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옥탑방 사는 청년 줄고 내집 마련한 신혼부부 늘었다

국토부, ‘2018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 발표…주거수준 다소 개선

2019.05.16 국토교통부
인쇄 목록

옥탑방·반지하 등에 거주하는 청년의 비중이 줄고 자기 집을 마련한 신혼부부가 늘어나는 등 우리 국민의 주거 수준이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주거복지로드맵, 신혼부부·청년 주거지원방안 등 수요자 맞춤형 주거지원 정책의 효과가 일부 체감되기 시작한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수도권 중심으로는 여전히 내 집 마련에 대한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조사돼 집이 없는 실수요자들에 대한 지원정책이 지속 추진돼야 할 것으로 분석됐다.

옥탑방·반지하 등에 거주하는 청년의 비중이 줄고 자기 집을 마련한 신혼부부가 늘어나는 등 우리 국민의 주거 수준이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옥탑방·반지하 등에 거주하는 청년의 비중이 줄고 자기 집을 마련한 신혼부부가 늘어나는 등 우리 국민의 주거 수준이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16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18년도 주거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신혼부부(혼인 5년 이내) 가구의 자가보유율은 50.9%로 2017년의 47.9%보다 3%포인트 올랐다.

신혼부부 중 자기 집에서 사는 가구의 비율(자가점유율) 역시 1년간 44.7%에서 48%로 상승했다.

신혼부부 가운데 약 절반은 결혼 후 5년 내 자기 집을 사서 거주하고 있다는 뜻이다. 반면, 신혼부부 가구의 월세(32.2→31.7%) 비중은 감소했다.

청년 가구의 주택은 대부분 임차(75.9%) 형태였으며 주거비 부담을 나타내는 RIR(Rent Income Ratio)은 20.1%로 일반 가구 15.5%와 비교해 다소 높은 수준을 보였다. RIR는 집을 빌린 임차 가구의 월 소득에서 월 임대료가 차지하는 비중을 말한다.

다만, 수도권의 경우 청년 가구 RIR가 1년 사이 22.2%에서 20.8%로 줄었다.

‘최저 주거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청년 가구 및 지하·반지하·옥탑에 사는 청년 가구의 비율도 같은 기간 10.5%에서 9.4%로, 3.1%에서 2.4%로 각각 낮아지는 등 주거수준이 개선됐다.

자기 집을 가진 가구의 비율(자가보유율)은 61.1%로 2017년과 같았다. 수도권(54.2%), 광역시 등(63.1%), 도지역(70.3%)에서 모두 변화가 없었다.

자기 집에 사는 가구의 비율(자가점유율)도 2017년과 동일했다. 이는 2년 연속 역대 최고수준이다.

1년 사이 수도권(49.7→49.9%)과 도 지역(68.1→68.3%)의 자가점유율은 다소 올랐으나 광역시 등의 경우 60.3%에서 60.2%로 떨어졌다.

점유형태는 ‘자가’ 57.7%, ‘보증금 있는 월세’ 19.8%, ‘전세’ 15.2%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월세 임차가구 중 월세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16년까지 급증하다 이후로는 유사한 수준을 유지 중이다.

최저주거기준 미달가구는 2014년 이후 5~6% 수준으로 2018년 5.7%로 전년도 5.9%에 비해 소폭 감소했다.

1인당 주거면적도 31.7㎡로 2017년의 31.2㎡ 대비 소폭 증가하는 등 주거 수준은 개선된 수치를 보였다.

전국의 2018년 자가가구의 연소득 대비 주택구입가격 배수를 뜻하는 PIR(Price Income Ratio)은 2017년의 5.6배 보다 다소 낮아졌다.

그러나 수도권의 PIR는 6.9배로 광역시 등(5.6배), 도 지역(3.6배)에 비해 높았으며 2017년 6.7배보다도 상승했다. 신혼 자가가구의 PIR도 5.3으로 2017년의 5.2보다 높아졌다.

이와 관련 국토부 관계자는 “조사기간이 작년 6~12월인 점을 감안하면 9.13 대책 등에 따른 수도권 집값 안정효과는 조사 결과에 반영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에서 ‘임대료 및 대출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답한 신혼부부 가구의 비율은 1년 동안 78.3%에서 82.7%로 상승했다. 

신혼부부 가구는 가장 시급한 주거 지원책으로 ‘주택 구입자금 대출지원(46.2%)’, ‘전세자금 대출지원(23.8%)’ 등을 꼽았다.

청년 가구의 주거 지원 요구도 전세자금 대출지원(32.2%), 주택 구입자금 대출지원(24.3%), 월세보조금 지원(16.4%) 등에 집중됐다.

한편, 국토부는 지난 2006년부터 주거실태조사(일반가구)를 2년 단위로 실시해 왔으며 2017년부터는 매년 실시하고 있다.

또 맞춤형 주거복지정책 수립에 활용하기 위해 2017년는 조사부터 조사 표본을 2만 가구에서 6만 가구로 확대했다.

문의: 국토교통부 주택정책과/주거복지정책과/국토연구원 주택토지연구본부 044-201-3336/4740/960-0318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