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사흘 연휴’ 소동이 남긴 것

2020.07.31 한기봉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윤리위원
인쇄 목록

“모라고 했는지 1도 몰으갰습니다”
군복 차림의 그가 이렇게 쓴 종이를 들었다. 2014년 4월 13일 방영한 MBC TV의 군대 체험 예능 프로그램 ‘일밤-진짜 사나이’에서다. 퀴즈 순서에서 한국어에 서툰 그가 낸 답이다. 도통 한글 맞춤법에 맞지 않는다. 지금은 가수, 연주자, 배우, 예능인으로 한국 대중문화계에서 종횡무진하는 헨리(31)다.

그는 지연이든 혈연이든 한국과는 그야말로 ‘1도’ 관련이 없다. 부모는 캐나다로 이주한 홍콩과 대만 출신이다. 헨리의 국적도 캐나다고 본명은 헨리 라우 (Henry Lau)다. 그러니 이런 답안지를 이해할 만하다.

한국 대중음악계에 발을 들인 그가 얼떨결에 창조(?)한 이 말은 이제 ‘국민 용어’가 됐다. 표준국어대사전까지 등재는 안 됐지만, 모르거나 안 쓰는 한국인은 거의 없다. 누리꾼들이 참여해 만드는 네이버오픈사전에는 ‘1도 모르겠다’가 이미 올라와 있다. 광고에도 이 말이 카피로 쓰였고, 최근의 장관 청문회에서 어떤 의원은 이 말이 마치 표준말인 것처럼 자연스럽게 여러 번 사용했다.

뒤이어 2018년 걸그룹 에이핑크가 ‘1도 없어’라는 노래를 발표하자 이 말은 금세 더 퍼졌다. 가사는 헤어진 연인에 대한 느낌을 이렇게 표현했다. ‘1도 없어 예전의 느낌’, ‘그때의 감정이 단 1도 없어’, ‘1도 없는 진심’….

헨리는 자신이 만든 이 신조어에 대해 “저작권 등록을 했어야 하는데”라며 너스레를 뜰 정도로 이제는 한국어를 잘 한다.

어쨌든 ‘1도 없다’는 말이 이제는 거부감은 없다 해도 틀린 맞춤법이다. 국립국어원 설명에 따르면 ‘하나도’는 뒤에 오는 ‘없다’ 등의 부정어와 호응해 ‘전혀’ ‘조금도’라는 뜻을 나타내는데, 이걸 숫자 ‘1’로 대체해 쓰거나 ‘일도 없다’ 라고 읽는 것은 명백히 틀린 것이다. 아무튼 이 말이 대유행하면서 한글의 기수(基數, 기본 수)와 서수(序數, 순서를 나타내는 수) 체계가 흔들리기 시작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국어 ‘하나’와 아라비아 숫자 ‘1’을 혼용한 이 언어관행이 굳어져 가는 탓일까. 최근 이에 얽힌 작은 ‘소동’이 벌어졌다.
 
7월 21일 국무회의가 월요일인 8월 17일을 임시공휴일로 확정하면서 토요일인 광복절부터 쉴 수 있는 사흘 연휴가 생겼다. 광복절은 공휴일과 겹쳐도 어린이날처럼 대체휴일을 주지 않기 때문에 코로나에 지친 국민에게 조금이라도 휴식할 시간을 더 주자는 취지였다,

모든 언론이 ‘사흘 연휴’가 됐다고 보도했다. 그런데 여기에 달린 전혀 뜻밖의 댓글들이 화제가 됐다. 몇 개를 그대로 옮겨본다.

“토일월 쉬면 삼일 연휴 아닌가요? 왜 사흘 연휴라고 오보를 하나요.”
“월요일 하루 추가해 3일이구먼. 그런데 왜 사흘이라고 뻥치냐.”
“기레기 자식아. 넌 15~17일이 사흘로 계산 되냐. 똑바로 계산 안 할래? 14일에 연차를 낸 걸 자랑하고 싶어 기사 썼나 보지?”

이 댓글은 정말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모르겠다.
“사흘이 아니고 ‘삼흘’이라고 정정 좀 하시죠.”
 
물론 사흘이 3일을 말하는 우리말이라는 걸 아는 국민이 훨씬 더 많으리라고 나는 생각한다. 어쨌든 갑론을박과 탄식이 이어지면서 ‘사흘’은 그날 바로 실시간 검색어 1위에 등극했다. 우리말 ‘사흘’에 숫자 ‘4’를 연상시키는 ‘사’자가 포함됐기 때문에 빚어진 일이다.  
한 네티즌은 이렇게 썼다.
“헉. 사흘을 모르는 한국인이 있다는 것도 놀랍고, 이런 게 기사가 되는 것도 놀랍네요. 방송에서 ‘하나도 모른다’를 ‘일도 모른다’고 잘못 사용한 것을 좋다고 따라하다 보니 생긴 일입니다. 하긴 ‘1루’, ‘2틀’, ‘3흘’ ‘4흘’이라고 쓰는 사람도 봤으니까요.”

