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기획자

2017.03.16 .
인쇄 목록

고령화시대, 고마운 건강 지킴이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

올해 70대에 접어든 L씨는 당뇨와 고혈압을 갖고 있다. 둘 다 지속적으로 관리만 잘 하면 일상 생활이 가능한 질환이기 때문에 매일 병원에 가지 않아도 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 헬스케어의 도움을 받고 있다. 당뇨는 혈당측정 결과를, 고혈압은 정기적인 혈압측정 결과를 확인해 식사와 운동 등을 조절하게 된다. 70대의 나이에도 바쁜 일상을 보내고 있는 L씨에게 직접 건강을 관리할 수 있게 해주는 스마트헬스케어 기기들은 그야말로 고마운 ‘건강 지킴이’인 셈이다.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기획자 

OECD에 가입된 대부분의 선진국들은 이미 초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세계에서는 2번째로 OECD 국가로는 가장 빠른 인구고령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 2015년 현재 국내 65세 노인인구의 비중은 13.1%에 달하고 있는데, 고령화 사회(65세 이상 비율 7%)에서 고령사회(65세 이상 비율 15% 이상)까지 20년에 불과한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고령화와 더불어 경제규모와 국민소득 또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1인당 국민소득은 1983년 2113 달러에서 2013년은 2만6205 달러로 약 13배가 증가한 셈이다.

이와 같은 인구고령화와 소득수준의 증가는 국민의료비, 그중 노인의료비가 급증하는 사회적인 문제와 더불어 의료에 대한 인식 변화를 일으켰다. 특히 IoT기술(사물 인터넷, Internet of Things)의 발달로 사람들은 더 이상 의료기관 방문 없이도 자신의 건강을 체크할 수 있게 됐다. 모바일 기기 등으로 늘 자신의 건강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서비스와 제품들은 잇달아 출시되고 있고, 이를 실현하는 직업들도 접할 수 있게 됐다. 자신의 건강상태를 체크하는 IoT 기술을 활용한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기획자도 그 중 하나이다.

직무 개요 

스마트 헬스케어서비스(건강측정기 등 액세서리나 웨어러블기기를 활용해 개인이 스스로 운동량, 심전도, 심장박동 등을 체크해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기획, 개발한다.

주요 직무 

▲ 빅데이터 분석 기술, 건강관리 앱, 기존 제품을 응용한 웨어러블 기기 통합 기술 등 적용 가능한 기술을 분석한다.

▲ 업무 프로세스 관리도구 개발과 서비스 플랫폼 등을 개발한다.

▲ 웨어러블(wearable) 헬스케어 및 IoT 표준 기술, 실시간 웹서비스 구축에 관한 기술 등을 해 적용한다.

수행 직무 

보다 스마트한 헬스케어 제품 기획

스마트 헬스케어는 최신기술을 활용해 병원과 가정 등 언제 어디서나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면서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기획자는 스마트헬스케어를 가능하게 만드는 스마트 헬스케어서비스(건강측정기 등 액세서리나 웨어러블기기를 활용해 개인이 스스로 운동량, 심전도, 심장박동 등을 체크해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를 기획, 개발하는 직업이다. 주로 PHR(Personal Health Record)와 빅데이터 분석 기술, 건강관리 앱, 기존 제품을 응용한 웨어러블 기기 통합 기술 등을 개발하는 업무를 한다.

국내 현황 

미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 중

국내 스마트헬스케어 분야는 정부(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 등) 주도로 시범 사업을 추진하고, 민간을 중심으로 기술 개발에 투자하고 있다. 우선 산업통상자원부는 만성질환자들을 위해 u-Health 건강관리를 통합적으로 제공하는 사업으로 355.4억 원을 투입해 3년간(2010.4~2013.6) 추진했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은 2011년 스마트 공공보건의료서비스 모형을 제시하기도 했다.

민간 기업의 경우 원격의료 및 홈케어 전용시스템을 개발하거나 고령자를 위한 응급상황 관리 및 건강상담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다. 이외에 건강검진 정보를 기반으로 개인의 건강상태와 노화정도를 생체나이로 평가하는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개방형 건강관리 서비스 플랫폼을 개발하고 일반인들이 사용하기 편리한 손목밴드 형태의 디바이스를 개발해 공급하는 등의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스마트헬스케어서비스기획자는 서비스 기기 개발 및 생산업체에서 활동하게 된다. 스마트 병원화가 진행됨에 따라 의료기관으로 활동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의료 빅데이터 처리 관련 프로그램 등의 개발을 진행하는 공공기관으로도 진출할 수도 있다.

