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스파링 파트너’ 아빠가 되어라

[아빠육아 효과 - 21] 엄마는 공감에, 아빠는 체계를 이해하고 만드는 일에 적합해

2020.04.06 김영훈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인쇄 목록

“아버지란, 내가 아버지 노릇을 제대로 하고 있나? 내가 정말 아버지다운가? 하는 자책을 날마다 하는 사람입니다. 아들, 딸이 밤늦게 돌아올 때에 어머니는 열 번 걱정하는 말을 하지만, 아버지는 열 번 현관을 쳐다봅니다. 아버지의 최고의 자랑은 자식들이 남의 칭찬을 받을 때입니다”  

나도 내 아이가 남의 칭찬을 받으면 기쁘다. 나도 내 아이가 아빠가 걷는 길을 자랑스럽게 생각하기를 원한다. 나는 아빠다. 그리고 내 아이들이 나를 아빠라고 부른다. 나는 어느 순간 아빠가 되어버렸다.

대부분의 남자들에게 결혼의 목적은 아빠가 되는 것이 아니다. 나 역시 그랬다. 어느 날 인생을 걸 만한 여자가 나타났고 바로 그녀와 함께 아름다운 사랑을 나누기 위해  결혼을 했다.

그러나 나는 요즈음 내가 아빠 노릇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 내가 ‘아빠’다운가에 대한 생각을 많이 한다. 그러다보면 아이들이 시무룩할 때 나의 기분도 가라앉고, 아이가 칭찬을 받아 기뻐할 때 나도 어느새 들떠 있다. 

서울 강서구 대한항공 본사에서 열린 ‘대한항공 임직원 가족 초청 패밀리 데이 행사’에서 아버지와 아들이 비행훈련장치 체험을 하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서울 강서구 대한항공 본사에서 열린 ‘대한항공 임직원 가족 초청 패밀리 데이 행사’에서 아버지와 아들이 비행훈련장치 체험을 하고 있다. (사진=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성세대인 내가 요즘의 아이들에게 느끼는 것은 꿈을 이루기 위한 노력이나 의욕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생활이 안전하고 예측 가능하기 때문에 몰입해 모험을 걸만한 것이 없다. 필요한 것은 무엇이든 손에 넣을 수 있는 풍요로운 사회에 살고 있기 때문에 노력해 꿈을 이루고자 하는 열정이 없는 것이다.

그렇다보니 당연히 꿈이 무엇인지, 그 꿈을 이루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할 지도 모른다. 세상에 대한 진지한 호기심과 관심, 지속적인 변화와 창조를 이루기 위한 숙련, 사람들과 관계에 대한 애정과 친절함, 자신이 꿈꾸는 것을 성취하고자하는 뜨거운 열정이 결핍되어 있다.

◆ 아빠는 아이가 ‘최악의 상황’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도록 키운다

엄마는 자녀를 최고로 키우기를 원하지만, 아빠는 자녀가 최악의 상황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도록 키우기를 원한다는 말이 있다. 인류의 시작부터 생존의 경쟁에 직면한 남자들은 자녀를 강하게 키우기를 원했다. 그래야 살아남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아이가 자전거를 타고 가다가 넘어졌다. 아이가 울면서 집에 들어왔을 때 엄마와 아빠는 어떻게 반응할까? 엄마는 일단 화들짝 놀라면서 아이를 끌어안고 “많이 아프지?”라고 물어보며 감정을 공감하고 위로할 것이다.

엄마는 아이의 상태가 조금 진정이 되면 “어디 다친 데는 없니?”라며 아이를 살펴볼 것이다. 아이 또한 엄마가 공감과 위로를 해주니 감정도 가라앉고 기분도 한결 나아지고, 다시 자전거를 타려고 시도할 것이다.

그렇다면 아빠는 과연 어떨까? 아이가 울면서 집에 들어오면 아빠는 아이를 전체적으로 한번 훑어볼 것이다.

아빠의 두정엽은 한 눈에 아이가 응급실에 갈 상황인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응급실에 갈 상황이 아니라면 “왜 다쳤니?”라면서 전후 사정을 물어볼 것이다.

그리고 관여해야 할 큰 문제가 없다고 판단되면 “방에 들어가 쉬어라”고 말할 것이다. 그것으로 끝이다. 아빠는 아이가 얼마나 아픈지, 왜 저렇게 서럽게 우는지 관심이 없다. 아니 공감이 없다.

