들은 문자보다 통화가 더 좋다고 말한다. 물론 아주 막역한 사이에는 시도 때도 없이 불쑥 전화해도 욕 먹을 건 없지만. “아니 전화를 걸지, 뭘 문자를 해?” 이 말의 의미는? 우리는 통화할 사이지, 문자할 사이는 아니라는 거다. 통화가 문자보다 인간적이고 친밀도가 크다는 생각에서다. 그래서 어른이나 좀 어려운 분에게 용건이 있을 때 특히 고민이 된다. 어떤 쪽이 예의가 바른 걸까.

몇 년 전에 뉴욕타임스에 이런 제목의 칼럼이 실린 적이 있다. ‘전화하지 마세요. 저도 전화하지 않을게요(Don’t call me, I won’t call you)’. 내용은 이렇다. “거의 모든 의사소통이 문자와 메일로 이뤄지는 세상이다. 예전에는 ‘밤 10시 넘어서는 전화하지 말라’고 배웠지만 이제는 ‘아무에게도 불쑥 전화하지 말라’가 예절인 세상이다. 전화를 걸려면 먼저 전화해도 되냐고 물어야 한다. 나에게 불쑥 전화하지 마라. 나도 그럴 거다.”

하루에 몇 번은 그런 고민을 하게 된다. 선택의 기준은 대체로 이렇다. 우선 말로 하기엔 좀 어렵거나, 공적인 연락이거나, 늘 바쁜 사람, 좀 덜 친하다고 생각하는 사람, 특별한 용건은 없지만 인맥관리 차원에서 안부를 전하고 싶은 사람이거나, 밥을 얻어먹었거나 모임에서 알게 됐을 때 집에 가면서 인사치레로 문자를 한다. 내 문자를 보고 문자로 응대하지 않고 바로 전화를 걸어오는 사람은 인간관계를 중시하는 사람이다. 사회생활을 잘 하는 사람이다.

반대로 문자는 ‘씹힐’ 우려가 있다. 그러면 상처받는다. 문자를 보고도 답을 안 한다는 건, 전화를 안 받는 거와 다르다. 오만가지 추측이 들기 시작한다. “어, 나를 무시하네, 거절의 뜻인가, 그냥 안부를 전한 건데 관심이 없나 보네, 자존심 상하네, 차라리 전화를 바로 할 걸 그랬나.”
 
아무튼 난 대체로 친구든 지인이든 통화를 해야 할 용건이 있을 때는 “통화 가능해?” 라든지 “언제 한가할 때 전화 좀 주세요”라는 문자를 먼저 보낸다. 그리고 기다린다. 그러다보니 뭐야, 그 용어도 어려운 ‘유령 진동 증후군(Phantom Vibration Syndrome)’이니, ‘링자이어티(Ringxiety)’하는 증세도 있다. 하루에도 수없이 메시지가 들어왔나, 카톡이 떴나, 부재중 전화가 있나, 액정화면을 들여다봐야 불안하지 않다.

차라리 옛날처럼 집 전화 한 대 고이 거실에 모셔놓고 사는 게 더 좋았던 시절이 아니었나, 그런 생각마저 든다. 그 시절에는 그리움과 기다림과 긴장이 있었다. 그 다방에 들어설 때 가슴이 뛰고, 기다리는 순간은 꿈결처럼 감미로웠다. 이제 그럴 일은 없다. 올 건지 안 올 건지, 안 오면 왜 안 오는지, 얼마나 늦을 건지, 고무신 바꿔 신었는지, 문자로 다 주고받으니까. 싸늘하게 식은 찻잔에 슬픔처럼 어릴 고독도 없다. (나훈아, ‘찻집의 고독’)

전화가 발명된 애당초 목적은 목소리 전달이다. 1876년 3월 10일 알렉산더 벨이 조수 토머스 왓슨에게 전화를 걸어 “왓슨 이리 와주게나” 한 게 인류의 첫 통화다. 그래서 전화(電話)에는 말 ‘話’자가 들어간다. 그건 그저 시작이었을 뿐이다. 휴대전화의 기능이 음성을 넘어 문자와 메신저와 사진과 앱과 데이터(음악, 영상)와 인공지능으로 옮겨가니 손전화라는 말이 언제까지 유효한 단어로 남을까. 아무튼 나는 오늘도 그 놈의 휴대전화 앞에서 고민한다. 전화를 걸까? 문자로 할까?

한기봉

◆ 한기봉 언론중재위원/칼럼니스트

한국일보에서 30년간 기자를 했다. 파리특파원, 국제부장, 문화부장, 부국장, 주간한국 편집장, 인터넷한국일보 대표, 한국온라인신문협회 회장을 지냈다.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초빙교수로 글쓰기와 한국 언론에 대해 강의했다. 언론보도로 피해를 본 사람과 언론사 간 분쟁을 조정하는 언론중재위원이다. hkb821072@naver.com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