역량 및 교육 

의료 및 정보통신 등 융합 분야 지식 필요

IT관련 개발 경력이나 헬스케어 프로젝트 경험, 혹은 건강 및 보건 관련 임상연구 진행 경험이 있는 사람이 진입하기 용이한 직업이다. 직업 특성상 IT에 대한 기본적인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중요하다. 팀워크가 중요한 업무특성상 주변과의 네트워크 형성이나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이 요구된다. 빅데이터를 수집·분석하기 위한 통계적 역량도 중요하다.

업무 특성상 의료와 IT 분야를 모두 이해하고 접근해야 하지만 반드시 진료수준의 의료지식이 필요한 것은 아니므로 이에 대해 두려움을 가질 필요는 없다.

특히 의료지식은 전문적이고 공부에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IT 분야에서 먼저 경험을 쌓은 후, 점차 의료분야에 대한 경험과 지식을 확보하는 순서로 역량을 키워나가는 것이 좋다.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개발 분야의 경우 하나의 교육과정을 통해 의료, IT, 소비트렌드 등 모든 관련 분야를 이수하기는 어렵다. 의료와 IT의 통합교육을 제공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산업에 대한 현황과 트렌드 분석이나 국내외 사례를 소개하는 수준으로 프로그램이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헬스케어서비스 개발자를 위한 교육과정으로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스마트 모바일 헬스케어 과정’이 있다.

국내·외 ICT 보건산업 트렌드 분석과 스마트모바일 콘텐츠 이슈 연구, 플랫폼-스마트 모바일 헬스케어 성공사례 등 16시간의 수업이 무료로 운영된다. 다만 고용노동부의 국고지원 사업으로, 고용보험가입 및 컨소시엄 협약 기업 재직자로 교육자격을 제한하고 있으므로 자격요건을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향후 전망 

국내외 산업 발전으로 전문인력 양성 필요성 확대

이미 많은 기업들이 진출해 있고 앞으로도 발전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의료’라는 특성 때문에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으면 적용하기 어렵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제 기술과 제품이 개발돼 출시됐음에도 불구하고 관련 법령과 각종 규제로 현장에 도입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가 해결된다면 급속히 발전할 수 있는 분야이다.

국내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 규모는 2014년 3.4조 원에서 2020년 14조 원으로 연평균 20%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삼성전자를 비롯한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대기업은 병원·제약회사 등과 제휴해 활발하게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더욱이 IoT나 ICT와 빅데이터의 결합은 의료분야에 있어 의료비 등 사회적인 지출을 줄이고, 건강관리 측면에서의 효율성 증가 등을 통해 여러 현안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처럼 스마트 헬스케어 시장은 국내·외로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아 관련 분야의 서비스개발자에 대한 직업군도 전망이 밝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개발비용이 높아 투자에 따른 위험이 큰 편이다. 또한 ICT 기술과 맞물려 시장의 변화가 빠른 상황이기 때문에 개발된 제품의 판매 승인이 지연되는 경우, 시장 선점이 힘들어져 도태되기 쉽다. 아직까지 사회적 논쟁으로 도입에 따른 규제가 많아 큰 비용을 들여 지속적으로 개발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R&D 투자 및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뤄져야 하는 시점이기도 하다.

참고사이트 

한국보건산업진흥원 www.khidi.or.kr
산업연구원 www.kiet.re.kr
한국정보화진흥원 www.nia.or.kr
한국IT서비스산업협회 www.itsa.or.kr
한국U헬스협회 www.uha.or.kr

적합한 사람은?
모바일 앱 개발 경력, DB설계와 구축·유지 및 콘텐츠 개발과 응용프로그램 개발 경력, IT 헬스케어 프로젝트 경험과 건강 및 보건 관련 임상연구 진행 경험이 있는 사람이 적합하다.
필요한 자격은?
관련 자격은 없다. 의료, IT, 소비트렌드 등의 융합 지식의 섭렵이 중요하다.
필요한 공부는?
IT(ICT, IoT 등) 관련 학과와 생명공학, 의약학 등이 관련 전공 분야이지만 IT에 대한 기본적인 기술이 습득되어 있어야 한다.
어디서 준비하지?
전공지식의 융합을 위해 대학 및 대학원에서 공부를 하는 것이 좋다. 관련 협업 종사자의 경우는 인접 융합 지식 습득을 위한 공부가 필요하다.
활동영역 및 진출분야
ICT 기반의 서비스 업체와 웨어러블 기기 개발 및 생산업체와 같은 일반기업에서 활동하며, 스마트병원화가 진행됨에 따라 의료기관으로 활동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직업전망 point
이미 많은 기업들이 진출해 있고 앞으로도 발전가능성이 높다. 다만 의료산업 영역이라는 점에서 시장 확대의 제약이 있다. 미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투자가 확대되고 있어 전문인력 양성이 활발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단_자료출처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