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당신은 우리의 섬입니다

[김준의 섬섬옥수] ‘섬시인’ 이생진

2019.08.08 김준 섬마실 길라잡이
인쇄 목록

낭도막걸리를 들고 시인을 쳐다봤다. 시인은 고개를 돌려 가막만을 쳐다보더니, ‘바다만 보이면’이라고 힘주어 외쳤다. 그러자 이구동성으로 ‘됐어’라고 소리쳤다. 누가 해도 흥겹고, 반복해도 전혀 어색하지 않는 묘한 매력이 있는 건배사다.

건배사처럼 편하게 이야기하듯 시를 쓰고, 섬을 그린다. 평생 섬과 바다를 여행하며 인간의 고독과 섬을 잇는 시를 써왔으니 편안할 수밖에 없을 것 같다. 시인은 태풍의 눈이 여수로 향하던 날 여수로 들어왔다. 작은 섬 추도로 들어가는 것을 포기하고, 돌산도 다른 시인의 집에서 바다를 보고 비를 맞으며 사흘을 보냈다. 그때 ‘여수살롱’(대표 임호상)의 특강에서 이런 말을 했다.

평생 섬을 다녔기에, 걸어 다녔기에 건강합니다.
고독한 섬이 나를 건강하게 만들었습니다.
여러분도 건강하고 싶다면 걸으십시오.
시를 읽고 쓰십시오.

‘섬시인’ 이생신.
‘섬시인’ 이생진.

사람들은 그를 ‘섬시인’이라고 부른다. 충남 서산에서 태어났다. 구순의 나이가 믿기지 않을 만큼 힘차게 시를 낭송한다.

어린시절 시인의 감성을 사로잡은 섬은 신진도와 마도라고 한다. 그곳에서 섬을 그렸다. 지금은 다리가 놓이고, 골프장이 생기고 주말이면 야단법석이 따로 없지만 그때는 한적한 어촌이고 섬이었다.

그리고 1969년 김현승 시인의 추천으로 등단했다. 그리고 1987년, 많은 사람들의 가슴을 적신 ‘그리운 바다 성산포’라는 시집을 냈다.

지난해 일기형식으로 쓴 ‘무연고’까지 38권의 시집을 냈다. 그런데 알려지지 않는 시집 4권이 있다.

수제시집, 직접 글씨를 쓰고 복사하고, 표지에 그림도 그리고 해서 만든 시집이다. 딱 100권을 만들었다. 무명시인이나 다름없던 시절이다.

그때 딱 한 권만 만든 시집도 있다. 아내에게 준 시집이다. 학교에서 영어선생님을 했다는 사실은 알아도 그가 미술선생님도 했다는 사실은 잘 모른다. 그래서인지 그의 시집에는 직접 그린 그림이 종종 등장한다. 저자사인을 할 때도 종종 그림을 덧붙인다. 그가 섬을 노래한 시는 어김없이 섬에 기록하고 그렸던 것을 옮긴 것들이다. 그래서 시인은 시와 시집은 그의 발자국라고 한다. 왜 그렇게 섬에서 걷느냐고 또 어리석은 질문을 했다.

차를 타고 섬을 돌아다니면 시심이 불안해져요.

시인의 답이다. 오래 전, 우이도에 며칠을 함께 지냈을 때 일이다. 시인은 돈목마을 ‘우이도수퍼’ 민박집에 머물기를 좋아한다. 매년 한 번은 꼭 가는 곳이다. <우이도로 가야지>라는 시집도 발간했다. 그곳 모래밭을 맨발로 걷는 것을 좋아한다. 함께 발자국을 남기며 맨발로 걷다가, ‘왜 우이도를 좋아하세요?’라고 또 어리석은 질문을 했다.

김박사
섬이 작잖아.
작으면 돌아볼 수 있어.
다시 걸을 수 있잖아.

시인은 대화도 시로 하나! 말을 그대로 옮기면 그냥 시다. 섬을 깊이 사유한 탓일 것이다. 섬을 너무 사랑한다는 것을 몇 마디에 느낄 수 있다. 작은 섬이기에 걸을 수 있어서 좋다. 차를 타야 할 이유도 없다. 몇 번을 돌아도 부담스럽지 않다. 돌담 너머로 고개를 내민 능소화에 취하고, 모래밭에서 콩게와 숨바꼭질도 재밌다. 빈집을 기웃거리며 뭍으로 떠난 주인의 흔적을 찾기도 한다. 그의 발걸음은 시가 된다.

1978년 이생신 시인의 첫번째 시집 <그리운바다 성산포>.
1978년 이생진 시인의 첫번째 시집 <그리운바다 성산포>.