이처럼 아이를 키우는데 있어서 엄마와 아빠의 육아태도가 다른 것은 전적으로 뇌의 차이 때문이다. 엄마의 뇌는 공감에 더 적합하고, 아빠의 뇌는 체계를 이해하고 만드는 일에 더 적합하다.

뇌에는 좌뇌와 우뇌를 연결하는 ‘뇌량'이라는 것이 있는데, 아빠의 뇌량은 엄마의 뇌량에 비하여 가늘고 작다.

엄마는 이 뇌량을 통해 좌뇌와 우뇌의 소통이 잘 이루어지기 때문에 의사소통과 공감을 잘한다. 엄마는 아이의 감정을 이해할 수 있으며 아이의 정서 상태에 적절한 정서로 반응하는 능력이 있다면 아빠는 사물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직관적으로 알아낸다.

반면 엄마가 상황을 감성적으로 판단하는데 반해 아빠는 보다 논리적이고 분석적이다. 아빠는 엄마가 미처 보지 못한 부분을 정확하게 지적한다. 사건이나 사물의 본질을 이해하고 예측하는데 효율적인 뇌이다.

특히 아빠는 아이와 대화하거나 훈육을 할 때 좀 더 논리적이다. 이러한 태도는 아이가 사회성과 논리적인 사고를 기르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하며, 학습에서도 논리적 사고가 필요한 수학을 하는데 도움을 준다.

아빠는 전후 상황을 객관적으로 판단하며, 아이의 잘못이 있으면 우선 지적하는 경향이 있다. 아빠의 이러한 객관적인 시각은 아이로 하여금 같은 잘못을 반복하지 않게 하고 강한 아이로 만든다.

◆ 스파링 파트너로서의 아빠

현대의 부모교육 이론에서는 스파링 파트너와 같은 부모를 강조한다. 스파링 파트너인 부모가 선수인 아이 대신 시합에 나서는 일이 결코 있어서는 안 되며, 그렇다고 마음대로 경기를 준비하라고 방임해서도 안 된다.

부모는 아이가 필요로 하는 능력과 기술을 갖고 있기는 하지만, 그것은 엄밀한 의미에서 아이의 능력과 기술이 아니다. 부모는 아이가 스스로 능력을 계발하고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도와주고 적절하게 방향을 제시해줄 뿐이다.

스파링 파트너 아빠는 아이의 길을 인내하며 기다려야 하지만, 어떤 때는 질풍노도와 같이 아이를 자극하고 동기부여를 해야 할 때도 있다. 방임이나 속박이 아닌, 스파링 파트너로서 아빠는 아이의 큰 울타리가 되어주고, 엄마는 아이의 마음을 안아주면서 정성을 다해야 한다.

아이들에게 삶의 목표를 물어보면 다소 추상적이기는 하지만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이것을 위해 돈을 많이 버는 것’이라고 대답하는 게 요즘 추세이다.

아이들에게 힘든 일을 시켰을 때 아이가 그 일을 즐긴다고 생각하거나 그 일로 누군가를 돕기 위해 자기가 선택되었다고 생각하면 그것이 훨씬 덜 힘들다.

반면에 자기가 선택한 것도 아니고 부모의 말을 무조건 따라야 한다면 그 일이 더 힘들어 훨씬 빨리 피로해질 것이다.

아이들 중에는 아주 똑똑한데도 성취도가 낮은 경우가 있다. 더욱이 이들이 가진 열정과 관심을 누군가가 건드려주지 않으면, 이들은 끝내 제 능력을 발휘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역할은 기존의 교육제도가 해야 하지만 그러지 못할 때가 더 많다.

그렇다면 아이들이 교육제도의 한계와 자신의 단점을 극복하고 두각을 나타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바로 아빠가 스파링 파트너가 되어서 아이가 어릴 적부터 재미를 느끼던 것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지자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아이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좋아하는 것을 찾아야 하며, 좋아하는 것을 찾으려면 세상에 무엇이 있는지 알아야 한다.

김영훈

◆ 김영훈 가톨릭의대 소아청소년과 교수

가톨릭대 의대 졸업 후 동 대학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고 미국 베일러대학교에서 소아신경학을 연수했다. 50여편의 SCI 논문을 비롯한 100여 편의 논문을 국내외 의학학술지에 발표했으며 SBS <영재발굴단>, EBS <60분 부모>, 스토리온 <영재의 비법> 등에 출연했다. 주요 저서로는 <아이가 똑똑한 집, 아빠부터 다르다>, <머리가 좋아지는 창의력 오감육아>, <아빠의 선물> 등이 있다. pedkyh@catholic.ac.kr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