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전자정부 누리집 로고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 정부정책 사실은 이렇습니다

콘텐츠 영역

"오보(誤報) 시정(是正)노력 미흡"

정책배경·추진상황 등 언론(言論)에 상세히 알려야

1993.05.20 국정신문
인쇄 목록

오보성(誤報性)기사 급증

요즘 언론매체(言論媒體)의 오보성(誤報性)기사가 늘어나 심각한 문제를 제기 하고 있다.

특히 ‘변화와 개혁’을 범국민적으로  추진중인 중요한 시기에 있어서의 오보속출은 정부나 언론 스스로에 공통의 피해를 안겨주게 된다.

현대사회에서 언론의 사회적 역할이 막중하면 할 수록 오보에 의한 반사적 피해는 그만큼 커질 수 밖에 없다.

정부 집계에 의하면 오보성 기사는 3월 12건, 4월 34건, 5월 18일 현재 32건으로 다달이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새 정부 출범이후 정부시책 관련 오보성기사는 5월 18일 현재 부처별로는 18개 부처 78건, 매체별로는 18개 매체 82회에 이르렀다.

이같은 정부시책과 관련된 오보성기사의 증가는 언론 스스로의 입장에서는 언론의 사회 공기적(公器的) 기능에 신뢰를 떨어뜨리는 것이며 국가 전체입장에서 볼 때 정부의 정책의 대한 신뢰성을 손상시킬 뿐 아니라 국민을 오도하게 될 위험이 있다.

특히 일반 시민들은 언론보도를 통해 정부정책을 인식하고 보도된 내용에 따라 정부시책에 대한 여론이 형성되기 때문에 오보는 국민의 정부에 대한 불신감을 가중시켜 결과적으로 시책의 효율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새 정부의 개혁 드라이브와 함꼐 개혁 및 可正관련기사가 폭주하면서 신문간의 경쟁이 치열해진 면을 고려하더라도 문제는 언론이 철저한 확인과정을 거치지 않거나 지나치게 과장되게 보도한 경향을 간과 할 수가 없는 것이다.

예컨대, ‘현몰(現沒)복무 2개월 단축’ 기사나, ‘재산 70억 넘는 세무원 2백여명 퇴직시키기로’ 라는 신문보도는 국민에게 미치는 파급효과가 대단히 크고 정부의 신뢰도 또한 크게 손상시키는 것이라 하겠다.
문민(文民)정부 출범 이후 정부는 과거의 홍보(弘報)방식을 탈피, 투명하고 정직하게 국정을 홍보하는 ‘국민홍보(國民弘報)’ 개념에서 국가시책 홍보를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국민홍보(國民弘報)’의 관점에서 볼 때 정부의 정책을 올바르게 알리는 노력이 무엇보다 선행되어야 하겠지만,이에 못지 않게 중요한 것은 ‘잘못 알려진 정책을 올바로 시정하는 노력’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각오와 자세로 각부처는 언론의 부정확하고 과장된 보도에 보다 적극적인 시정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일부 부처의 사전예방 및 사후대응조치 미흡 등으로 인해 오보발생 감축과 신속한 오보시정 성과는 아직도 미흡한 실정이다.

언론오보 시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정책관련 오보를 줄이기 위해서는 각부처 공보관(公報官)들의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하겠다.

또한 각부처가 언론에 대해 보다 충분한 배경설명자료를 제공하고 정책추진상황(政策推進狀況)을 상세하게 설명해주는 노력을 함께 기울여 오보발생(誤報發生) 사전(事前)에 방지(防止)하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그리고 각부처 공보관이 정책결정과정(政策決定過程)에 적극 참여(參與)함으로써 정책내용이 인지, 보다 신속하고 적극적으로 언론오보에 대응 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특히 중요한 정부시책에 대한 오보가 발생시에는 즉각적인 시적 노력과 함께 경우에 따라서는 언론중재위(言論仲裁委)에 제소(提訴)하거나 최종적으로는 민사·형사상의 법적대응(法的對應)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물론 정부의 언론 오보 시정·노력에 앞서 언론 스스로의 진실보자세(眞實報姿勢)가 요구되는 것은 더 말할나위가 없다.

오보성기사 집계현황

이전다음기사 영역

하단 배너 영역

지금 이 뉴스

추천 뉴스