10년 전쯤 될 것 같다. 서산의 어느 바닷가에서 처음 시인을 만났다. 그때 <섬문화답사기>를 드리고 <우이도로 가야지>라는 시집을 받았다. 그리고 ‘만나야 할 사람은 어디선가 꼭 만난다’며 반겨주었다. 다음날 고파도로 향했다. 이 섬에서도 걸어서 이곳저곳을 다녔다. 그러다 어느 빈집에 들어가 기웃거리다 시인과 딱 마주쳤다.

작은 섬이다 보니 각자 자기 방식대로 섬을 걷고 있었다. 나는 옛날 김발을 뜨던 도구를 찾아 들고, 시인도 벼루를 들고 나오셨다. 여수 소리도 덕포마을을 지날 때면 ‘전봇대를 따라가면 등대가 나오지요’ 시구를 떠올리며 배시시 혼자 웃는다. 수국이 활짝 핀 옛 등대의 정취는 사라졌지만.

그는 섬에서 시를 쓰고 그림을 그린다.
그는 섬에서 시를 쓰고 그림을 그린다.

시인은 반 고흐를 좋아한다. 그래서 <반 고흐 ‘너도 미쳐라’>라는 시집을 냈다. 종종 반 고흐를 이야기한다.

사이프러스도 빼놓지 않는다. 그가 좋아하는 이유가 간단하다. 그림이 쉽다. 거만하지 않고 사치가 없다.

무엇보다 글을 쓰며 그림을 그렸다. 그가 그림마나 그렸다면 훗날 평가받는 화가가 되지 못했을 것라고 생각한다.

글을 썼기 때문에 그의 그림은 돋보인 것이란다. 미쳐야 할 수 있는 일이다. 팔순이 되어 쓴 시집이다. 섬에 미치고 싶었던 것일까.

그는 구순의 ‘시인계의 아이돌’이다. 가는 곳마다 어떻게 알고 시낭송이나 강의에 참여하는 열혈 팬들이 많다.

그들은 대부분 성산포에서 정도는 낭송을 해본 사람들이다. 시집을 들고 제주도를 찾았던 사람들이다. 시집을 들고 오는 사람들도 많다. 그가 쓴 첫 섬 관련 시가 무엇일까, 궁금했다. 시인에게 문자를 보냈다. 처음 섬과 관련해서 쓴 글이 뭔가요.

52 무명도

저 섬에서
한 달만 살자
저 섬에서
한 달만
뜬 눈으로 살자
저 섬에서
한 달만
그리운 것이
없어질 때까지
뜬 눈으로 살자

시인이 보내온 것이다. 나도 정말 좋아하는 시다. 시인이 기억하는 섬 관련 첫 시다. <그리운 바다 성산포>라는 시집에 실린 것이다. 이야기가 나온 김에 제주도 이야기를 해보자. 시인은 매년 4월 말쯤이면 조용히 흰 국화 11송이 사들고 ‘다랑쉬오름’를 찾는다. 벌써 10여 년째다. 그곳에서 발견된 어린 아이를 포함한 11명의 이름을 부르며 추모제를 지낸다.

고향 서산 바닷가에서 시를 쓰고 시를 그리는 이생진 시인의 모습.
고향 서산 바닷가에서 시를 쓰고 시를 그리는 이생진 시인의 모습.

직접 상주가 되어 절을 하고 추모시를 낭송한다. 떠들썩한 정치인도 카메라도 없다. 떡 한 조각에 국화 한 송이 그리고 막걸리 한 잔, 처음에는 한 두 명이 함께 하더니 지금은 20, 30여명이 참여한다. 세월호가 침몰한 진도 바다를 찾아 역시 추모행사를 갖기도 했다. 아는 사람만 삼삼오오 스스로 비용을 내고 참가한다.

섬은 그가 가야할 길이자 종착역일지도 모르겠다. 그는 ‘섬처럼 맑고 고독하게 늙고 싶어서, 죽을 때까지 섬으로 떠나서, 죽은 뒤에도 섬으로 남고 싶다’고 노래했다. 그리운 바다 성산포에서, 그를 만나고 싶다. 당신이 있어 섬이 외롭지 않습니다. 당신은 영원한 우리의 섬입니다.

김준

◆ 김준 섬마실 길라잡이

어촌사회 연구로 학위를 받은 후, 섬이 학교이고 섬사람이 선생님이라는 믿음으로 27년 동안 섬 길을 걷고 있다. 광주전남연구원에서 해양관광, 섬여행, 갯벌문화, 어촌사회, 지역문화 등을 연구하고 정책을 개발을 하고 있다. 틈틈이 ‘섬살이’를 글과 사진으로 기록하며 ‘섬문화답사기’라는 책을 쓰고 있다. 쓴 책으로 섬문화답사기, 섬살이, 바다맛기행, 물고기가 왜, 김준의 갯벌이야기 등이 있다.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