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2040년 재생에너지 30~35% 목표 달성 가능하다

2019.04.22 산업통상자원부
인쇄 목록

산업통상자원부는 “2040년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30~35% 달성을 위한 입지잠재량은 충분하다”며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전력소비 증감여부와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확대에 따른 전기요금 인상 여부는 현재로서는 단정하기 어렵다”고 밝혔습니다.

4월 20일 한국경제 <원전은 쏙 뺀 ‘주먹구구 에너지대계’>, <신재생 30% 맞추려면… 서울 절반 태양광 패널로 덮어야 할 판> 등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정부는 19일 공청회를 열어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안)을 공개하였음

□ 한국은 국토가 좁고 일조량이 부족하여 2040년까지 재생에너지 비중을 30% 이상으로 높이는 것은 사실상 어려움

ㅇ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목표도 30~35%로 모호하게 제시하면서 하위계획을 짜는 데도 차질이 불가피함

□ 전기차·4차 산업혁명으로 전력 수요가 계속 늘 수 밖에 없는데도 소비를 되레 낮춰 잡았으며, 전력 단가가 비싼 재생에너지 비중을 과도하게 높여 잡아 조만간 전기요금 급등이 불가피함

□ 산업 부문의 에너지 소비를 다른 부문에 비해 가장 높은 8.1%p 감축하여, 기업을 희생양으로 삼겠다는 것으로 해석될 여지

□ 2차 에기본과 달리 원자력·가스·유류 등 다른 에너지원의 장기 발전비중을 전혀 제시하지 않았음

[산업부 설명]

①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30~35% 달성을 위한 입지잠재량은 충분하며, 해외에서도 재생에너지 목표를 범위로 제시하는 경우가 많음

ㅇ 전문가TF 분석결과에 따르면 ’40년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30~35% 달성을 위해 필요한 설비 용량은 103~129GW 수준

- 염해농지 등 휴경지, 건축물·시설 옥상 등 단기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태양광·풍력 우선 공급가능잠재량은 155~235GW 수준으로 입지잠재량 충분

ㅇ 제3차 에너지기본계획(안)에서 ’40년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목표는 기술발전 수준 등 미래 환경변화 가능성을 고려하여 단일 값이 아닌 범위(Range)로 제시

- 일본, 독일 등 주요 국가에서도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목표*를 특정 수치가 아닌 범위로 제시한 바 있음

* 일본(제5차 에너지기본계획, ’18.7월) : ’30년 22∼24%독일(에너지구상 2010) : ’25년 40∼45%, ‘35년 55∼60%

②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전력소비 증감여부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확대에 따른 전기요금 인상 여부는 단정하기 어려움

ㅇ IoT 확산, 데이터센터 등은 전력소비를 증가시키지만, 4차 산업혁명 기술이 소비 효율을 향상시켜 전력소비 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되어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전력소비 증감여부는 단정하기 어려움

* 에너지관리시스템(EMS), 지능형검침인프라(AMI), 스마트 공장 보급 등(예) 구글은 자사 데이터센터에 머신러닝 기술을 적용, 냉각전력 40% 절감 (‘16년)

-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전력수요 연구용역 결과(딜로이트, ’17.12)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신규 디바이스의 출현으로 단위 전력소비는 증가하나, 전력소비 최적화 및 전력 자급 생태계로의 전환에 따라 전반적인 전력소비는 감소할 것으로 전망한 바 있음

- 3차 에기본 워킹그룹에서는 4차 산업혁명에 따라 ’40년 전력소비 감소분이 증가분을 상회(0.4백만TOE)하여, 전력소비 순 감소를 유발할 것으로 예상하기도 하였음

ㅇ ’40년 재생에너지 확대에 따른 전기요금 인상 여부는 당해 연도의 발전믹스와 발전단가에 따라 변화할 수 있음 

ㅇ ’40년 발전믹스 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전세계적으로 기술발전 등으로 인해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빠르게 하락*하고 있어, 재생에너지 발전비중 확대시 전기요금 인상 여부를 현 단계에서 예단하기는 어려운 상황임

* 전세계 평균 재생에너지 발전단가 변화(’10 → ’17, $/kWh, 국제재생에너지기구)

- (태양광) 0.36 → 0.10, (태양열) 0.33 → 0.22, (해상풍력) 0.17 → 0.14

③ ’40년 산업 부문의 에너지소비 감축률은 다른 부문에 비해 낮은 편임

ㅇ 부문별 감축률 기준으로 산업 부문은 가장 낮은 편*이며, 감축량중 산업 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이유는 산업 부문의 에너지 소비가 가장 크기 때문**임

* ’40년 기준수요 대비 감축률(%) : (산업) 15, (수송) 25, (가정) 19, (상업) 23, (공공) 19

** ’40년 기준수요 비중(%, 최종에너지) : (산업) 54, (수송) 21, (가정) 11, (상업) 11, (공공) 4

- 기사에서 언급한 산업부문 감축비율 8.1%p는 ’40년 전체 감축률 18.6%중, 8.1%p를 산업 부문에서 담당한다는 의미임

* (산업) 8.1%p, (수송) 5.3%p, (상업) 2.6%p, (가정) 1.9%p, (공공) 0.7%p

④ 에너지기본계획의 특성상 구체적인 에너지 원별 발전비중은 제시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임

ㅇ 중장기 에너지비전을 제시하는 에너지기본계획의 특성상 에너지 원별 정책 방향을 제시하고, 원별 발전 비중 목표는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구체화하는 것이 일반적임

ㅇ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14~’35)*에서도 원별 발전비중은 제시된 바 없으며, ’33년까지의 원별 발전비중은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구체화 할 예정임

* 2차 에너지기본계획에서는 ’35년 원전 설비비중과 1차에너지중 신재생에너지 비중 목표를 제시하였음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혁신정책과(044-203-5130), 신재생에너지정책과(044-203-5361)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