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소득·사회서비스 지원 등 사회투자 확충 필요

2019.11.13 보건복지부
인쇄 목록

보건복지부는 “높은 노인 빈곤율과 복지 사각지대 등 대응을 위해서 소득·사회서비스 지원 등 사회투자 확충이 필요한 바, 이를 확대해 경제 발전 대비 지체된 사회보장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또 “문화, 환경, 안전 등 잠재되어 있던 사회적 수요에도 대응해 사회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이라면서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을 통해 지자체의 유사 사업 참여이력 등을 확인해 중복 가입을 방지할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11월 13일 중앙일보 <세금 쏟은 노인 일자리 ‘세 받는 건물주도 한다’>에 대한 설명입니다

[기사 내용]

○ 현금성 지원예산이 증가하고 있으며, 증가한 예산의 47%가 복지·노동에 집중

○ 노인 일자리, 사회서비스 일자리 등 정부의 재정투입 일자리 증가

○ 청년 자산형성지원, 노인일자리 등은 일부 사업과 중복 우려

[복지부 설명]

1. 복지지출 관련

○ 정부는 높은 노인빈곤율*, 기초생활보장제도의 부양의무자 기준에 따른 지원의 사각지대와 낮은 급여수준** 등에 적극 대응하고, 경제 발전 대비 지체된 사회보장을 강화하기 위해 사회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 노인 상대빈곤율 42.2%(’17, 가계금융복지조사),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

** 부양의무자 기준에 의한 생계·의료급여 비수급빈곤층 93만명(’17, 기초생활보장실태조사), 1인당 평균 생계급여액 29.8만원(’18.12월)

- 우리의 공공사회복지지출*은 OECD 평균의 절반 수준(55.2%)에 불과하여 최하위에 머물러 있으며, 

* ’18년 한국의 GDP 比 공공사회복지지출은 11.1%로 OECD 평균(20.1%)의 절반 수준

- 이중 현금지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42%로, OECD 평균인 60%와 비교했을 때 현금지원 역시 낮은 수준입니다.

* 공공사회복지지출 중 현금/현물비중(’15년 기준) : 한국 42:58, OECD 평균 60:40

- 조세, 사회보험료 등을 포함한 국민부담률* 역시 OECD에 비해 여전히 낮습니다.

* 국민부담률(’15년 기준) : 한국 26.2%, OECD 평균 33.7%

○ 정부는 포용적 복지국가 구축을 위해 사회안전망을 확충해나가는 한편, 재정적 영향에 대해서도 지속적으로 관리할 계획입니다.

2. 사회서비스 일자리 관련

○ 사회서비스 일자리는 국민이 필요로 하는 보육, 문화, 안전 등의 필수적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자리입니다.

○ 저출산·고령화, 맞벌이 확대 등의 인구·사회구조 변화, 국민 소득 증가 등에 따라 사회서비스 욕구가 급증하고 있지만, 공공·민간의 서비스 공급은 여전히 미진한 상황으로,

* 사회서비스 유형별 욕구 충족률 : 아동돌봄(30%), 보건의료·건강관리(17.6%), 고용·취업지원(14.4%), 문화(17.3%) 등

-  재정투입을 통한 일자리 창출이 아닌 사회서비스에 대한 지속적 투자 측면에서의 접근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 앞으로 초등돌봄·치매·정신건강 등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개인적 서비스 지원을 강화하고, 문화, 환경, 안전 등 잠재되어 있던 사회적 수요에도 대응하여 사회서비스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3. 노인 일자리 관련

○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은 노인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노인빈곤율이 높은 상황에서 빈곤 노인에 대한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해 필요한 사업입니다.

* ’19년 65세 이상 인구 768.5만명 → ’25년 1,051만명 추산(통계청, 장래인구추계)

○ 실제 노인일자리 참여를 통해 노인빈곤율이 감소*하고 삶의 만족도가 개선**되는 등 건강하고 의미 있는 노후생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 빈곤율 : 사업 참여 전 82.6% → 참여 후 79.28%(3.32%p 감소) (’17 보건사회연구원)

** 만족도 : 대기노인 3.52점 → 참여노인 4.03점으로 증가(5점 만점, ’17 보건사회연구원)

○ 노인 일자리 중 공익활동의 경우 참여자격은 기초연금 수급자로 하고, 선발시 소득인정액이 낮은 노인을 우선 선발함에 따라 

- 소득인정액 120만원 이하 참여자가 노인 단독가구는 100%, 노인 부부가구는 91.8% 수준으로 실제 참여자의 대부분이 저소득층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공익활동 노인 일자리 소득인정액 구간별 참여 비율 (누적비율, ’18년)
공익활동 노인 일자리 소득인정액 구간별 참여 비율 (누적비율, ’18년)

4. 사업 중복성 관련

○ 사회서비스형 노인일자리는 노인의 경력과 활동역량을 활용하여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일자리로 만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시행되는 사업입니다.

- 따라서 50대 이상 중장년을 대상으로 한 고용노동부 사업과 지원 대상에 차이가 있습니다.

○ 청년저축계좌*는 주로 임시·계약직 저소득층 청년을 대상으로 하고,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의 저소득층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더 가난한 사람에게 집중 지원**하여 빈곤 탈출을 돕는 사업입니다.

* 저소득 청년이 매월 본인적립금 10만원 적립 시 근로소득장려금 30만원 매칭하여 3년 만기 1,440만원 목돈 마련

→ 자산형성지원 사업 참여자의 탈수급 성공률은 여타 수급자의 163%(희망키움통장Ⅰ)

** 지자체의 유사 사업은 기준 중위소득 80~120%까지 더 높은 소득계층을 지원하고 있어 지원 대상에 차이

- 중복수급 우려를 방지하기 위해 사회보장정보시스템(행복e음)을 통해 지자체의 유사 사업 참여이력 등을 확인하여 중복 가입을 방지할 예정입니다.

문의 : 보건복지부 복지정책과(044-202-3008), 노인지원과(044-202-3472), 사회서비스일자리과(044-202-3242)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