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서울 특성화고 취업자 평균연봉↑, 현장실습 안전사고↓

2019.06.17 교육부
인쇄 목록

교육부는 “서울지역 특성화고 취업자 평균연봉은 2016년 1821만원에서 2018년 2097만원으로 상승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2018년 현장실습제도 개선 이후 현장실습 중 안전사고 수는 2016년 20명에서 2018년 3명으로 크게 감소했다”고 밝혔습니다.

6월 17일 서울신문 <직업계高, 학교라는 이름의 용역업체> 등에 대한 설명입니다.

서울 특성화고 취업자 평균연봉↑, 현장실습 안전사고↓

  • 서울 특성화고 취업자 평균연봉↑, 현장실습 안전사고↓  하단내용 참조
  • 서울 특성화고 취업자 평균연봉↑, 현장실습 안전사고↓  하단내용 참조
  • 서울 특성화고 취업자 평균연봉↑, 현장실습 안전사고↓  하단내용 참조
  • 서울 특성화고 취업자 평균연봉↑, 현장실습 안전사고↓  하단내용 참조
  • 서울 특성화고 취업자 평균연봉↑, 현장실습 안전사고↓  하단내용 참조

[교육부 설명]

 □ 서울지역 특성화고 취업자의 평균 연봉이 오히려 줄었다는 것은 사실과 다릅니다. 서울지역 특성화고 취업자의 평균연봉은 2016년 1,821만원에서 2018년 2,097만원으로 상승하였습니다.

 ※ 서울지역 직업계고 취업자 평균연봉 추이(만원) : (’16)1,821 → (’17)1,878 → (’18)2,097

 □ 또한, 직업계고 현장실습의 안전불감이 여전하다는 말도 사실과 다릅니다. 2018년 현장실습 제도 개선 이후, 현장실습 중 안전사고 수는 2016년 20명에서 2018년 3명으로 현격히 감소하였습니다.  

 ※ 현장실습 중 안전사고 현황 : (’16) 20명 → (’17) 20명 → (’18) 3명

 ○ 그리고, 산업체 현장실습은 필수가 아닌 학생의 선택에 따라 이루어지며 현장실습 중 부당한 대우를 받을 경우 학생은 즉시 복귀조치하고 공인노무사회로부터 학생의 권리구제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 교육부는  ‘학습중심 현장실습 안정적 정착방안’(’18.2.23)을 통해 현장실습생이 중도 복귀하는 경우 징계성 지도를 금지하고 상시적인 상담치유 프로그램을 제공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 복교생에 대한 부정적 명칭(중도포기자) 사용, 교내 청소, 방과후 프로그램 등을 지양하고 학교 교육과정에 자연스럽게 통합될 수 있도록 개별 맞춤형(상담, 교과지도 등) 지원

 □ 또한, 정부가 현장실습 기업 규제를 완화하는 쪽으로 정책 방향을 선회하였다는 것도 사실과 다릅니다.

 ○ 학생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청소년의 유해·위험한 사업*은 현장실습 참여를 엄격히 제한하고 있으며,

 * 「근리기준법」 제65조 에 따른 청소년 금지 사업, 중대재해 산업체의 관련 직무분야 등

○ 이로 인해 2018년 전공적합도와 학생들의 현장실습 만족도는 향상되었습니다.

※ 전공적합도(%) : (’16) 91.5% → (’18) 99.6%
※ 학생만족도(5점척도) : (’16) 4.3점 → (’18) 4.6점

□ 정부가 참여기업에 대한 실사를 강화하는 등 안전 대책을 내놨다가 얼마 안 돼 ‘참여 기업이 줄어든다’는 이유로 없던 일로 했다는 것도 사실과 다릅니다.

 ○ 현장실습생 안전을 위한 선도기업 현장실사는 지속적으로 유지되며, 모든 직업계고에 전담노무사를 지정하여 상시적으로 상담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등 학생의 안전·권익보호를 더욱 강화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 전체 588개 직업계고 대상 전담노무사 365명(노무사별 1~3개교) 지정

 ○ 또한, 직업계고에서 현장실습 우수기업을 확대 발굴하여 안전한 실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모든 직업계고에 1명 이상의 취업지원관을 배치·지원하고 있습니다.

 ※ 취업지원관 배치 목표(명) (’16) 400명 → (’22) 1,000명

 □ 교육부는 앞으로도 관련부처-시도교육청과 협력하여 중등 직업교육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직업계고 학생들이 졸업 후 안정적으로 사회에 정착할 수 있도록 국가의 책임을 강화해 나가겠습니다.

문의 : 교육부 중등직업교육정책과(044-203-6374)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