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2024 정부 업무보고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4차 산업혁명 시대, 우리 교육 세가지 방향

전주성 숭실대 평생교육학과 교수

2017.11.20 전주성 숭실대 교수
인쇄 목록

전주성 숭실대 평생교육학과 교수
전주성 숭실대 평생교육학과 교수
‘기계혁명’으로 일컬어지는 1차 산업혁명, ‘에너지 혁명’의 2차 산업혁명, ‘디지털 혁명’의 3차 산업혁명에 이어 목하 우리가 겪고 있는 4차 산업혁명은 그 범위와 차원에서 이전의 산업혁명과는 격이 크게 다르다. 특히나, 그 변화 방향을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점에서 우리의 불안과 염려를 가중시키고 있다.

인공지능(AI), 로봇공학, 생명공학, 와해성 기술(disruptive technologies), 초연결과 초융합, 공유경제 등은 우리 사회의 현재와 가까운 미래를 나타내는 키워드가 되고 있다. 이 단어들이 갖는 의미는 문자적으로는 가치중립적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들이 대중의 통제 밖에서 어떻게 활용되는가이다. 더욱 의문은 과연 이들이 통제될 수 있기는 하는가이다.

미래 사회의 변화에 대하여 많은 예측들이 난무하지만, 어쨌든 우리와 우리의 후속 세대가 그 격랑 한가운데 위태하게 떠 있는 배에 올라타 있다는 점만은 분명해 보인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현재 그리고 가까운 장래에 우리가 경험하게 될 두 가지의 비관적인 예측이 있다.

첫째는 만들어진 것과의 공존 혹은 그것으로부터의 소외이다. 짐 데이터 (Jim Dator)는 인간이 일하지 않아도 되는 완전한 실업의, 꿈의 사회를 예언하였지만, 다수의 미래 예측가들은 잉여 인간의 출현을 예언한다.

많은 부문에서 인간의 노동은 로봇으로, 의사결정은 인공지능으로 대체되게 될 것이다. 테슬라모터스의 최고경영자인 일론 머스크(Elon Musk)는 가까운 미래에는 인공지능의 상용화로 인간의 20%만이 유의미한 직업을 갖게 될 것으로 예측한다.

지난 11월 11일 중국의 ‘광군제’에서 알리바바가 하루 만에 기록한 28조의 매출은 사실상 인공지능과 자동화 로봇의 기여이다. 다양한 영역의 일자리에서 기계가 인간의 자리를 차지하는 것은 더 이상 뉴스도 아니다.

둘째는 경제적 불평등의 심화이다. 유발 하라리(Yuval Harari)는 인공지능으로 인해 인류는 역사상 가장 불평등한 사회를 경험하게 될 수 있음을 경고한다. 첨단의 기술을 소유한 자와 그렇지 못한 자의 격차는 급격히 심해질 것이다. 지그문트 바우만(Zigmunt Bauman), 조셉 스티글리츠(Joseph Stiglitz), 토마 피케티(Thomas Piketty)와 같은 세계적인 석학들은 경제적 불평등으로 인해 분단된 사회의 위험을 지적한다.

20:80의 사회는 점점 10:90의 사회로 향해 가고 있다. 우리나라 2015년도 기준 소득 상위 10%의 소득집중도는 48.5%에 달할 정도로 점점 높아지고 있다. ‘헬조선’, ‘삼포세대’라는 용어의 등장은 우리 사회의 불안한 미래를 보여주는 하나의 전조가 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의 시대를 맞아 우리의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바는 무엇인가? 우선은 우리 사회의 공동체성의 회복이다. 첨단 정보통신의 발달에 따른 초연결 사회화는 역설적이게도 사람 사이의 관계를 파편화시키고 피상적으로 만들었다. 우리는 어느새 직접적이기보다는 SNS 기반의 짤막하고 간접적인 의사소통에 더 편안함을 느끼게 되었다.

무수한 연결과 대화로 하루의 많은 시간을 보냄에도 우리는 왜 여전히 외로운가? 지금까지의 교육이 타인과의 경쟁에서 이기는 방법을 가르치는 교육이었다면, 이제는 우리의 교육이 인간다움의 회복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그것의 핵심은 더불어 사는 공동체성의 회복이다.

이는 새로운 경쟁 상대인 기계와의 싸움에서 대중의 인간이 이길 가능성이 거의 희박해 보이기 때문이다.

둘째는 개인적 가치의 다양성 존중이다. 산업화 시대 교육의 이상은 이 시대에 적합한 표준화된 인간의 양성이었다. 인간을 하나의 표준에 맞추는 프로크루스테스 침대(procrustean bed)의 신화는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

우리의 교육은 각 개인이 가지는 있는 고유한 가치를 존중하고, 나아가 이들이 이루는 사회의 다양한 가치를 고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셋째는 미래사회에서의 생존에 필요한 핵심역량의 강화이다. 이들 역량은 대체로 자기이해력, 복잡한 문제해결력, 타인과의 협응력, 올바른 판단 및 의사결정 능력, 새로운 테크놀로지 이해력, 사회체제 변화에 대한 민감성(시스템적인 사고능력), 자기주도성 등이다.   

우리의 교육이 위와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평생교육체제라는 큰 그림 안에서 형식교육체제의 전면적인 개혁을 요구한다. 우선 다양한 목적을 가진 학교의 설립과 운영, 미래사회 핵심역량 기반의 교육과정 구축, 고등교육체제에서의 나노디그리(nano-degree)와 같은 융통성 있는 학력의 인정 등이 선행될 필요가 있다. 껍질을 깨야만 숨을 쉴 수 있다.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