심지어 이런 우스갯소리도 나왔다.
“국민이 사흘을 헷갈려하는 건 나흘의 존재를 모르기 때문이다. 그러니 정부는 황금연휴를 최소 나흘로 구성해서 나흘이란 단어의 언론 노출 횟수를 늘려야 한다.”

실제로 어느 인터넷 매체의 기자가 ‘4흘’이라고 쓴 기사가 있던 게 드러나 입방아에 오르기도 했다.

놀라운 건 또 있었다. 사람들이 가장 애용하는 구글 번역기에 ‘사흘’을 쳐보니 ‘four days’라고 번역된 것이다. 이 글을 쓰는 시점에 확인해보니 ‘three days’로 제대로 수정이 됐다. 아마 구글 측에서도 기사를 읽었나 보다. 그런데 지금도 ‘나흘 닷새 엿새 이레 여드레 아흐레’를 구글 번역기에 돌려보니 상당수가 잘못 또는 엉뚱하게 번역됐다. 반면 네이버의 번역 시스템인 파파고는 옳게 번역했다. 축적된 한국어 학습 데이터가 많아서일 거다.

나는 이런 소동이 벌어진 게 차라리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우리의 언어 습관을 한번 되돌아보는 계기가 됐으니까. 학교 현장의 국어 교육에 대한 문제가 이번에도 지적됐다. 평준화 교육이 낳은 문제라는 말도 나왔다.

아름답고 듣기 좋은 우리말을 애용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이번 기회에 좀 만들어지길 바란다는 의견도 많았다. 말은 자주 써야 생명을 유지한다. 이쯤 되면 ‘이레’ ‘여드레’라는 말도 사라지거나 외국어 취급을 받을지도 모른다.

그 책임을 묻자면 가장 큰 몫은 방송이 져야 할 거 같다. 요즘 거의 모든 TV 프로그램에는 자막과 말풍선이 따라 붙는다. 그런데 한글 어법이나 맞춤법에 맞지 않는 경우가 많고, 비속어나 은어를 버젓이 쓰고, 국적불명의 조어나 축약어를 경쟁하듯 만들어내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관찰이나 체험을 하고, 한 자리에 모여 수다를 떠는 예능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다보니 그 정도가 더 심해진다.

특히 청소년에게 영향을 많이 끼치는 유명 연예인들의 말은 그대로 유행어가 돼 버리는 일이 많다. 생각나는 것만 적어본다.

‘핵잼’(몹시 재미가 있음), 그 반대인 ‘노잼’, ‘인싸’(잘 어울리는 사람, 인사이더), 그 반대인 ‘아싸’, ‘잘알못’(잘 알지 못하는), ‘찐’(진짜), ‘갑분싸’(갑자기 분위기가 싸해짐), 츤데레(쌀쌀하고 다정한 모습이 다 있는 사람), ‘걸 크러쉬’(센 언니), ‘오놀아놈’(오~놀 줄 아는 놈), ‘비담’(비주얼 담당), ‘레알’(정말) 등등 셀 수가 없다. 포털에 ‘신조어’라고 치면 리스트가 쫙 뜬다. 이런 말들을 모르면 ‘꼰대’ 취급을 받아서 세대 간 격차와 갈등만 커진다.
국립국어원이 어려운 한자어나 외국어를 우리말로 순화하는 캠페인을 벌이고, 방송심의에서도 심한 비속어 남발에 주의를 주지만, 공영 매체인 방송이 따라주지 않으면 별 효과가 없다.

이번 소동을 두고 ‘신문맹 시대’라는 말도 들렸다. 난 방송사들도 행정부처들처럼 (아직은 만족스럽지 못하지만) ‘국어책임관’이나 ‘언어자문관’ 제도를 두어 자체적으로 개선하는 노력을 하면 참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아나운서님들은 잘 하고 있는데 PD님들과 작가님들은 왜 그리 ‘글살이’ ‘말살이’에 무심하신지 모르겠다. 물론 그분들이 ‘사흘 연휴’ 소동의 원인 제공자는 아니지만 말이 나온 김에.    

한기봉

◆ 한기봉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윤리위원

한국일보에서 30년간 기자를 했다. 파리특파원, 국제부장, 문화부장, 주간한국 편집장, 인터넷한국일보 대표, 한국온라인신문협회 회장을 지냈다. 국민대 언론정보학부 초빙교수로 언론과 글쓰기를 강의했고, 언론중재위원을 지냈다. hkb821072@naver.com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